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3/03 22:34:47
Name 무늬
Subject 영어를 못해서 고민입니다..
나름 한국에서 명문대라 불리는 대학에 진학을 했고.. 초6이 되서야 알파벳을 때는 등 매우 늦게 영어를 시작했지만
노력을 통해 ' 수능영어 ' 는 극복을 했었습니다. 그렇지만 영어는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어차피 미국갈일도 없고 역시나 수험영어중 하나인 ' 토익 ' 는 제가 목표로하는 CPA에서 요구하는 수준에는 충분히 달성해서
걍 할 생각이 없었는데 오늘 실용영어 수업을 듣고 완전 좌절했습니다.
같은과 동기들은 대부분이 외고 출신이라 기본적인 회화는 충분히하고, 토플에서 110점이상의 고득점을 맞는
네이티브급의 친구들도 몇명 있습니다.

결국 저는 교수가 먼저 말을 걸었음에도 어떠한 말도 하지 못했고
i can't speak englsih well 이런 말밖에 못했습니다. .. 죽고싶네요.
이 외에 이야기를 하려면 문장구조는 전혀 떠오르지 않고 불규칙한 영어어휘의 나열밖에 되지 않습니다..
마치 무한도전에서 콩글리쉬 하듯이요.

저는 다필요 없고 실용영어에서 최소한 몇마디로 하고 싶습니다..
학원을 다녀야할까요 미드대본을 외워야할까요 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매너플토
09/03/03 23:56
수정 아이콘
학원을 처음부터 다니는건 별로 인 것 같네요..

영어에 왕도는 없습니다..
어렸을 때 모국어로서 영어를 습득하지 않는 이상..
어느 정도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의 차이는 있겠지만요.

영어공부를 한 사람들이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원서 읽기 와 자막없이 미드보기 정도 입니다.

자기 수준에 맞는 쉬운 원서 책을 소리내서 계속 읽어보세요.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미드를 구해서 자막없이 보고.. 영어자막 으로 다시 한번 보고..
그런식으로 몇 시즌을 보시면 어느정도 영어에 자신감이 붙을 것 입니다.
더욱더 빨리 늘고 싶으시면 영어자막을 뽑아서 모르는 표현은 찾아보는 것도 좋겠죠..

그 이후에 자신의 실력을 테스트 해보기 위해 몇개월 학원 가는 것은 괜찮겠네요..

그럼 건투를 빕니다.
식초~!
09/03/04 02:07
수정 아이콘
저와 비슷한 트라우마를 겪으셨네요.. 저도, 원서나 좀 읽으면 되겠지 싶은 심정으로 수능영어 이후 대학 4년 시절을 탱자탱자 놀면서 보내고 나서 기업, 시민단체 인턴을 하면서 막상 영어가 필요한 분야 (국제, 번역 - 번역같은 경우는 거의 전문업무로 다루지 않는 실무보조 개념)에 일하려고 보니 와, 영어 안되는게 발목을 잡는 정도가 아니라 거의 발목지뢰수준이었습니다. 제가 영어를 정복한 사람도 아니고, 그저 똑같은 고민을 막 시작한 사람이지만 몇걸음 걸어본 바를 말씀드리자면..

영어는 절대 하루아침에 되질 않습니다. 절대. 죽었다 깨나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당연한 소리지만..)

주변의 일례로는 아주 어렸을 적이라도 해당 언어 지역에서 몇 년 산 경험이 있다면 상대적으로 익히기 쉽다고 했습니다. 심지어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의 2년여 임에도 불구하고, 그 후에 거의 기억을 못하다 나중에 공부를 시작하였는데도 (본인이 느끼기에)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듣기와 말하기가 되는 경험을 했다고 하더군요. (이 경우에는 일본어를 말하는 것인데, 영어를 우리들 처럼 그렇게 긴시간, 긴세월 많은 노력을 투자했음에도, 영어권으로가 아니라 유딩때 살았던 몇년여의 일본 기억 + 대학교 몇년간의 공부로 일본으로 어학연수를 갔습니다.)

단편적인 예를 말씀드렸지만, 요는 "국내에서 외국인과 엄청나게 자주 부딪혀봤거나, 외국에 거주한 경험이 없다면, (특히 어렸을 적에)후천적으로 그들과 비슷한 언어실력을 습득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뭐 어쩌겠습니까.. 노력 노력. 계속 써보고 한번 외워보고 문장을 보기도하고 들어도 보고.. 정말 인생을 통틀어 바라보면서 익혀야 하는 것 같습니다. 방법론, 방법론이 궁금하시면 서점가면 괜찮은 책 많이 있습니다. 정철, 영절하?(논란이 많지만 개인적으로는 자세한 스킬은 논외로하더라도 기본적인 논지는 틀리지 않은 것 같았습니다.) 단어장이고, 독해집이고, 듣기 테잎이고, 정말 누구나 다 쓰레기라고 인정할 만큼 구린게 아니라면 비록 효율면에서 떨어질지는 몰라도 다 도움이 될겁니다. 심지어 그저 흥얼거리며 듣는 팝송테잎이라도 말이죠.

짧은 시간내에 영어를 일정 수준이상 익히고 싶다면 역시 공인 영어시험을 잡고 공부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사람 마음이라는 게 그렇지 않습니까. 막상 위에선 저리 말씀드렸지만, 영어 수업 듣는 것 보단 미드보고 싶고, 지하철에서 디테이션 테잎 듣는 것 보다 팝송듣고 싶고..
(효율이 어떤게 더 좋을지는 구태여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만)

저 같은 경우는 제 손때가 묻었던 고교시절 단어장을 꺼내서 요새 다시 외우고 있습니다. 영어와 한글을 연결지어 단어를 외운다는게 비효율적이고 바보같은 짓이다, 라고 방법론적인 이야기를 할 수 도 있겠지만, 이미 한글로 생각하고 있고 한국에 살고, 공부하고 있으며 세상을 바라봄에 있어 한글의 문화적 창틀로 다루는 데 마냥 백지장의 아기도 아니고, 어찌 영어를 '영어만으로' 익히겠습니까.. 그 '차이'에서 오는 문제점(뉘앙스 같은)은 반복과 시간으로 커버해야겠지요. (이 부분은 순전히 제생각이고 더 좋은 것이 있다면 그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거두절미하고, 마지막으로 이야기 하나 해드릴게요.

제 큰이모부는 무역회사 사장님이셨는데, 해외바이어들을 만날 일이 상당히 많으셨었습니다. 게다가 중국쪽 업무가 많아 3개언어를 능숙하게 구사해야 했지요. 제가 어릴적 큰이모부 집에 같이 산적이 몇년 있었는데, 그 어릴 적에도 항상 기억에 남던 것은 회사에 출근하는 직장인 (임원이지만)임에도 불구하고 항상 출근 전 새벽같이 일어나셔서 영어나 중국어와 관련된 방송을 보시던게 (거실에서 정좌로 앉으셔서) 기억납니다. 몇년동안 거의 하루도 거르시지 않고요. 후에 따로 이사를 나와 그런 모습이계속 되었을지 사실 잘 모릅니다만, 그때만 해도 그분의 연세는 50은 넘으셨었는데 말이죠.

그때까지 '미루겠다'는 것이 아니라, 그때까지 '계속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주변 친구들, 뭐 그래요. 축복받은거죠. bilingual이란 것은, 이 험난한 세상에 그 것 하나만으로 아직까지도 먹고사는데 충분히 써먹을 수 있는 훌륭한 옵션이지요. 하지만 그건 그 구의 축복이고 난 내길을 가야하니, 우리는 그저 오늘도 영어를 들어보고 중얼거려보고 억양을 느껴보고 단어하나 더 외워보고, 여러번 부딪히고 문장속에서 찾아보며 그 뉘앙스를 느껴보고.. 하면서 평생에 걸쳐 익혀나가야할 것 같습니다.

두서없이 길었네요. 영어.. 열심히 해봅시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387 강타에대해서 어떻게들 평가하시나요? ^^; [11] OnlyJustForYou3189 09/03/04 3189
51385 피쟐 게시판에 음악 첨부하기.... [2] 세레나데1789 09/03/04 1789
51383 경기를 찾아요- [3] 루트1538 09/03/04 1538
51382 모니터 구매 도움 좀 주십시오. [9] 한가지1998 09/03/03 1998
51381 미국문화? 에관련한질문입니다 [2] Dis-v1908 09/03/03 1908
51379 경제 서적에 대해.. [2] KallS1680 09/03/03 1680
51378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를 보고..(스포일러 있음) [4] 마동왕2101 09/03/03 2101
51377 사랑니 종합병원에서 발치 해보신 분들 궁금합니다. [3] 사랑합니다2371 09/03/03 2371
51376 개가 갑자기 실명이 된거 같아요 도와주세요.. [5] 힐라스카카2840 09/03/03 2840
51375 인터넷 속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2] nokjung7771610 09/03/03 1610
51374 헬스에 대한 질문. [1] 강수장1588 09/03/03 1588
51373 얼굴살은 어떻게 빼야하죠?? [9] DeStinY....2563 09/03/03 2563
51372 인터넷 회선 속도에 대해 질문 좀 드려요^^ [4] 카스트로폴리1522 09/03/03 1522
51371 영어를 못해서 고민입니다.. [2] 무늬1699 09/03/03 1699
51369 물리관련 논문들... [2] 꽃미남태규행1612 09/03/03 1612
51368 제가 신촌 지리를 잘 몰라서요;; [9] GoGoSing2751 09/03/03 2751
51367 공명의 목우유마 [3] Valueinvester3331 09/03/03 3331
51366 XBOX구매 가이드 부탁드립니다. [6] 자꾸열이나1786 09/03/03 1786
51365 루이까또즈 지갑을 사려고 하는데... [7] EzMura6090 09/03/03 6090
51364 아 이런 제가 좀 경솔했던거 같아요 [18] GoGoSing2738 09/03/03 2738
51363 기본도 없는 상태에서 영어, 토익 도전할려고 합니다. [3] 칼새1791 09/03/03 1791
51362 크레이그 데이빗 앨범질문입니다. [3] 오월2106 09/03/03 2106
51360 스타크래프트의 팬 숫자는 얼마나 될까요? [3] 난왜1930 09/03/03 19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