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8/25 10:11:20
Name 래토닝
Subject [물리질문입니다] 달리는 기차에서 뛰어내리면

영화에서 보면 기차에서 뛰어내리다가 죽고 그러죠???


얼핏 생각하기엔 2m도 안 되는 기차에 뛰어내린다고

왜 죽을까 생각이 되는데

이걸 물리적으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올빼미
08/08/25 10:19
수정 아이콘
관성으로 인해 뛰어내릴때, 기차의 속도만큼의 속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땅은 정지해 있어서... 결국은 기차에 치인만큼의 충격을 받습니다.-_-
뭐 기차에 치일때와는 다른게 접촉시간이 길기때문에 덜다치기는 하지만..죽을만큼아플거 같습니다.
Cazellnu
08/08/25 10:20
수정 아이콘
올빼미님//
차라리 죽는게 나을지도...
헛헛

관성때문에 달리는 차안이나 기차안에서 뛰어도 같은 자리에 착지하는걸 볼수있죠.
08/08/25 10:20
수정 아이콘
지면과 수직으로 2m 위에서 떨어진다고 하면
중력에 비례한(자세한 수식은 생략 -0-;) 에너지(1)를 가지고 지면과 충돌하게 되겠죠.

하지만 80km로 달리는 기차에서 뛰어내린다고 가정하면
80km/h로 달리는 에너지 + (1)을 더한 에너지를 가지고 지면과 충돌하게 됩니다.

사실 후자보단 전자의 에너지에 의해 뼈와 살이 분리 되겠죠
e시리우스
08/08/25 10:21
수정 아이콘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는 '관성'이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관성'이란 질량을 가진 물체가 현재의 운동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말하는데요.
즉, 정지하고 있었던 물체는 계속 정지하려 하고, 특정 방향과 속도를 가지고 운동을 하고 있던 물체는 그 방향과 그 속도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바로 관성입니다.

어떤 기차가 진행방향으로 시속 100km/h의 속력을 가지고 달리고 있었다고 가정한다면, 그 기차에 타고 있었던 사람 역시 진행방향으로 시속 100km/h의 속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네요.

이 사람이 기차에서 뛰어 내렸다고 생각을 해 봅시다.
사람은 질량이 당연히 어느 정도 있으니까 관성이 존재하겠죠?
즉, 사람은 지면(땅)에 대해 속력 100km/h의 운동을 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은 왜 다칠까요?
바로 높이 차이가 아니라, 수평방향의 속력 차이로 인한 충격을 받게됩니다.
그래서 기차에서 떨어져 지면에 닿게 되는 순간, 충격을 느끼게 되죠.
그래서 다치게 됩니다.
물론 죽을 수도 있겠죠.
ArtOfakirA
08/08/25 10:27
수정 아이콘
정말 신기하네요 실험을 한번 해봤으면 좋겠네요
08/08/25 10:40
수정 아이콘
실험을.. 후덜덜.

100km/h로 달리는 자동차에서 창문만 내리고 머리만 살짝 내밀어봐도 아플거라는거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완성형폭풍저
08/08/25 11:26
수정 아이콘
ArtOfakirA님//
실험을 해보신다면 테니스공을 손에들고 승차하신후 차가 일정속도로 달리는 중에 어떠한 기준선을 넘을 때 공을 놓으신다면 (던지는게 아님)
그 공은 선위에 떨어지는것이 아니라 선에서 자동차의 속도를 초기속도로 지면과 평행하게 던진 상태의 운동과 같은 운동을 하고 떨어집니다.

기차에서 떨어질 때 덜 다치실려면 전속력으로 달려서 기차가 달리는 반대방향으로 힘껏 뛰시면 되겠군요.
하수태란
08/08/25 11:52
수정 아이콘
헉. 정말 몰라서 올린 질문인가요?
'물리적' 이라는 용어를 아시는데 관성은...
08/08/25 12:21
수정 아이콘
죽나요? 보통 낙법으로 '너무 멀쩡히' 살아있지않나요?; 아무튼
설명은 위에 분들이 다 해주셨습니다만 덧붙이자면- 기차 내에서 뛰는 것과 기차 '밖으로' 뛰는 것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은 달리는 기차와 움직이지 않는 바깥은 기준틀(reference frame)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준틀을 '달리는 기차안'(1)에서 '바깥'(2)로 바꿀 경우 기준틀의 차이로 관성이 작용하여 기차안으로 착지할 경우보다 땅과의 충돌에너지를 더 크게 받게 됩니다.
제가 더 헷갈리게 만들지않았나 싶네요;
~Checky입니다욧~
08/08/25 12:48
수정 아이콘
좀 천천히 달리는 기차에서 거꾸로 달리다가 뛰어내린다음 데굴데굴굴러서 충격을 흡수하면 죽진 않겠네요......그냥 좀 죽을만큼 아프기만 할듯...
08/08/25 14:10
수정 아이콘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뒤로 뛰는게 맞을것 같지만 기차에서 떨어질때는 뒷쪽을 보고 뛰면 안되고

데굴데굴 잘 구르기 위해서 앞쪽을 보고 뛰어야죠

뒷쪽 보고 뒤로 뛰다간 바로 뒤로 넘어져서 머리 깨질듯..
08/08/25 23:19
수정 아이콘
시라소니를 모르시나요..
뛰어내리실때 잠시 난간을 붙잡고 발을 움직여서 기차속도와 비슷하게 맞추신후 손을 놓고 천천히 속도를 줄이시면 됩니다.
물론 상체는 최대한 뒤로 숙이시면 10점짜리 착지가 될겁니다.
헤르젠
08/08/26 08:10
수정 아이콘
어린시절...집에 있는 경운기를 타고 가다가 뛰어 내려본적이 있습니다..

시속 20~30키로 정도로 달리고 있었는데..어린마음에 뛰어내리면 제자리에 착지가 될줄 알았습니다..

탁 하고 뛰어내렸는데..몸이 차 반대방향으로 저절로 구르더군요..데굴데굴..3-4바퀴 돌았습니다.. 심하게 아프더군요

100키로면..거진 죽거나 그만큼 아프겠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247 ipod 사용법에 대해서 질문좀 드릴께요. [3] Mr.Children2170 08/08/25 2170
41246 익스플로러 관련 질문입니다. stealmyhaart1722 08/08/25 1722
41245 전세권 설정? 근저당 설정? [4] kikira5606 08/08/25 5606
41244 제가 좀 민감한것 같아서 질문올립니다. [20] Cazellnu2991 08/08/25 2991
41243 [물리질문입니다] 달리는 기차에서 뛰어내리면 [13] 래토닝10601 08/08/25 10601
41242 글을 잘쓸려면..? [7] 아레스1701 08/08/25 1701
41241 부동산 관련하여 법적으로 자문을 좀 받고 싶습니다. [4] Claire1686 08/08/25 1686
41240 며칠 전 부터 큰걸 보면 피가 나옵니다.. [5] 살인의추석2134 08/08/25 2134
41239 민간 위탁경영과 민영화의 차이가 뭔가요? [3] 피부암통키1908 08/08/25 1908
41238 정말급한질문입니다. 내일도심퍼레이드말인데요. [4] ParasS1823 08/08/25 1823
41237 컴퓨터(CPU사용율) 관련 질문입니다. [2] hErA1592 08/08/25 1592
41236 위닝 2007이랑 2008 동시에 깔수 있나요? [5] BK_Zju2098 08/08/25 2098
41235 이번 MBC 올림픽 엔딩들에 관한 질문 [6] 몽상가저그1930 08/08/25 1930
41234 워드 실기 하다가 의문점이 생겨서요.. [5] 제갈공명토스1507 08/08/25 1507
41233 mp3 DRM 관련 마술사얀1928 08/08/25 1928
41232 안경을 오래 씀으로 인해 얼굴이 변하는 현상 [8] S.Ca10073 08/08/24 10073
41231 지포스 6800le를 개조했는데요 [1] TheOthers1551 08/08/24 1551
41230 뭘 주웠습니다. 알려주세요!! [14] 해피2368 08/08/24 2368
41229 영화 초속 5cm [애니메이션 영화] [8] korea2117 08/08/24 2117
41227 PCI-Extreme Slots 이 뭔가요? [2] TheOthers1589 08/08/24 1589
41225 군대갈때 휴대폰에 대해서 질문 [7] 고딩어참치2204 08/08/24 2204
41224 컴퓨터 케이스및 주변기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4] AttackDDang1495 08/08/24 1495
41223 미스터리특공대 보시는분계신가요? [1] RickBarry2247 08/08/24 22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