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24 20:54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모두 Phosor domain(frequency domain) 에서는
임피던스(Impedance)로 볼 수 있습니다. 저항의 임피던스 Z = R 이고 커패시터의 임피던스 Z = 1/jwC 인덕터의 임피던스 Z = jwL 입니다. 유도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ime domain => frequency domain v = Ri => V = RI (대문자는 벡터) v = L(di/dt) =>양변적분 V = jwL*I v = C(dv/dt) =>양변적분 V=I/jwC 식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저항과 인덕터는 똑같이 직렬일때 더해주고 병렬일때 역수를 더해준것의 역수를 취해줍니다. 커패시터는 역수 이므로 직렬일때 역수를 더해준것의 역수를 취해주고 병렬일때 더해줍니다.
09/05/24 21:00
석사반대님..
제가 전자과 2학년 1학기 과정인데.. 도저히 제 지식으론 이해가 안 되네요 ㅠ 저항과 커패시터가 역수관계인걸 최대한 알기 쉽게 이해할려면 전공공부 더 해야 하는건가요?ㅠ 제 수준에 맞게 쉽게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09/05/24 21:02
전하의 관점에서 봤을때
저항은 전하의 흐름을 방해하는 능력이고 커패시터는 전하를 축적하는 능력입니다. 저항을 직렬로 연결했을때 전하의 흐름을 방해하는 능력은 저항의 갯수에 비례 할것이고 병렬로 연결했을때는 전하의 흐름을 방해하는 능력은 위의 공식에 의해 줄어들게 됩니다.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했을때 전하 축적능력은 커패시터의 갯수에 비례 할것이고 직렬로 연결했을때 전하 축적능력은 위의 공식에 의해 줄어들게 됩니다. 그림이라도 그려서 설명하면 쉽게 설명하겠지만.. 공식을 빼고 설명하려니 좀 이상하네요;; 전하의 관점에서 저항과 커패시터 소자를 이해하시면 쉽게 의문이 풀리리라 생각합니다. 추가합니다. 분배법칙을 사용하다보니 저항의 병렬합성저항 구하는 공식과 직렬합성커패시턴스를 구하는 공식이 일치 할 뿐입니다.
09/05/24 21:06
저도 전자과입니다만,
물리적인 것을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1학년때 배우신 '물리학' 뒷부분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전자과에서는 일단 물리적인 것들을 가정하고 석사반대님께서 말하신 것을 '이용'만 하죠.
09/05/24 21:31
바카스님// 전자과 2학년 1학년 이시면 조금만 더 공부하시다 보면 알게 되실겁니다.
확실히는 다음학기때 배우게되겠군요 그냥 지금은 그렇다라고 알아두시고 후에 왜 그런건지 자세히 아시면 될 것 같습니다.
09/05/24 21:46
R -> R
C -> 1/(S * C) 원리는 모르지만 라플라스변환하면 요렇게 되죠^^; s-domain 으로 변환하여 임피던스 차원으로 일치시키면 역수관계가 됨을 알 수 있네요.
09/05/24 22:51
'전자기학'이라는 1학년 대학물리의 전하부분만을 중점적으로 다룬 과목이 있습니다.
전국 어느 대학의 무슨 전자과든 이 과목을 수강한다고 알고 있는데(제가 아는 학교안에서는 전부 다입니다.) 그 곳에서 꼼꼼히 모든 부분을 성찰하면서 증명 하나하나의 의미를 놓치지 않고 잘 따라가다 보면 궁금했던 모든 것이 풀리게 됩니다. 다만 그 전에 적당히 타협하고 시험만을 위한 공부만 하다보니 정확한 답변을 저는 못 내리겠군요. 정말로 궁금하고 알고 싶은신거라면 한번 열심히 수강해보세요.. 물론 전공필수과목이라 피해갈 수도 없는 과목입니다.(이것 역시 거의 대부분)
09/05/24 23:43
코스믹버드님~
전자장 말씀하시는건가보군요. 전자장 과목 교과서 이름이 전자기학 맞습니다. sadiku저. 진짜 토나옵니다. ㅠ 전자회로랑 양자물리는 할만한데 진짜 전자장 이 넘의 색히는... 아우 그냥.......ㅠ 유전율쪽 구형 커패시터 부분 보고 있는데 커패시터의 직병렬이 저항과 역수관계로 나와있고 이유가 없길래 여기에 질문글 올려본겁니다.
09/05/25 09:17
이 문제는 궂이 어렵게 접근할 필요 없습니다.
저항의 경우 V=IR이기 때문에 직렬의 경우 한 도선의 전류가 일정하다고 보면 V = IR1+IR2 = I(R1+R2) = IR R = R1+R2 병렬의 경우 같은 전위점이기 때문에 양 끝의 전위가 같다고 보면 I = V/R1 + V/R2 = V*(1/R1+1/R2) = V/R 1/R = 1/R1 + 1/R2 입니다 캡의 경우 Q=CV입니다. 직렬 연결하면 전류가 일정(전하를 미분한 것)하다고 보면 dV/dt=I/C = I/C1 + I/C2 = I*(1/C1+1/C2) = I/C 1/C = 1/C1+1/C2 병렬연결은 전압이 일정하다고 보면 Q=CV=C1V+C2V C=C1+C2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