::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3/04 21:56
이 문장이 전체 문장이 맞는건가요? appeared가 나온 위치가 조금 이상한 것 같은데요..
그래서 문장 구조도 잘 이해가 안 됩니다. 해석을 하자면 "유전 실험의 위험을 경고했던 많은 책과 영화들은 방향을 잘못 잡은 것으로 보였다." 정도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님의 문장 분석으로 해석을 하면 "잘못된 유전적 실험의 위험을 경고했던 많은 책과 영화들은 보였다" 라고 해석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이런 식의 분석을 할 영어 문장은 아닌 것 같습니다.) 결국 저 문장은 그 자체가 조금 잘못 된 것 같은데요? appear that 구문이 나오면 ~~해 보인다. 식의 설명 문장이 되어야 하는데 that절의 주어도 빠져있구요.. 제가 문장을 잘못 분석하고 있는건지.. 저도 신경이 쓰이네요^^;;;;
10/03/04 22:06
구조는자동사appeared가전체문장의주어ㅡthat절은주어수식으로수식어구가길어서동사뒤로도치되엇습니다문장은appeared만맨뒤로빼서보심됩니다ㅠ이거때매공부가안되요ㅡ흑ㅠ ⓑ
10/03/04 22:09
그냥 저도 공부하고 있어서 제 생각을 써봐도 될까요?
go 에 대해 찾아보니 이런문장이 있네요 The ship is gone under 제생각엔 가능한 문장인거 같습니다.. 많은 책과 영화들이 나타났다. 그것은 잘못되고 있는 유전 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맞지 않을까..요?
10/03/04 22:48
안녕하세요! 임요환의DVD입니다.
일단 이 문장이 신경쓰이는 이유는 멋인지 뭔지 독자 생각 안하고 마구 접속하고 늘어놓은 불친절한 문장이기 때문입니다. 1. Paloalto님 말씀대로 appeared가 맨 뒤로 가면 보기 좋겠네요. 보냅시다. 2. 라이시륜 님 말씀대로 gone 앞에 생략된 것은 are가 아니라 have입니다. She's gone=She has gone 3. going wrong이랑 that go wrong은 '즉'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표현입니다. 4. going wrong, that go wrong으로 쓸 수 있냐고 하셨는데 안 됩니다. gone wrong은 warned of 에게 구조상 신세를 지고 있는 형편입니다. 잘못되어버린 ~~들을 경고하였다. 그래서 going wrong이나 that go wrong을 쓰면 시제가 warned of의 범위를 탈출해버립니다. genetic experiments (which have) gone wrong 시제가 warned of의 범위 내에서 잘 놀고 있군요. 5. 두번째로 신경쓰이는 이유는 gone wrong이 뒤에 있어서입니다. 꾸밈말은 앞에 있어야 편하죠. 앞으로 보냅시다. dangers of wrong-gone genetic experiments 6. Many books and movies that warned of the dangers of wrong-gone genetic experiments appeared. 아주 약간은 친절해졌나요? 아직도 영 별로인 문장이네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0/03/04 23:49
제가 이문제에서 be gone + 보어 와 go wrong으로 헷갈려 했던 이유의 하나가
gone이 수동태로 쓰인건지 자동태로 쓰인건지였습니다; be gone이 쓰이게 되면 수동태에 보어가 붙어버리는게 되어 버리는거고 go wrong이 되면 자동사의 보어로 되는 거라 너무 이상했는데 -_-; 만약 have gone과 go wrong의 차이로 보는거면 태의 문제가 아닌게 되고 시제확인을 못했던 제 잘못때문이므로; have gone이 맞다는걸 알 수가 있습니다; 위에 대충 합의를 본다는 말은;; 원칙적으로는 that have의 생략이 불가능한데 구어적으로나 멋을 내기위한 문어체에서는 have의 생략이 가능하시단 말씀이신가요;;
10/03/05 00:44
계속 질문에 대한 답변의 갈구하던중; 대충 원하는 답변과 구글에서 찾은 결과로 봤을때
완료 조동사 have가 생략되었다기보다 gone wrong과 같이 gone + 형용사 자체가 관용적으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구글에서도 gone wild, gone wrong 등등으로 많이 쓰이는걸 봐서는 gone +형용사 자체가 쓰여지는 관용적 표현이고 네이버 영어 사전에 go (gone)으로 되어있는걸 보니 어딘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영국식이나 미국식이나, 아니면 어디 방언이거나에선 go를 그냥 gone으로 쓰는 경우가 많은 것 같군요; 예를 들어 i gone to the school . you gone mad 원래는 go여야 하나 gone으로 쓰는 경우가 있는것 같네요..; 임요환 dvd님 이 질문글 다시한번 보시면 go대신 gone을 관용적으로 구어적으로 쓰는 경우가 있는지 아시는지 궁금합니다;;ㅠ 그리고 다른 예문을 찾아봐도 ; 문법책 설명글을 찾아봐도 관계대명사 that과 완료조동사 have가 같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라는 글은 보이지가 않네요;;; 이건 아닌듯 보여요. 물론 구어적으로나 모국어가 영어인 국가에서 멋내기 위해 자의적으로 생략할 수야 있겠지만 문법책에 (위에 제가 말한 구문이 문법책-_-; 정확히 말하면 구문독해용 책에 실려있는거라 문법적오류에도 불구하고 구어적인 표현은 가능한 듯한 표현은 안썼을것 같긴 같습니다;그렇게따지면 구어적인 gone +형도 안쓰여야되지만요;;) 있는걸 가져온거라서..ㅠ 여튼 아직도 좀 찜찜하네요... that has를 같이 생략하지 못하는 문법적인 오류임에도 불구하고 (책에는 이부분 설명까지 적어놓았습니다 불완전자동사의 gone으로써라며;;) 문법책에 그것도 좀 유명한 상급난이도 구문독해책에 실려놨다고 생각하기도 좀 뭐하고 그렇다고 go대신 gone을 구어적으로 쓸 수 있는 문법 영국식이라던가 또는 방언이라던가 그런 곳이 있다 라고 치부해버리기엔 비주류의 문법과 구어표현을 또 문법책에 적어놨다고 생각하기엔 또 뭐하고.... 여튼 찝찝합니다..ㅠ 언어를 수학처럼 뽀개고 분석해야 직성이 풀리는건지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