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26 16:37
솔직히 말해서 주식과 주식관련 투자 상품(펀드등)은 기본만 알면 (펀드 기본원리와 적립식과 거치식의 차이점,
계좌트고 사고파는 방법정도) 그 이후에는 웬만큼 공부해봤자 소용없습니다. 어찌보면 동전 앞뒷면 맞추기에 가깝습니다. 펀드야 잘 골라도 결국 주가가 오르면 올라가고 주가가 떨어지면 떨어지는거고, 다만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뿐이죠. 지역별 분산투자를 하겠다 뭐 이런것도 요즘에는 큰의미는 없어요. 글로벌 증시가 correlation이 심해서 오르면 다오르고 떨어지면 다떨어지거든요 (이것도 나라별로 편차는 있지만 그렇다고 이를 예측하기도 쉽지 않죠) 그리고 어떤 펀드가 잘나갔는지, 앞으로는 잘 나갈지, 이런것도 공부한다고 항상 더 좋은 선택을 하는게 아닙니다. 근본적으로는 동전던지기에 가까워요. 일단 한가지는, 전문가나 남의 예측에 너무 맹신하지 마세요. 알아보고 싶다면, 지난 몇년간 연초에 언론에 나온 금융 전문가들의 주가 예측과 잘나갈 펀드 예상과 그 연말에 결과치(펀드 수익률등)를 비교해보세요. 그냥 길가는 유치원생에게 하나 골라봐라 하는것과별다르지 않은 성공률입니다. 펀드를 할때 준비할건, 펀드 자체에 대한 공부가 아니라 이 돈이 잃어도 되는 돈인지, 내가 어디까지 잃어도 괜찮은지.. 스스로의 재무 계획과 마인드 컨트롤을 명확히 하는겁니다. 오히려 이게 가장 중요하죠. 증시를 예측하려 하지 말고 본인의 재무구조와 risk관리에 대해 더 고민하세요. 그리고 대학생이시니 아직 큰돈으로 하는게 아닐듯한데 , 그러면 일단 시작하세요. 조금 잃더라도 일단 사야 공부를 제대로 하게 됩니다. 나중에 꽤 큰돈을 들고 처음입문하다가 초반에 좀 벌었다고 몰빵하고 그러다가 다 날려 먹는 사람들을 보면, 좀 어릴때 부터 했다면 risk관리법을 좀 깨우쳤을텐데 하는 생각이 들긴합니다.
09/04/26 16:59
경제에 대한 시야를 넓히기 위한 공부가 목적이라면... 펀드와 같은 간접 투자보다는 주식이나 채권에 대한 투자를 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펀드에 대한 공부는 제 생각엔 기본적인 지식을 제외하고나면 개별 시장보다는 전체 시장의 시황에 대한 시각을 키우는 것 정도일텐데... 시작하는 단계에서 하기엔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를 짜야한다던지.. 다양한 분산 투자를 해야한다는 말이 있는 것일테구요. 어떤 것을 투자하더라도 전체 시장의 시황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시각을 갖는 것 자체는 굉장히 중요한 일이고 필요한 일이지만 초보에겐 쉽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작은 것들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채권에 대해선 저도 많은 경험이 있지도 않고 지식도 많지 않지만, 경제나 경영에 대한 시야를 넓히는데는 채권에 대한 움직임을 공부하는 것이 더 도움이 많이 된다는 이야기에 동의하는 편입니다. 재테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에 있어서 자신만의 원칙을 세우고, 그것을 지켜내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09/04/26 17:43
좀 딴 얘기지만, 주식도 간접투자 아닌가요?^^; 설비, 제품등 현물에 투자하는게 직접 투자이고 증권이나 채권, 펀드등에 투자하는게 간접투자라고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 (정말 몰라서 그렇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