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12 09:53
안녕하세요! 임요환의 DVD입니다.
이런건 친구의 부탁이라도 유료(?)로 하셔야 될텐데 무료라면 친구분께서 예의상 삼겹살이라도 쏴야 합니다...... 초벌번역 수준이므로 적당히 고쳐서 사용하시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주어가 없는 한글 문장이 종종 있어서 제가 확신이 없는 문장이 많습니다. 읽어 보시고 말이 안 되면 매우 수정해주세요. 도시하수나 산업폐수에 대한 처리수준을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법적방류 기준에만 맞추어 왔다는 점이 국내ㆍ외에서 논란이 되고 있으며 현재의 과학기술로 유해성이 밝혀지지 않은 환경호르몬 (내분비계장애물질)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오염물질이 등장하고 있어 폐수재이용, 나아가서는 무방류시스템(Zero Discharge)의 도입을 촉진 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level of Wastewater Treatment has been adjusted only to the legal requirement on poor scientific foundation. This issue has been controversial in both domestic and abroad. As a result, Wastewater Reuse and Zero Discharge are encouraged in terms of new polutions such as environmental hormones (endocrine disrupters) containing scientificly-unknown harm. 폐수는 생산공정에 따라 오염물질의 종류가 다양하고 농도변화도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동일공정의 경우 오염물질이 일정하고 투입된 약품을 알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처리공정을 거치면 안정적인 재이용수 공급이 가능하다. 특히, 용수의 수요처와 배출되는 폐수는 어느정도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어 재이용에 유리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폐수는 자체오염외에 처리과정에서 다앙한 화학약품이 재투입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이용수 생산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단위 요소기술이 조합되어야 한다. It is known that wastewater varies in its pollutant and thickness by production proces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same production process, reusable water supply becomes possibly stable after adequate treatment to coherent pollutants. Reusable water seems even advantageous in some cases because it has similarities with wastewater in a way. However, a stable supply of reusable water still needs helps from many factor technologies because wastewater contains not only its own pollutants, but also various chemicals included in the treatment process. 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무방류 시키기 위해, 증발농축기 및 증발건조기를 이용하여 중발응축액을 공장의 공정용수에 맞도록 재이용하고, 농축액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고형물형태로 외주전문업체에 위탁처리 하는 것이다. 폐수배출원과 수량및 수질의 특성에 맞게 소정의 전처리설비를 구성하여 무방류설비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중점으로 설비를 구성하여야 한다. For Zero Discharge, factories may reuse 중발응축액 by processing it through 증발농축기 plus 증발건조기. Also, they may outsource the treatment service after solidifying the concentrate. The pre-treatment system needs to consider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stewater source in terms of the maximum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Zero Discharge system. 본설비의 장점으로는 폐수처리량의 감소 및 비용절감, 공업용수의 대체화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공장부지의 한정화로 인해 폐수방류의 법적규제, 환경보전 및 책임감의 고취로인해 방류수 수질규제강화로 인한 대처방안등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폐수처리 시스템이다. This system is beneficial in reducing wastewater, saving costs, and subtituting industrial water. It is also one of the best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in response to radical changes related with tight regulations for better water quality.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서 각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그 종류도 다양해졌고 위험수위 또한 날로 높아져만 가고 있다.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은 열수, 중금속류, 폐유류, 산ㆍ알카리류, 유기용매류 유기화학물류(PCB,농약등), 무기화학물 및 유독한 폐액류등의 유독한 물질을 다량농후한 상태로 배출 되어 폐수처리가 미흡할 경우에 하천수나 해수로 흘러 들어가 오염시켜 생태계를 크게 위협하게 된다. 특히, 산업폐수는 난분해성이고 유기물질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한가지 폐수처리 공정으로는 완전히 처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As industry devolops, wastewater becomes more varied and dangerous. Factories using chemicals would so emit fair amount of hazardous materials such as 열수, 중금속류, 폐유류, 산ㆍ알카리류, 유기용매류 유기화학물류(PCB,농약등), 무기화학물 및 유독한 폐액류등 that they would end up threatening ecosystem when they are less careful in wastewater treatment than they should. Industrial wastewater, especially, has fundamental difficulties in treatment because one treatment process cannot deal with its non-biodegradablity and multi-organisms. 정부의 강력한 오염방지정책에 따라서 폐수 및 폐액 처리비용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때에 화학폐기물(폐수)의량을 줄이는 방법을 찾는 것이야 말로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하지 않을수 없다. 특히, 난분해성 고농도 복합폐액/폐수는 방류없이(Zero Discharge) 처리할 수 있는 최신기술 공법 (선진산업환경조성)이 필요함. In response to Government's intense anti-pollution policies, wastewater and wastefluid treatment expenses are increasing day by day. Therefore, finding a way to reduce chemical waste(water) is obviously important. When it comes to non-biodegradable and highly- concentrated wastewater/wastefluid, new technology satisfying Zero Discharge is essential. 도금폐수는 다른 일반산업에 비해서 양은 적으나 유독성이다. 도금의 종류에 따라 폐수 중에 함유되는 유해이온도 각각 다르나 맹독성의 시안화물을 위시하여 크롬, 구리, 아연, 니켈등의 유해 물질을 배출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도금공장에 있어서 폐수의 주발생원은 도금체의 세정수이다. 도금폐수 is relatively less in amount but still hazardous. No matter how it varies in the hazardous ion by the materials of plating, it affects a great deal to the environment when it discharges from deadly-poisonous cyanides to hazardous materials of chrome, copper, zinc, nickel, etc. The 세정수 for 도금체 majorly origins the wastewater from 도금 factories. 소규모 공장은 small factories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소규모는 사전 찾아보시면 small-sized 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