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8/04 09:52
전 문과출신이라 다른건 도움 못 드리겠고요.
제가 생각할 때 언어는 기본적으로 책을 많이 읽은 상태 + 모의고사나 문제집 무한 풀기 이게 점수 올리는데 그나마 좋습니다. 그 동안 별로 문제를 안푸셨다면 열심히 문제 많이 푸시는게 답이듯... 90에서 100점만드는거 보다 60~70점에서 80점 만드는게 훨씬 쉬워요. 머리 좋으시다면 충분히 가능할듯. 회계사는 보통 경영학과에서 많이 합니다. CPA라고 들어보셨을텐데요. (공인회계사) 경영학과에서 많이 하지만 다른 과에서도 많이 합니다. CPA시험 치시려면 일단 경영학 12학점, 회계학 9학점, 경제학 3학점 이수하고 토익700이상 나오면 자격요건이 되요. (이건 대학들어가셔서 생각하셔도 될듯. 굳이 학교에서 안듣고 독학사라든지 이런 것도 있거든요.) (아 그리고 그냥 기억하는대로 쓰는거라 틀릴 수도;;) 보통 2~3년쯤 잡고 하는거 같더군요. (제가 경영학과라 주변에 하는 친구가 좀 많아요. 타과생도 있구요.) http://cpa.fss.or.kr/kor/cpa/index.action ( 자세한건 여기서 ) 교차지원은 자세히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요강에 따라서 이과생도 받아주는 문과도 있을거에요. 제 기억에 예를 들어서 서울대 경영학과는 이과생도 지원가능했던걸로.... 이제 수능100일 남았나요?? 열심히 하시길^^
09/08/04 12:08
2.
다년간 과외를 하며 지켜본 결과, 통계는 문제가 응용되어 나오질 않더라구요. 몇가지 패턴이 있어요. 외우면 됩니다. 제가 03학번인데 그때부터 지금까지 패턴이 쭉 똑같더군요;; 문제집 1권 사서 그 파트에 기본예제랑 유제, 실전문제를 외워버리세요. 푸는방식을요. 확률은 기본적인 확률개념이 잡혀있다면 바로 모의고사문제집을 푸시면 될것 같아요. 개념은 간단하거든요. 단, 개념이 안잡혀있다면 정석 개념원리 이런거 보지 마시고 교과서를 보세요. 수학 선택과목이 확률과통계,가 아닌이상 확률통계는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문제가 쉽거든요. 공간도형은 크게 두가지로 보시면 되요. 공간좌표랑 정사영. (정사영 안엔 이면각,삼수선정리도 포함되지요.) 특히, 넓이관련 문제는 대충 다 정사영이랑 관련되어있습니다. 이 파트는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풀어보는게 좋은데 당장은 시간이 없으니 모의고사 모음집을 파시면 될것 같습니다. 지금은 전체적인 복습을 하기엔 늦었구요. zeppelin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부족한 부분의 개념을 보충하고 주로 실전연습 + 오답노트 활용을 하는것이 좋아요. 만족스러운 결과 얻으시길 바래요 ^^
09/08/04 12:17
회계사의 주업무는 회계나 세무관리가 아니라, '감사'입니다.
보통 회사 내에서 회계 장부정리를 하는 팀이 따로 있는데, 연말이나 분기, 반기말에 그 정리를 제대로 잘해놨는지, 회계사들이 '감사'를 하고, 괜찮다 싶으면, 거기에 '적정 의견'을 붙여줘서 외부에 공시를 하는거죠. 물론, 연예기획사들처럼 내부 회계시스템이 엉망인 회사에 감사를 나가면, -그러면 안되지만- 새로 회계정리를 싹 해주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만, 일의 80%는 감사이고요. 그외에 세무업무 자문이라던가 자산 실사, 경영 컨설팅 등의 일을 부가적으로 하기도 합니다.
09/08/04 13:32
CPA 말씀하시는 거면 아는 오라버니가 공대이신데 CPA 준비하시던데요-
과가 크게 중요한 것 같지는 않네요. 일단 회계사가 되고 싶으시다면 경영쪽으로 보통 가던데, 교차지원은 학교마다 요강이 다르니 요강을 찾아보셔야 할 것 같구요. 꼭 경영아니더라도 준비하는 사람 많은거 같으니 대학가셔서 복전하시거나 CPA 동아리나 CPA 준비반에 들어가시면 될 것 같네요:D
09/08/04 15:56
답변감사드리고요~. 그럼 과는 이과쪽이라도 회계사를 준비는 할수 있는거네요. 아참 , 공간도형에서 정사형 넓이 이쪽보다는 좌표부분을
아에 모르겠네요. 공간좌표쪽은 그냥 외우는수밖에없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