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11/26 20:16:54
Name 행복하게살자
Subject 충무공 이순신장군이 외국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나요?
그냥 궁금해서요.
우리나라에선 성웅으로 받들고 저도 존경하는 분들 중 하나이지만, 외국인들한테는 어떤지 궁금하네요.
인터넷 검색해 보니까 뭐 외국 사관학교에 군사학 교재에도 나온다고 하던데, 내심 뿌듯하긴 하지만 일반인들한테는 어떠한지...(어느정도 역사나, 상식에 대한 지식을 가진 일반인들에게 말이죠) 웬지 거의 모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 아쉽습니다.
일본에는 이순신 사당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고... 뭐 어쨌든 외국인들에게 이순신이 어떤 인물로 알려져 있는지 아시는 분들 계시면 답변좀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요스트랄
08/11/26 20:2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인터넷에서보면 너무 신격화한 글들이 많아서요. 물론 아주 훌륭한 우리의 위인이십니다만, 외국에서 알까요??
반대로 생각하면 노르웨이 역사상 가장 훌륭한 장군이나 정치가를 아시나요?? 체코의 위대한 사상가는요?? 그런식으로 생각해보면 아실듯..
일본이야 뭐 이순신장군을 몸소 체험한 당사자(?)이니 만큼 어느정도 사학자나 역사에 관심이 깊은 사람들은 알수도 있겠죠.
WizardMo진종
08/11/26 20:32
수정 아이콘
딴건 모르고 세계 3대(?)해전중에 하나로 노량해전(?) 이 꼽힌다더군요 자세한사항은 틀릴수 있어도 각 나라의 해군교본에 나온다고 들었습니다.
원더걸스
08/11/26 20:33
수정 아이콘
영국 해군에서 해전병법중 이순신장군의 23전 23승을 높게 칩니다.
영국 해군에서 직접 가르친다고 들었네요.
08/11/26 20:34
수정 아이콘
3대 해전중에 한산도대첩이 들어갑니다.
외국의 해군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면 알가능성이크죠..
요스트랄
08/11/26 20:44
수정 아이콘
대부분 인터넷에 떠도는 말이 영국해군에서 높이 평가하며 교재에서 노량대첩(혹은 한산도대첩)이 다뤄지며, 세계3대해전에 들어간다... 위에 분들이 꼽아주셨습니다. 대체 세계3대해전은 누가 정한겁니까? 전에 인터넷에 갑론을박하는것을 보았는데 그분말이 맞는듯합니다.
대체로 교본에 나옵니다 여기여기자료가 있습니다...는 하나도 없고 그렇다고 들었다... 그렇다고 하더라... 정도죠.
상식적으로 영국에서 한국과 일본의 전쟁자료를 진지하게 연구하여 교본에 다룬다는게 조금 믿기어려운게 사실입니다. 설령 연구하신분들이 있더라도 그 연구가 일반인(역사에 관심있는) 이나 일반 해군장교가 알거라고 생각하기 힘듭니다.
간단히 예를 들어 야구에 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있으시더라도 멕시칸리그 역사상 최고의 타자나 도미니칸리그 역사상 최고의 투수를 아시는 분은 드물죠. 전세계에 야구 프로리그가 있는 곳이 10곳이 안되는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허나 도미니카에서 자국리그 역사상 최고의 타자가 현 메이저리그의 톱스타(우리가 알만한)보다 가치가 덜할수 없는 것입니다.
이순신장군을 북미나 유럽에서 몰라본다고 한들 그분의 위대함과 훌륭함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겠죠.
08/11/26 20:46
수정 아이콘
세계 4대 해전이 살라미스 해전, 칼레 해전, 한산도 대첩, 트라팔가 해전 입니다. 3대해전을 꼽는다면 한산대첩이 빠지게 되고요
윗분들 말씀대로 해군이면 그나마 알것도 같지만 일반인들은 모를듯 하네요
댓글들 보다가 덧붙이는데 4대해전 3대해전은 마구 정한 것이 아니고 전투패러다임과 정세를 바꾸게 된 해전들을 꼽은거죠
요스트랄
08/11/26 20:50
수정 아이콘
윌슨제독 발언 근거 없다고 들었습니다만... 저도 그냥 들은거라 근거가 없어요(마찬가지네요^^)
그리고 세계 3대햐전이니 4대해전이니는 나라마다 다르다고 들었습니다.
좀 너무 억지 신격화같아요.
RedOrangeYellowGreen
08/11/26 20:57
수정 아이콘
요스트랄님// 그거 넬슨제독이 말한게 아니라 러일전쟁의 승장인 도고제독이 말한걸로 아는데.
(나를 넬슨에 비교하는건 몰라도 이순신에 비교하는건 당치도 않은 일이다. 이순신이 더 높다는 의미로)
저 역시 근거가 없는 인터넷 지식이라 걍 지웠습니다 ^^;
그렇지만 뭐 제가 본 바로는 이순신장군의 전공만큼은 신격화는 아닌거 같습니다.
본국의 지원없이 몇배에 이르는 적군을 박살낸건 사실이니까요.

뭐 그렇다고 해도 세계사에 기록될만큼 큰 전쟁을 한 장수는 아니니 일반인들은 모를거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08/11/26 21:24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는 조금만 잘해도 신격화한다고 하는게 문제죠.

외국 밀리터리 사이트에서 해전 관련 토론할때 꼭 등장하는게 이순신 장군입니다. 물론, 무기체계도 다르고 문화도 다르기 때문에 제대로된 이해는 하지 못하는 외국인들이 많지만, 여하튼 업적 자체는 엄청난 일이고, 대부분 인정합니다.

조선왕조실록만 봐도, 명나라 장군들이 이순신 장군만은 높여 부르며 그의 죽음을 기릴수 있는 추모비 설립을 오히려 제안할 정도입니다.
행복하게살자
08/11/26 22:23
수정 아이콘
음 그렇군요. 대충 정리하자면 이렇네요.

임진왜란은 세계사적으로 의미있는 사건이 아니고, 또 한국이란 나라는 국제적으로 그리 대단한 나라가 아니어서, (이순신의 공적과는 무관하게) 이순신은 외국인들에게 거의 알려져있지 않다.
하지만 이순신이 펼쳤던 전투, 전술등은 군사(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들이라, 관계자들(해군, 밀리터리 매니아 등등)은 어느정도 알고있다.

이정도로 정리가 되겠네요.
행복하게살자
08/11/26 22:24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스프링필드
08/11/26 22:32
수정 아이콘
저 중학교 역사선생님이 영국사람이었는데요 (미국에서 다녔지만)
그당시 학교에서 제가 거의 유일한 한국인이었는데 (저 말고 3명정도 더있긴했지만 다들 바나나라서..)

제가 한국에서 왔다고하니깐
"Oh country of admiral Lee." 라고 해서 제가 그게 뭐냐고? 하니깐
막 한창 이상한 얘기를 하는데 제가 하나도 못알아들었는데 거북선얘기하더라구요.
근데 웃긴건 그 선생님은 용같이 생긴 배라고 하더라구요.. 아무튼 살면서 이거 아는 외국분은 아마 제 중학교 역사선생님이 처음이자 마지막이 아닐까하는..
Art Brut
08/11/27 00:24
수정 아이콘
동아시아 역사나 해전사에 관해 지식있는 사람이면 외국인이라도 알겠죠 뭐.
Incognito
08/11/27 02:04
수정 아이콘
오 스프링필드님의 답변이 흥미롭네요...
여친없음
08/11/27 07:5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선 신격화 되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분이죠.

윗분들 표현처럼 정말 위대한 한국인 이셨는데 꼭 그걸 다른나라사람들도

아는게 중요한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703 디지털 TV를 구입하려고 하는데 어디서 구입해야 할까요? (ex.온라인,전자마트,홈쇼핑 등등) [2] EsPoRTSZZang1782 08/11/26 1782
45702 제가 잘못한건가요?? [21] worcs1995 08/11/26 1995
45701 노래 제목 좀 알려주세요 [2] 밴더1651 08/11/26 1651
45700 무릎이 아파요. [10] 힘내,지지마2578 08/11/26 2578
45699 지나가버린 윈도우즈 업데이트(?)에 관하여..; [3] 장난감1647 08/11/26 1647
45698 [농구게임] NBA 2K9 그래픽 사양 질문.. [1] paramita2987 08/11/26 2987
45697 암울한 연애질문. [5] Mirror [Breake]1821 08/11/26 1821
45696 힙합 노래 혹은 랩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노력하는나4950 08/11/26 4950
45695 살 뺄려고 하는데요...조언좀.. [6] funnyday1756 08/11/26 1756
45694 파일구리에서 나에게 접속한 목록에 사람이 안 옵니다 [1] 연성연승2578 08/11/26 2578
45693 국민연금관리공단 몇시까지 일하는지 알수 있을까요? [1] 구경만1년4723 08/11/26 4723
45692 제가 잘못한건 아닌데 좀 찝찝해서... [6] 버관위_스타워1903 08/11/26 1903
45691 영화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 날으는씨즈1954 08/11/26 1954
45690 제가 군것질을 좋아하는데 과자가.. [5] korea1915 08/11/26 1915
45689 병사용진단서 관련 질문드립니다(시력) [4] onsky2903 08/11/26 2903
45688 충무공 이순신장군이 외국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나요? [15] 행복하게살자2541 08/11/26 2541
45687 <팁> 학교나 회사에서 피지알을 막았을때 들어오는 방법... [4] 나를찾아서2502 08/11/26 2502
45685 영화 제목 질문입니다..(줄거리는 아는데..크흑..) [2] bins1588 08/11/26 1588
45682 그래픽카드 2개 동시에 사용시.. [5] 삐꾸돼지2153 08/11/26 2153
45680 핸드폰질문인데요.. Chloe1557 08/11/26 1557
45679 기형 동물에 대한 질문입니다. [3] ChRh열혈팬1982 08/11/26 1982
45678 재미있는 게임 좀 추천해주세요. ^^ [9] goodluckyo~!2128 08/11/26 2128
45676 기업의 법인세율은 매년 달라지나요? [4] 김간지1850 08/11/26 18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