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2 19:59
화학2자체가 좀 어렵죠;; 우선 교재는 하이탑이 훨씬 낫다고 생각하구요. 그리고 이제 1회독도 못한상태면 배운것도 틀리는게 이상하진 않죠. 과탐 과외를 좀 해서 화2 물2 지2 생2까지 두루두루 공부해보았는데 제일 쉬운게 지2더군요. 화2가 가장 어려웠음;; 지1 잘하면 지2로 바꾸던지 아님 생2로 바꾸세요.
08/06/12 20:16
보통 나올문제는요 계속 중복되서 나와요.....모의고사 문제집 1권 훓터보기를 권장합니다. 그리고나서 개념서를 보면 무엇이 중요한지
보이실거에요 물론 개념서를 정복해야 한다는 점에는(만점이나 실수 1개 가정)동일하지만요. 처음에 배우실때 무엇을 외우고 무엇을 이해해야 겠다라는 뼈대가 설수 있으니.. 좋죠.
08/06/12 20:56
어느 파트에서 주로 틀리시는지는 잘 모르겠고.. 모든 과학과목이 암기+이해가 같이 되어야 하지만
화학같은 경우에는 이해>암기 입니다. 원자내에서, 혹은 분자간에서 전자와 전자의 힘에 대해서 이해하게 되면 고등학교 수준의 화학은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주기율표 20~30번까지 외우기 + 원자 내 전자배치방식 이해하기 + 분자간 힘 이해하기 정도면 원자/분자 문제와 금속 문제는 좀 해결될 것 같고요. 오비탈을 이해하면 유기화학도 어느정도 될거 같고.. 남은건 산화환원/산염기 반응과 물질의 상태와 용액 인데.. 이부분은 문제를 많이 풀어서 많이 틀리고 오답정리 잘 하다보면 어느정도 됩니다. 전자배치는.. 결합에서는 루이스구조 잘 그리고 이해하는게 중요하고 원자내에서는 spd 전자배치의 이해와 파울리배타, 훈트의 규칙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 두가지는 나중에 상자기성/반자기성 문제에서도 필요하고요.. 뭐 다 적으려니 양도 많고 시간도 없어서 못적겠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것 있으시다면 쪽지주세요. 간단하게나마 이해하기 편하게끔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문제는 머리로 푸는게 아니라 손으로 푸는겁니다. 과학공부는 머리로 하면 안돼요. 손으로 공부해야 늡니다.
08/06/12 22:54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화학을 잘 이해한다면 대학가서도 그리 어렵지 않다고 봅니다...^^;
화학은 처음 배울때가 가장 중요해요... 그리고 그 원리 하나하나를 마치 습관인냥 몸에 체화되어야 좋은 성적이 나오죠... 솔직히 쉬운문제는 아무리 반복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질 좋고 난이도 있는 문제를 반복하시면서 문제속에있는 원리를 빨리 체득하는게 중요하죠... 그리고 수능이라면 평가원과 역대 기출문제를 파트별로 모아서 파는 문제집이 있을겁니다... 이걸 풀면서 몸으로 느끼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 될거라고 봅니다...
08/06/13 00:13
TEXT나 하이탑 둘다 쓸때 없는 내용이 조금씩 들어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쓰잘때기 없는 내용 다빼고 교과서랑 비교하면서 개념 잡으세요,,, 6월에 와서 2과목 바꾼다는건 좀 어렵다고 생각하면 그대로 화2 하시려면 빨리 한번 개념정리 하셔야겠네요,,, 그리고나서 피티님 말씀대로 모의고사 위주로 풀이 하시면 될겁니다,,, 문제 유형은 달라지지 않으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