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4/26 16:20:51
Name Xabi Alonso
Subject 간접투자 관련 공부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론경제만 공부하다가 투자와 재테크에 관심이 생겨서 알아보던중,
많은 분들이 직접투자보단 간접투자를 권하셔서
펀드쪽을 들어가보기로 마음 먹은 한 대학생입니다.

펀드가 간접투자라곤 하지만 절대 쉽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이 아닌건 잘 알고있고,
많이 준비하고 생각해야 한다는것도 알고 있습니다.

'펀드 잘 고르고 포트폴리오 잘 짜고 환매 타이밍 잘잡고' 이 3가지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알고있는데요.
허나 주식투자처럼 꾸준히 '심도있는' 공부가 필요한지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진짜 궁금해서..)

pgr에 펀드하시는분들 투자에 대해 공부는 얼마나 하시며,
어떤부분을 중점으로 어떻게 공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無의미
09/04/26 16:37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해서 주식과 주식관련 투자 상품(펀드등)은 기본만 알면 (펀드 기본원리와 적립식과 거치식의 차이점,
계좌트고 사고파는 방법정도) 그 이후에는 웬만큼 공부해봤자 소용없습니다.
어찌보면 동전 앞뒷면 맞추기에 가깝습니다.

펀드야 잘 골라도 결국 주가가 오르면 올라가고 주가가 떨어지면 떨어지는거고, 다만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뿐이죠.
지역별 분산투자를 하겠다 뭐 이런것도 요즘에는 큰의미는 없어요. 글로벌 증시가 correlation이 심해서 오르면 다오르고
떨어지면 다떨어지거든요 (이것도 나라별로 편차는 있지만 그렇다고 이를 예측하기도 쉽지 않죠)
그리고 어떤 펀드가 잘나갔는지, 앞으로는 잘 나갈지, 이런것도 공부한다고 항상 더 좋은 선택을 하는게 아닙니다.
근본적으로는 동전던지기에 가까워요.

일단 한가지는, 전문가나 남의 예측에 너무 맹신하지 마세요. 알아보고 싶다면, 지난 몇년간 연초에 언론에 나온 금융 전문가들의 주가 예측과 잘나갈 펀드 예상과 그 연말에 결과치(펀드 수익률등)를 비교해보세요. 그냥 길가는 유치원생에게 하나 골라봐라 하는것과별다르지 않은 성공률입니다.

펀드를 할때 준비할건, 펀드 자체에 대한 공부가 아니라

이 돈이 잃어도 되는 돈인지, 내가 어디까지 잃어도 괜찮은지.. 스스로의 재무 계획과 마인드 컨트롤을 명확히 하는겁니다.
오히려 이게 가장 중요하죠. 증시를 예측하려 하지 말고 본인의 재무구조와 risk관리에 대해 더 고민하세요.

그리고 대학생이시니 아직 큰돈으로 하는게 아닐듯한데 , 그러면 일단 시작하세요. 조금 잃더라도 일단 사야
공부를 제대로 하게 됩니다. 나중에 꽤 큰돈을 들고 처음입문하다가 초반에 좀 벌었다고 몰빵하고 그러다가 다 날려
먹는 사람들을 보면, 좀 어릴때 부터 했다면 risk관리법을 좀 깨우쳤을텐데 하는 생각이 들긴합니다.
09/04/26 16:59
수정 아이콘
경제에 대한 시야를 넓히기 위한 공부가 목적이라면... 펀드와 같은 간접 투자보다는 주식이나 채권에 대한 투자를 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펀드에 대한 공부는 제 생각엔 기본적인 지식을 제외하고나면 개별 시장보다는 전체 시장의 시황에 대한 시각을 키우는 것 정도일텐데... 시작하는 단계에서 하기엔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를 짜야한다던지.. 다양한 분산 투자를 해야한다는 말이 있는 것일테구요. 어떤 것을 투자하더라도 전체 시장의 시황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시각을 갖는 것 자체는 굉장히 중요한 일이고 필요한 일이지만 초보에겐 쉽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작은 것들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채권에 대해선 저도 많은 경험이 있지도 않고 지식도 많지 않지만, 경제나 경영에 대한 시야를 넓히는데는 채권에 대한 움직임을 공부하는 것이 더 도움이 많이 된다는 이야기에 동의하는 편입니다.

재테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에 있어서 자신만의 원칙을 세우고, 그것을 지켜내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우리결국했어
09/04/26 17:43
수정 아이콘
좀 딴 얘기지만, 주식도 간접투자 아닌가요?^^; 설비, 제품등 현물에 투자하는게 직접 투자이고 증권이나 채권, 펀드등에 투자하는게 간접투자라고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 (정말 몰라서 그렇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4546 ppt배경 추천부탁드려요 [1] 풍만3722 09/04/26 3722
54545 컴퓨터 견적, 검토해주세요^^ [6] 화려한프로토1643 09/04/26 1643
54544 언어영역 고수분들 도와주세요 [7] pipipi1756 09/04/26 1756
54542 현재 국민 여동생이 누구인가요? [18] 비야레알2247 09/04/26 2247
54541 택배분실시 누구 책임인가요? [2] 불타는오징어1921 09/04/26 1921
54540 가보신 예식장 중에 추천해주실곳 있으신가요? [2] 달걀껍질1716 09/04/26 1716
54539 스팀다리미(길쭉하게 생긴..) 질문 [3] 8141993 09/04/26 1993
54538 박찬호 선수가 국내 리그에서 뛸 수도 있을까요? [11] 스타바보2077 09/04/26 2077
54536 게시물 작성시에 배경음악.. [1] 미스서1551 09/04/26 1551
54535 usb에 자꾸 vips.exe 란 파일이 생성되네요 [3] kapH2566 09/04/26 2566
54534 [ZVSP]상대 체제의 대한 대처법 질문... [12] Inocent1638 09/04/26 1638
54533 컴퓨터 부팅 후 느려짐 문제.. 도와주세요 [13] 쮜방울5697 09/04/26 5697
54530 [긴급] 집앞에 강아지 한마리가 있어요. [9] 요비2114 09/04/26 2114
54529 간접투자 관련 공부에 관한 질문입니다. [3] Xabi Alonso1700 09/04/26 1700
54528 야경 볼수 있는 좋은 장소즘 추천해 주셔요 [1] 현지사랑1653 09/04/26 1653
54527 포맷 이후에 약간의 사소한 문제점이 생겼는데요.. 창이1903 09/04/26 1903
54526 염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3] 브랜드뉴1912 09/04/26 1912
54525 일산에서 와이브로 쓰시는분들께 질문이요. beloved2083 09/04/26 2083
54524 음 옷사이트 질문이요!! [5] DeStinY....1935 09/04/26 1935
54523 MVP이후 MVP급 후속작 야구게임 없나요? [16] EzMura2268 09/04/26 2268
54522 컴터에 이상한게생겼어요.(수정) [2] Chloe1958 09/04/26 1958
54521 공군ACE의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6] 라이디스2183 09/04/26 2183
54520 애니메이션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Dizzy2308 09/04/26 23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