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09 05:54
일단 저의 짧은 지식으로
변액은 기본적으로 시중금리와 연관성이 아주아주 많습니다 보험사에서 얼마를얘기하건 나중에 환급(?) / 수령하실때의 금리에 따라 내신돈보다 훠얼신 많은금액을 받으시거나 더욱 적은금액을 받을수 있습니다 장마펀드는 그저 적금처럼 생각을 하십시오 낸돈다받고 추가이자분만 금리적용받으니까요 지금금리라면 변액이 낫다고 봅니다만 경제는 매월 틀리니까요 제 짧은 소견으로는 원금은 다 받는게 안나을까 봅니다 ps. ING 뿐만아니라 타사에도 상담을 받아보시고 잘따져보시고 결정을하세요 단순히 TM 전화 1통에 보험가입을결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의료실비같은 소소한부분이 아닌 연금이나 변액같은 근금액들이라면 1곳이아닌 여러곳에 상담을 받아보시고 결정을 하시는것이 훨씬 괜찮습니다 귀찮을수 있겠죠 하지만 난 이회사라면 무조건 좋아 그런회사가 아니라면 보험은 여러곳의 어느회사에서 나에게 어떤 보장을 해주는지를 보셔서 판단하시면 될거같습니다 보험은 내가 얼마를 내는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어떤 보장을 받는지도 중요하니까요
08/08/09 13:33
변액 유니버셜에 대해 판단하고 계신 부분 맞습니다
요즘 광고에 자주등장하는 '변액 유니버셜 복리 상품' 도 10년간 공제되는 돈 장난아니죠, 어떤 경우에는 5~10년 넣어도 원가 그대로인 경우도 있습니다. 연금전환을 목적으로 묻어둘 돈이 아니라면, 변액유니버셜복리를 하는건 별로라고 생각되네요 ;;
08/08/09 18:42
전 27살의 공무원이고, 올해부터 일하고 있습니다.
제가 ING 소속 재무설계사(FC)가 재무설계 상담해준다고 해서 상담을 좀 받았습니다. 제 세후 소득은 150 정도인데 50~60을 적립식 펀드에 가입하고 , 20을 변액유니버셜에 가입하라고 해서 가입을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재무설계를 할때 투자자산배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여기서 자산배분이라 함은 단기투자자산,중기투자자산,장기투자자산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물론 그 이전에 가장 기본으로서 보장성 보험가입을 먼저 가져가게끔 합니다. 보통 사회 초년생에겐 1순위: 보장성 보험 가입 2순위: 월급의 절반이상 상호저축은행 저축을 가져 가게끔 합니다.실제로 월급의 절반이상은 저축해야 합니다. 강제적으로 이렇게하지 않으면 보통 남자의 경우 유흥비등으로 대부분 다 날라갑니다. 단기포트폴리오로서 cma개설과 저축은행가입을.. 중기투자자산으로서 장기주택마련저축이나 장기주택마련저축펀드를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왜 일단 목돈을 모아야 하니깐.. 그 다음 적립식 펀드를 가져갑니다. 그리고 장기포트폴리오로서 연금이나 변액유니버셜을 최소 15년에서 20년이상으로 가져가게끔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점은 공무원은 일단 노후는 일반회사원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해결된다는 것이죠.. 단기,중기,장기별로 어떻게 비중을 가져가느냐는 신중히 따져 봐야 할 문제이므로 더 이상 자세하게는 말씀 못드리겠네요.. 그런데 변액은 유지기간이 10년 이상이나 되고 사업비 명목으로 수수료가 10년간 많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신 10년이상 이용하면, 펀드를 낮은 수수료로 적립식 펀드를 이용할 수 있고, 비과세 혜택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 제가 변액유니버셜에 대해 맞게 알고 있는 것인가요? ==평생 비과세 통장이라 생각하면 됩니다.대신에 이것은 적립식 펀드의 형식을 그대로 빌어온 보험상품입니다.(절대 펀드상품 아닙니다.) 대신에 펀드랑 차이점이 많이 있습니다.수수료부분부터해서요..여러가지 장단점이 제각기 다 있습니다. 그리고 변액상품의 특장점이나 활용법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변액상품도 변액종신,변액연금,변액유니버셜 등 3가지가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웹서핑 제대로 해보시면 알수 있을겁니다. 여기서 쓸려면 시간관계상 손이 아파서리 생략.. 참고로 변액이 나오게 된 이유는 인플레이션 헷지가 그 첫번째 목적입니다. 한편 장마펀드(저축)은 비과세에 40% 금액에 한해서 소득공제 혜택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7년 이상 적금식으로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7년이상 가입.목적자금마련이 목적이며 년납입액의 40%(년간 300만원한도)소득공제됩니다. 2. 위와 같은 비교라면 당연히 저는 장마펀드나 저축을 하는 것이 나을 꺼 같은데, 맞는지요? 어떻게 비율을 가져가느냐의 문제입니다. 대신에 일찍부터 장기 변액상품을 가져가는것도 길게봤을때 나쁘진 않습니다. 장단점이 있기때문에 ....문제는 가입자의 필요성이 어디에 있느냐이겠죠.. 적립식펀드를 줄이고 변액도 10으로 줄이고 그 돈으로 장마펀드를 가져가게끔 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혼을 언제쯤으로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저축과 적립식펀드금액이 달라질수 있을거 같습니다. 3. 만약에 변액유니버셜이 장마펀드에 비해 좋은 점이 있다면 무엇이며, 저같은 경우 장마펀드와 변액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현재 님의 소득수준으로 봤을때 포트폴리오가 잘못 배분되지 않았나 싶어 보입니다만.. 설계자의 주관적인 가치관에 따라 달라집니다. 질문에 대해 일일이 다 설명하기는 시간이 좀 넘 많이 걸리는 관계로 생략.. 지금 오늘 가입했지만, 확인 전화가 또 온다고 했으니 그 때 안한다고 하면 될 것 같긴 합니다. ==음..해피콜이 왔을때 안한다고 하지 마시고 오늘 받았던 가입자 보관용 청약서 뒷면에 보면 청약철회서가 있거든요 그거 보내시는게 유리합니다.해피콜로 해결하시면 그 ing설계사분이 좀 난처해지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수 도 있기에.. (주변에서 변액 상품이 낙시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거든요...) ==이건 절대 아닙니다. <ps> 참고로 적립식 펀드는 만기가 없습니다. 절대 환매의 유혹을 느끼시면 안됩니다.이걸 반드시 명심하시길...
08/08/09 18:49
영혼님//변액상품은 변동 공시이율로 굴러가는 상품이 아닌 실적배당형 상품입니다.직접적으로 시중금리랑 별 상관없습니다.간접적으로는 모든 금융상품이 그러하듯이 당연히 있죠..
박카스님//첨부터 나중에 연금전환을 목적으로 하면 절대 변액유니버셜을 하면 안됩니다.첨부터 변액연금을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