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11 23:16
UV를 자주 이용하시는 것을 볼 때 학부생은 아니신 듯 한데... 실험실 선배님께 측정법에 관해서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합니다만,
1번 방법이 보다 정석적인 방법입니다만, 2번도 경우에 따라서는 가능할 겁니다. 용매가 물이라면 셀+물을 베이스라인으로 잡고 실험하셔도 괜찮습니다.
09/04/11 23:31
yoosh6// 최근 저희 학과에 uv 분석을 하는 실험실이 거의 없어서 주위에서 알아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교수님께 여쭤보기도 창피하고...
아! 용매는 THF(tetrahydrofuran) 일 경우입니다, 빈 상태를 baseline 으로 잡고 THF 를 측정해보니 uv 흡수가 있더군요... 분자구조를 봤을 때는 이중결합도 없고 해서 흡수가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고리형태라서 흡수가 있는건지... uv 흡수가 있는 THF 용매 조건에서도 [셀+THF] 를 baseline 으로 잡아도 되는건가요?
09/04/11 23:45
히든고수님//
Sample의 UV값이 대단히 낮은 것이 아니라면, 실질적으로 어떤 식으로 해도 오차 범위 이내일테니.. 큰 오차가 있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제 생각으로는 첫번째 방법을 사용한다고 해도 크게 시간이 걸리거나 번거로움도 생기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기에 가능하면 정석적인 실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09/04/11 23:46
셀+용매의 길이도 중요하기 때문에 따로 기록해서 하는게 정확한 방법이죠. 실험의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가장 중요한거는 TA의 말을 따르는거-_-;;;; 괜히 맞게 했는데도 틀리다고 하는 경우가 있어요..
09/04/12 01:27
제가 학부때 할 때는 '셀+용매' , '셀+용매+시료' 로 측정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시료합성 부터 진행한 실험이니 시간관계상 그렇게 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대학원에서는 uv를 하지 않아서.. 그리고 교수님께 물어보시는게 좋겠네요. 아마 정기적인 보고라거나 토의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니 슬쩍 말씀드려 보세요.
09/04/12 18:06
대부분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standard값을 빼게 됩니다. 따라서, 값의 차이는 없겠죠. 정확한 방법을 알고싶다고 하셨으니...
하지만, 리포트할때는 저렇게 하면 안됩니다. (100+30)+100=230 과 130(비율모름)+100=230 되는것은 엄연히 다르니깐요. 학부라면, 분석쪽 실험이 아닌이상 쉽게 값을 구해도 될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