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26 21:50
일반적으로 신촌 세브란스가 유명한걸로...뭐 심장도 각각 다 분야가 달라서요...
개인적으로는 왠만큼 규모가 크고 유명한 대학병원은 다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09/02/26 21:51
저도 선천성 심장질환이 있어서 경기도에 있는 왠만한 대학병원은 다 다녀봤는데 어디가 딱히 좋다 그런건 모르겠더라구요~
09/02/26 21:51
연세 세브란스 심혈관센터인가 ... 가 좋을거에요.
어머니도 그쪽에서 수술받으셨는데, 아주 희귀한 병이셨다고 해요. 한국에 치료할 사람 별로 없다고.. 부산에서 부랴부랴 올라갔는데, 1시간만 늦어도 사망(...)일 수 있었다고 했다네요. 지금은 완쾌되시고 5년정도 된거 같아요. 뭐 그쪽에서는 그 교수님(성함은 기억이 잘 안나네요. 근데 곧 은퇴? 하신다고 들었어요-_-)이 권위자시고 그분 제자들도 아주 잘본다고 하니까; 가끔 검진가러 가는데 사람 정말 바글바글하고 많아요. 예약하시고 가보시는게 좋을 거 같네요. 그리고 제 생각인데 나이도 있으실테니 큰 병원가셔서 철저하게 검진 받아보시는게 좋을 거 같아요....
09/02/26 22:06
내과계열 심혈관센터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나 구로병원도 우수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관상동맥 질환의 비수술적 치료에 있어서는 경험도 많고 성공률도 매우 높습니다. 다만 흉부외과 계열은 별로입니다.. 집이 가까우시다면 아산병원도 충분히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다만 심장질환이라도 경우에 따라서 전문분야가 모두 다르므로 그 점 또한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다른 얘기인데 아버지께서 심장이 안 좋으시다면 언제 심장마비로 쓰러지실지 모릅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서 가족들 함께 기본적인 심폐소생술 정도는 익혀 두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인 대상으로 한 강좌가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혹시 원하신다면 그와 관련된 사이트 정도는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9/02/27 12:14
부정맥 쪽은 고대 안암병원 심혈관 센터가 괜찮은 것 같습니다. 아직 실습다니는 입장이지만 고대 병원에 유명하다는 다른과에 비교해서도 훨씬 뭐랄까 세계 트렌드를 이끌어 간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김영훈 교수님이 정말 유명하신 분이구요, 박희남 교수님은 연대 심혈관 센터로 3월에 옮기십니다. 나머지 심완주 교수님(고혈압, 2-D echo) 같은 훌륭하신 분들이 많으니까 가까우시면 고대 병원도 좋으실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