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8/04 09:39:37
Name zeppelin
Subject 고3 공부방법 및 진로에 관해서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일단 전 고3이과생이고요. 내용이 긴데 다읽어주셨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우선 제 성적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성적은 뭐 중위권정도 된다고 (개인저으로) 생갑합니다.

언어는 3~4를 왔다갔다하면서 60점대에서 70점대초반 이렇게 오고가는데요. 제가 1학년때부터 언어영역에대한 공부를

아에 안해왔습니다. 그러다가 요즘 비문학 시간재가면서 5~6분사이로 한지문 풀어가면서 매일 6지문씩풀고있고요. 문학은

인강을 통해 해결하고있습니다. 수리는 쭈욱 1등급을 받아오다 3학년들어서 2~3 (거의 2등급)등급이 나오고있고요. 외국어는

한때 손을놔서 한없이 추락했다가 방학되고나서 관리들어가면서 개인적으로 모의고사풀어서 5분가량 남기면서 다맞거나 보통

2~3개 틀리고있습니다. 과탐은 물리1, 화학1, 화학2 이렇게 3개만 팔생각이고 그렇게하고있습니다. 어차피 서울대는 못간다는걸 아니까요.

과탐은 전에 알던 개념으로 공부안하고 2~4등급까지 왔다갔다 했는데요. 방학하고나서 인강을 들으면서 부족한파트를 보충하고있습니다.

제가 자랑은 아니지만 머리좋다는 소리는 정말 많이들었고 그덕분에 약간의 자부심(?) 같은게 있는거같기도하고 전 하면 성적이 올라갈거라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네. 고3 6월정도까지도 거의 정신을 못차렸었죠..)

언어를최대 2등급까진 끌어올려야 된다고생각하는데요.  그리고 제가 수학은 약한파트가 정해져있습니다.

공간도형 확률과통계 딱 이렇게 두파트정도가 취약합니다. 배울때 쭈욱열심히 배우다가 마지막쯤가면 꼭 수업도 열심히안듣고 그래서

수1 , 수2 마지막에있는저 파트에서 특히나 취약합니다.

여기서 공부방법에 대해서 질문인데요.


1. 지금 언어공부방법이 맞을까요? 아님 별도로 무언가 더해야될까요? 언어 못해도 80점대까진 올려야된다고 생각하는데 가능할까요?

2. 수리영역은 전체적인 복습보다는 지금모르는 파트만 따로 개념정리하는게 좋겠죠? 그리고 공간도형이나 확률과통계 이해가 쉽게
    할 방법같은게 있나요~?

3. 외국어 점수가 요즘 나오고있는데 2틀에 모의고사 한회씩 풀었거든요. 이 시점에서 조금 느슨하게 3일에 한회정도씩
   풀어도 지장 없겠죠?


여기까지는 제 성적얘기였구요.. 이제 진로문제인데요.

제가 이과생인데 회계사가 되고싶습니다. 회계사란 직업을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어느회사의 회계나 세무관리같은걸 하는거로 알고

있는데요. 제가 원래 이런쪽일에 어느정도 관심이있었는데 회계사란 직업을 알게된 후부터 하면 잘할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과에서도 회계사가 될 수 있나요? 그리고 교차지원이 뭔지 정확하게는 모르겠는데요. 이과에서 문과로 지원하는건가요? 그리고 회계사

공인인증시험을 위해선 무슨 공부를 해야되죠? 너무 두서없이 질문을 한거같은데요.


4. 회계사란 직업이 하는일이 제가 생각하는 그대로인가요?

5. 이과에서 회계사가 될 수 있나요? 가능하다면 어떤식으로 준비해야 되죠?

6. 교차지원은 무엇이죠?


질문이 많은데 신경써주시고 답변해주시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진리는망내
09/08/04 09:52
수정 아이콘
전 문과출신이라 다른건 도움 못 드리겠고요.
제가 생각할 때 언어는 기본적으로 책을 많이 읽은 상태 + 모의고사나 문제집 무한 풀기
이게 점수 올리는데 그나마 좋습니다. 그 동안 별로 문제를 안푸셨다면 열심히 문제 많이 푸시는게 답이듯...
90에서 100점만드는거 보다 60~70점에서 80점 만드는게 훨씬 쉬워요.
머리 좋으시다면 충분히 가능할듯.

회계사는 보통 경영학과에서 많이 합니다. CPA라고 들어보셨을텐데요. (공인회계사)
경영학과에서 많이 하지만 다른 과에서도 많이 합니다.
CPA시험 치시려면 일단 경영학 12학점, 회계학 9학점, 경제학 3학점 이수하고 토익700이상 나오면 자격요건이 되요.
(이건 대학들어가셔서 생각하셔도 될듯. 굳이 학교에서 안듣고 독학사라든지 이런 것도 있거든요.)
(아 그리고 그냥 기억하는대로 쓰는거라 틀릴 수도;;)

보통 2~3년쯤 잡고 하는거 같더군요. (제가 경영학과라 주변에 하는 친구가 좀 많아요. 타과생도 있구요.)

http://cpa.fss.or.kr/kor/cpa/index.action ( 자세한건 여기서 )

교차지원은 자세히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요강에 따라서 이과생도 받아주는 문과도 있을거에요.
제 기억에 예를 들어서 서울대 경영학과는 이과생도 지원가능했던걸로....

이제 수능100일 남았나요?? 열심히 하시길^^
로즈마리
09/08/04 12:08
수정 아이콘
2.
다년간 과외를 하며 지켜본 결과, 통계는 문제가 응용되어 나오질 않더라구요.
몇가지 패턴이 있어요. 외우면 됩니다.
제가 03학번인데 그때부터 지금까지 패턴이 쭉 똑같더군요;;
문제집 1권 사서 그 파트에 기본예제랑 유제, 실전문제를 외워버리세요. 푸는방식을요.
확률은 기본적인 확률개념이 잡혀있다면 바로 모의고사문제집을 푸시면 될것 같아요.
개념은 간단하거든요. 단, 개념이 안잡혀있다면 정석 개념원리 이런거 보지 마시고 교과서를 보세요.
수학 선택과목이 확률과통계,가 아닌이상 확률통계는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문제가 쉽거든요.


공간도형은 크게 두가지로 보시면 되요. 공간좌표랑 정사영. (정사영 안엔 이면각,삼수선정리도 포함되지요.)
특히, 넓이관련 문제는 대충 다 정사영이랑 관련되어있습니다.
이 파트는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풀어보는게 좋은데 당장은 시간이 없으니
모의고사 모음집을 파시면 될것 같습니다.


지금은 전체적인 복습을 하기엔 늦었구요.
zeppelin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부족한 부분의 개념을 보충하고
주로 실전연습 + 오답노트 활용을 하는것이 좋아요.

만족스러운 결과 얻으시길 바래요 ^^
09/08/04 12:17
수정 아이콘
회계사의 주업무는 회계나 세무관리가 아니라, '감사'입니다.

보통 회사 내에서 회계 장부정리를 하는 팀이 따로 있는데,
연말이나 분기, 반기말에 그 정리를 제대로 잘해놨는지, 회계사들이 '감사'를 하고,
괜찮다 싶으면, 거기에 '적정 의견'을 붙여줘서 외부에 공시를 하는거죠.

물론, 연예기획사들처럼 내부 회계시스템이 엉망인 회사에 감사를 나가면,
-그러면 안되지만- 새로 회계정리를 싹 해주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만,
일의 80%는 감사이고요.
그외에 세무업무 자문이라던가 자산 실사, 경영 컨설팅 등의 일을 부가적으로 하기도 합니다.
이제동네짱
09/08/04 13:32
수정 아이콘
CPA 말씀하시는 거면 아는 오라버니가 공대이신데 CPA 준비하시던데요-
과가 크게 중요한 것 같지는 않네요.

일단 회계사가 되고 싶으시다면
경영쪽으로 보통 가던데, 교차지원은 학교마다 요강이 다르니 요강을 찾아보셔야 할 것 같구요.

꼭 경영아니더라도 준비하는 사람 많은거 같으니
대학가셔서 복전하시거나 CPA 동아리나 CPA 준비반에 들어가시면 될 것 같네요:D
zeppelin
09/08/04 15:56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리고요~. 그럼 과는 이과쪽이라도 회계사를 준비는 할수 있는거네요. 아참 , 공간도형에서 정사형 넓이 이쪽보다는 좌표부분을
아에 모르겠네요. 공간좌표쪽은 그냥 외우는수밖에없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1096 어렸을 때 경찰서에 갔었습니다. [5] 래토닝2110 09/08/04 2110
61095 여자친구 엠피쓰리에 넣을내용(노래 영화 짧고 좋은글 등)추천 부탁 드립니다 . [3] 짝복2112 09/08/04 2112
61094 이 노래는 과연 누가부르고 제목이 무엇인가요..? [4] 이상해씨2164 09/08/04 2164
61093 집에서 간단한 싸이클운동을하고있는데요.. [9] 럼블1570 09/08/04 1570
61092 엑스파일 재밌나요? [7] 릴리러쉬2146 09/08/04 2146
61091 저그 투해처리 빌드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오고고럽1871 09/08/04 1871
61090 여행 장소에 대해서 질문드려요~~ [1] Qooluck1520 09/08/04 1520
61089 사슴이랑 살쾡이를 친구처럼 같이 키우면.... 나중에 잡아먹거나 하진 않을까요??? 티나한 핸드레1613 09/08/04 1613
61088 피지알에 올라왔었던 일본노래 찾습니다. [1] 골든해피1537 09/08/04 1537
61087 스타크래프트 팀에 대한 여러가지 질문.. [5] 쪼아1562 09/08/04 1562
61086 [질문] 결혼기념일에 이벤트가 좋을까요, 선물이 좋을까요? [5] Zeegolraid1934 09/08/04 1934
61085 어르신들 생신 선물 건강보조식품 관련 질문입니다. [3] 언뜻 유재석1596 09/08/04 1596
61084 24살 남자 가방 백팩 추천좀 해주세요. [2] 최강정석2726 09/08/04 2726
61083 20일 후에 군입대인데요... [6] Xavi1865 09/08/04 1865
61082 여자친구와의 무박여행, 예능 1박2일 질문입니다. [6] 부끄런상디2101 09/08/04 2101
61081 시력이 굉장히 안좋아도 렌즈를 착용할수있나요? [9] 날카로운비수2718 09/08/04 2718
61080 중고 가전제품 구입? [3] 2ndEpi.2162 09/08/04 2162
61079 고3 공부방법 및 진로에 관해서 질문이요. [5] zeppelin2186 09/08/04 2186
61078 안면도 다녀오신 분들께 질문~^^ [7] 제천대성1882 09/08/04 1882
61077 럴커를 겹쳐서 버로우 하는 요령 [12] 블랙독2212 09/08/04 2212
61076 scvhost.exe DLL 초기화 실패 & spyware 문제입니다. [2] 정태영2094 09/08/04 2094
61074 혹시 생일선물로 목걸이 해주셨던 분들 계신가요~? [7] 음..2084 09/08/04 2084
61073 닌텐도 포켓몬스터 게임에 관한 몇가지 질문입니다. [4] 도시의미학2219 09/08/04 22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