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15 12:44
리플이 엄청 많이 달리는게 pgr 게시판의 특징 중 하나인데... 최근 리플이 달린 글이 앞으로 나오게 되면
너무나도 자주 글 순서가 바뀌게 되지 않을까 염려스럽긴 하네요. 현재 사용중인 형태에 딱히 불만이 없어서 그런지 변화를 두려워하게 된다는...(나는 보수인가! -_-!)
09/07/15 12:48
Ms. Anscombe님// 쓰레드 형태라는게 2Ch와 kldp.org에서 쓰이는 게시판 형태인데 날짜순으로 정렬이 되는게 아니라
한주제별 게시된 글에서 최근에 작성된 댓글이 앞으로 노출되는 형태입니다. 히로하루님// 처음에는 혼라스러울실수 있지만 이게 쓰다보면 더 편합니다. 자기가 원하는 이슈를 금방 볼 수 있고 댓글도 금방금방 확인 할수 있고요 다른분들은 어떤 생각인지 궁금하네요
09/07/15 12:58
개인적으론 한국에선 일반적인 게시판 형태가 낫다고 봅니다.
주제별로 아주 심하게 분화가 되어있는 DC 같은 곳이 아니라면 대체로 자유 게시판에 이런 저런 글들을 다 쓰도록하는 한국의 사이트들, 특히 정치적 성향이 강한 PGR 자유게시판 같은 경우엔 끊임없이 떡밥이 돌고 돌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론 반대입니다. 그리고 PGR 오는 재미는 그런 글만을 보는게 아니라 유저 나름대로의 주제에 심혈을 기울여 쓴 글들도 보러오는 거죠. 어차피 이곳에선 많은 리플이 달리는 글들이 정치/논란 글들이라고 봤을 땐 쓰레드 형식을 적용했을 경우 PGR스러움이 없어질 것 같긴합니다. 전략 게시판이나 토론 게시판 같은 곳은 적용해봐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만 그외 나머지 부분들은 좀.
09/07/15 13:00
쓰레드 형식이 주제별로는 편하긴 하지만
아무래도 시간순으로 하는것에 비하면 개인적으로는 더 편하다고는 못하겠어요. (둘다 좋지만 전 지금이 더 좋음) 게시판 리뉴얼은 필요하긴 합니다. 요즘 IE만 쓰는것도 아니고.. 한글로된 그림파일들 볼때마다 게시판 리뉴얼했으면 하네요.
09/07/15 13:02
논쟁글 같은 경우 페이지가 넘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정리가 될 수 있는데, 쓰레드형식이라면 끊임없이 논쟁이 재생산될 수 있죠.
최악의 경우 정치/종교/여성/군대 같은 개별 논쟁글들이 언제나 상위에 배치될 수 있는 단점도 있으니까요...
09/07/15 13:05
저도 쓰레드 방식을 참 좋아합니다. ^^;
하지만 피지알은 자유게시판에서 모든 주제가 다뤄지고 있어서 쓰레드 방식은 조금 어려울 것 같아요. 만약에 쓰레드 방식으로 한다면 분류가 좀 많이 생겨야 할 것 같아요.
09/07/15 13:26
구현만 가능하다면 쓰레드 방식의 뷰와 기존 시간순의 뷰를 유저 선택에 의해 둘다 제공하는 게 이상적이겠죠.
그러나 운영진분들이나 관리자분들께 머리 쥐어뜯으시라고 할 수도 없고.. 인터넷 프로그래밍은 안해본 제가 짜드릴 수도 없는 거고..(아흑 ㅠㅠ) 관심게시글 등록하고 새 리플 달릴 때마다 유저에게 알려주는 것도 재밌을 거 같은데 역시 구현의 압박이..=_= 개인적인 생각이지만..글마다 말머리를 달면 어떨까 합니다. [정치] [종교] [경제] [사회] [여성] [군대] [잡담] [게임] [모임] 이런 식으로요.. 이렇게 하면 특정 주제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검색어로 해당글들만 쉽게 찾아볼 수 있겠죠. 동일 주제의 글이 계속 양산될 필요 없이 특정 글에서 계속 논쟁을 할수도 있고요.
09/07/15 13:29
많이 나왔던 이야기인데 큰 변화이고 회원들간의 선호가 엇갈리는 부분입니다.
PGR에 도입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계속 검토하고 있지만 PGR게시판은 보안패치가 최신으로 되어있고 알려진 보안문제는 없습니다. 스레드 형식이 아니더라도 게시판 교체 만으로도 사이트의 성격자체를 바꿔버리는 커다란 변화이기 때문에 쉽게 생각할 수 없습니다.
09/07/15 14:17
Toby님// 아쉽네요ㅠㅠ 그런데 질문을 하나 드리자면
전에 있었던 광고글 게재 사건은 어떻게 된건가요? 재발 방지책을 찾아야 되지 않나요?
09/07/15 14:24
Gidol님// Toby 님이 어렵다고 하시기도 했지만, 특정 주제를 다루는 사이트도 아닌 상황에서 '분류'를 하는 게 생각만큼 그리 쉽지가 않습니다. 더군다나 분류가 일종의 '한정' 역할을 하기도 하겠죠. 사실 대규모 검색 사이트도 아니고, 1회 1페이지가 약간 넘는 정도의 글의 올라온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 상태에 그리 불만은 없습니다. 페이지가 넘어가서 논쟁이 끝난다의 문제는 시스템적 문제라기보다 그 자체 유저들의 관심도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09/07/15 15:07
논란의 주인공입니다만 저도 반대에요. 실시간 댓글 채팅은 좋아하지만 그게 계속 불어나면 그거 다 일일이 읽는 것도 귀찮아지는걸요. 뻘댓글은 적당히!
09/07/15 16:06
朝之雨音님//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서 재발방지책은 아직 없습니다.
진단이 잘 되어야 처방도 나오는 법인데... 데이터가 부족한 상태에서 억지로 진단을 내릴 순 없거든요. 해킹이라고 볼 수 있는 근거는 아직 없습니다.
09/07/15 20:26
Toby님// 잘알겠습니다. 그런데 게재된 광고글을 보면 하나같이
동일한 바다이야기였던 것 같습니다. 삭게에 있는 게시물로 IP추적같은 걸루 동일한 IP인지 확인해보면 알수 있지 않나싶은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