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3/04 15:16
highly skilled sport를 선행사로 한 목적격을 나타내는 관계대명사 같네요.
in which 목적격으로 네이버검색하면 자세하게 나올겁니다. 정말 자세한 답변이 많아요.
09/03/04 15:55
in which면 부사+관계대명사=관계부사 요걸 적용할 수 있을듯 합니다. 저기에 where을 넣어서 해석해도 괜찮겠네요. 고도로 기술적인 스포츠라는 얘기 뒤에 그 분야에 대해서 설명하기 때문에 in which로 설명을 하고 있네요.
09/03/04 15:58
이미 배우셨겠지만,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이 있을 경우, 앞 문장과 뒷 문장의 공통되는 단어를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위의 문장을 두 문장으로 나누어보면, 1. It(skiing) is a highly skilled sport. - "스키는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스포츠이다." 그리고 2. Experts can slide down a mountain trail at more than an 60 miles an hour ~~~ in it(skiing). "스키에서(스키를 탈 때), 숙련자들은 산비탈을 시속 60마일 이상의 속도로 내려 올 수 있고~~~". 이 두 문장으로 나뉘어 집니다. 이 두 문장을 연결시킬 때,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것이 it(skiing)이고, 이 부분을 관계대명사로 묶은 문장입니다. in 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는 스키의 특성을 말하기 위해서, 범위를 스키로 한정시켜주려 하다보니 전치사 in 을 써야했구요. 좀 복잡하게 말씀 드렸는데, 관계대명사로 묶어진 문장이 잘 이해가 안 되실 때는, 원래의 두 문장으로 나누어서 이해하시면 쉬울 듯합니다. ^^;
09/03/04 16:20
장성원님// 먼저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관계대명사의 선행사라 함은 보통 관계 대명사 앞에 오지 않나요? 두 문장에서 공통된 부분을 선생사로 만들고 그 뒤에 관계 대명사를 쓰는게 일반적으로 들어서요. 예를 들면
I have a sister. She is a doctor. 이 문장에서 sister와 she가 겹쳤기 때문에 sister를 선행사로 한 I have a sister who is a doctor.가 만들어 져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면 선행사가 skiing이 아니고 sport가 아닌가 싶은데요. 선행사가 sport일때 두문장을 어떻게 분리해야 이해가 쉬울지 몰라서 질문을 드렸던 겁니다. 장성원님의 말대로라면 선행사가 관계대명사와 떨어져 있는 경우도 있는 건가요?
09/03/04 16:58
ex-sports님// 단순히 4번째 문장으로 본다면 sport만 된다고 생각할수 있지만, it is a highly skilled sport에서 it과 a haighly skilled sport는 be(is)동사로 인해 동격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which는 단순 마지막에 오는 명사 sport만 아니라 a highly skilled sport라는 명사구 전체를 받아주는 역활을 합니다. 앞에 문장에서 it이 skiing 임을 알 수 있으므로 which = a highly skilled sport = it = skiing이 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저도 잘하는 편이아니라 좀 횡설수설한것 같지만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09/03/04 17:08
선행사는 sport가 맞습니다. 다만 문맥상으로 이해하자면 그 문장 안에서 sport=skiing이기 때문에, 장석원님께서는 그 부분을 말씀하시고자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왜 in인가에 대해서는 morethanair님과 장석원님 두 분께서 잘 설명해주셨네요. 특정한 '분야' 혹은 '영역'을 말할 때는 where을 쓰는 경우가 많고, 그것을 전치사+관계대명사로 바꾸면 'in which' 가 됩니다. 그러면 at도 있지 않냐, 라고 하실 수 있겠습니다만 at은 어떤 특정한 곳에 정확히 포착되는 경우 (예: you can buy it at the mall.) 인 것이고, in은 정확히 짚어서 한 점으로 이야기할 수 없는 특정 범주를 설명할 때 씁니다. 청와대는 서울에 있다,고 할때 The Blue House is in Seoul 이라고 쓰지 at Seoul이라고 쓰지 않죠. 마찬가지로, 어떤 분야나 영역도 거기에 포함되는 요소에 관해 이야기할때나 그것을 명확히 하려고 할 때는 in을 씁니다.
질문하신 문장과 비슷한 예를 들어 드리자면, 식물학은 식물학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탐구하는 학문 영역이다, 라고 한다면 Botany is a field of study in which botanists explore many different speices of plants. 라는 문장이 나오겠지요.
09/03/04 17:10
It is a highly skilled sport.
+ Experts can slide down a mountain trail at more than 60 miles an hour, soar through the air for several hundred feet, or make quick turns through an obstacle course [in a highly skilled sport]. <--- 이게 전체 문맥상 결국 스키를 의미하겠죠. --> It is a highly skilled sport [which] experts can slide down a mountain trail at more than 60 miles an hour, soar through the air for several hundred feet, or make quick turns through an obstacle course [in]. --> It is a highly skilled sport [in which] experts can slide down a mountain trail at more than 60 miles an hour, soar through the air for several hundred feet, or make quick turns through an obstacle course.
09/03/04 18:59
앗, 죄송합니다. 제가 선행사를 잘못 봤네요. Ex-sports님 말씀대로 선행사는 sport가 맞습니다. 정확하게 설명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09/03/04 21:07
쿠로사키 이치고님// 장성원님// 퍼플레인님// 저그매니아님// MoreThanAir님// 데미님// 모두들 정성스런 답변 감사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