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10/01 01:16
내리실문은 왼쪽입니다를 영작하면 you may exit on the left 가 아닙니다.
you may exit on the left 번역하자면, "당신은 왼쪽으로 내려도 됩니다" 정도가 되겠네요. 지하철 문같은겨우 양쪽이 다열리거나 사고로 반대가 열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2번은 모르겠네요
08/10/01 01:18
1. may가 붙어서 내릴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꼭 그 역에서 내릴 필요는 없기 때문에 must는 쓸 수 없죠.
2. 표준화의 목표는 평균과 분산이 다른 두 집단에 있는 개별 항목의 정당한 비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표준화를 하면 전체 집단의 평균과 분산은 같아지지만 개별 항목의 경우에는 그 값이 경우에 따라 달라지기 떄문에 비교를 할 수 있게 되지요.
08/10/01 01:22
may가 left를 강조하는 것이 아닙니다;;; may는 exit을 받아주는 거죠~
그러니까 `왼쪽으로 갈 수 있다`는 의미 보다는 `내릴 수 있다`는 의미에서 may exit이라고 쓴 것입니다
08/10/01 02:01
아주 쉽게 설명해보자면,
한국 평균소득이 1000만원인데 1500만원 버는 남자가 있고 인도 평균소득이 500만원인데 1000만원 버는 남자가 있다고 하죠. 그럼 인도 평균소득이 500만원이니 평균소득을 1000만원이라고 치고 환산을 해보면 인도남자는 2천만원을 버는 셈이 되겠죠? 그럼 인도남자가 더 잘버는 것이겠죠.(표준편차가 같다고 했을 때) 즉 표준화는 평균과 분산이 모두 다른 두 자료를 비교하기 위해 수치를 같게 만드는 작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08/10/01 02:07
첨언하자면, 한국에서 1500만원 버는 남자가 상위 몇 % 에 해당하는지 알고싶을 때
(소득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고 있을 경우) 굳이 통계청에 전화해볼 필요 없이 개념원리 맨 뒷페이지를 펼치는 것 만으로도 답을 구할 수 있는 것. 이것도 표준화의 힘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08/10/01 02:16
may는 영어권에서 매우 공손한 표현으로 쓰죠;;
may가 우리나라에서 배우듯이 쓰이는게 아니라;; 예의를 갖추는 표현입니다 You can do it 보다 You may do it 이 예의를 차린 문장이란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