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5/18 23:48:08
Name 대장균
Subject 화공을 가고싶은데요~~~~~~~~~~~~~~~~
관련 서적을 읽고싶은데

말하자면 어떻게 공부하고? 어떤걸배우고? 이런내용이 나와있는책?

추천해주실분 혹시 계시나요.......?

그쪽에 좋은 책을 읽으면 좀더 동기부여도 될거같고 그래서요!

그외에 책말고 조언이라도 해주신다면 새겨들을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테란의 횡재
08/05/19 00:09
수정 아이콘
화학공학의 화공을 말씀하시는건가요???
공과대학중에 가장 진로가 넓은 쪽이 화공관련쪽이라고 들었습니다.
저도 화학관련한 과에 현재 재학중이구요..
화공과 하면 1학년때는 그냥 기초로 일반물리, 기초수학, 일반화학 등 전공과목에 기초되는 수업을 듣고 난중에 2학년쯤 본격적으로 들어가면 1학년때 배웠던 과목을 더 심화깊게 배우죠~
물리화학, 분석화학, 유체역학, 화공수학, 공업미적분학, 선형대수학, 유기화학, 공업수학 기타 등등요...
천재여우
08/05/19 00:24
수정 아이콘
워낙 진로와 과목이 넓어서 나중에 자기가 자신있고 좋아하는 분야로 가게 되는데요
일단은 일반화학 한 권만 하면 대충 어떤 갈래가 있는지 아시게 될겁니다.
그 한 권도 제법 양이 많으니 일단 그것부터 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08/05/19 06:56
수정 아이콘
화학공학에서는 윗분들이 써주신대로 많은 학문을 잘 알아야 하는데요. 화공과 커리큘럼은 본적이 없지만 많은 연구들이 있습니다. 예를들자면 증류라거나, 교반이라거나, 프로세스 등등 화학이란 학문을 공업화 시키는 기술들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반적인 지식이 필요하죠. 물론 분야가 매우 많기에 나중에는 결국 한두가지의 화학을 중심으로 하게 되겠지만요. 저는 입문수준까지만 수강했었습니다만 예로 들자면,
한 반응을 높은 효율로 반응시키기 위한 조건(냉각, 혹은 가열이 필요하다면 필요한 수량과 유속-특히 각 파이프의 종류에 따른 전열계수를 이해-, 반응 종류에 따른 교반-쉽게 말해 섞는겁니다)의 선택, 교반터빈의 날개의 종류에 따른 효과, 코스트의 설정 등등), 반응공학이란 분야에서 주로 다루게 됩니다.
증류-기본적으로는 얻어낸 반응후 생성물을 분리하는 방법
상태방정식-물리화학을 기본으로 합니다.
유체화학-기본적으로 유체를 다루는 반응이 대부분이니 꼭 필요합니다. 유체의 종류도 많으므로 그에 따른 조건들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추출,흡착 - 역시 생성물을 정제하고 분리하는 방법이 됩니다. 분석화학에서 다룰 것 같군요.
기본적인 교과과정은 일반적 화학과와 같겠지만 심화과정부터는 본격적으로 각 화학을 응용하여 기술에 적용하는 법을 배우게 될거같군요.
관련한 책자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대부분의 화학공장에서 필수적인 학문입니다. 혹시라도 관련한 공장의 견학의 기회가 있다면 어떤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직접 확인해 볼 수 있겠네요.
연구실에서 실험해보기엔 흥미로운 분야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거야 지극히 주관적이지만 제가 하고 있는 유기화학보다야..
08/05/19 09:29
수정 아이콘
제가 화학공학과입니다.

화학공학 하면 단순히 화학을 베이스로 한 엔지니어링이다.. 이렇게 막연하게 생각하실 수 있는데 화학과와는 거의 다 다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처음에는 정유 관련 분야.. 뭐 그런 것부터 화공과가 뜨기 시작했기 때문에 아직도 유기화학이라거나 반응공학 쪽이 중요시되긴 하지만 굉장히 필드가 넓은 분야입니다. 저희 학교만 하더라도 화공과 내에서 분자생물공학 (제가 하는 쪽), 공정 시뮬레이션, 환경공학, 전자재료, 고분자 등등 굉장히 다양하고 전혀 관련없어 보이는 분야와 접목이 되어 있죠. 그게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각 분야가 그 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과보다는 좀 깊이가 얕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자신이 왜 화공과를 가고 싶어하는지, 거기서 뭘 하고 싶은지 알아야 추천하기가 쉽죠. 물론 저런 다양한 분야는 학부 때보다는 대학원 때 접하게 되긴 합니다만.. 학부 때부터 기초지식을 쌓는 게 나쁘진 않으니까요. 참고로 학부에서의 기본 과목은 열역학, 반응공학, 전달현상 (유체역학이죠) 등이 있습니다. 저런 분야를 일단 기본으로 들은 후에 위에 언급한 세부전공에 대해서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Minkypapa
08/05/19 23:24
수정 아이콘
Welcome to Hell~
잘 졸업만 하면 살만합니다.
대장균
08/05/31 01:13
수정 아이콘
너무 늦게봤네요...............과만정한다고 되는게 아니었군요! 감사하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078 대전에서 가까운 충북쪽 계곡 놀러갈만한곳 추천이요! [1] 이유있음6385 08/05/19 6385
37076 노래방가서 부르면 뻑가는 노래? [26] 아레스5441 08/05/19 5441
37075 의사님들께 질문 드립니다(2) [5] 남자라면스윙1907 08/05/19 1907
37074 하드포멧하고 윈도우xp 설치를 했는데.. 이후 문제점. pgr지식인분들 도와주세요. [8] 라임밍기뉴2081 08/05/19 2081
37073 의사님들께 질문입니다 ㅠ ㅠ [5] TheOthers2399 08/05/19 2399
37072 와우 흑마 갓 만렙 질문입니다. [7] 문근영3263 08/05/19 3263
37071 군대가기전 국내 2박3일 or 3박4일 여행질문입니다!! [4] 에도가와 코난2150 08/05/19 2150
37070 컴퓨터 부팅 문제에서 질문 드립니다. [4] 담백한호밀빵2094 08/05/19 2094
37068 영어 고수님들~~영어에 관한 질문하나 해도 될까요? [3] 졸린쿠키1919 08/05/19 1919
37067 저기...여러분은 어떻게 참으세요? [14] Who am I?2304 08/05/19 2304
37065 인생의보람을못느끼고있습니다. [7] SwEeTy2265 08/05/19 2265
37064 인터넷이 이유없이 그냥 멈추고 이러네요. [3] 화이트데이1806 08/05/18 1806
37063 화공을 가고싶은데요~~~~~~~~~~~~~~~~ [6] 대장균1715 08/05/18 1715
37060 모닝구무스메 질문~ [7] 기사도1920 08/05/18 1920
37059 이름조차 모르는 여자분에게 다가가는법 ? [15] 플러쉬2599 08/05/18 2599
37058 예비군 훈련에 관한 질문입니다. [4] 나이스후니1866 08/05/18 1866
37057 자격증 관련 몇가지 질문입니다. [1] 비야레알1920 08/05/18 1920
37056 레포트 양이 많을때 제출법 질문입니다~ [5] 사랑님2329 08/05/18 2329
37054 공익의 복무기간은 일반 군인과 다른가요?? [5] 나는몰라1904 08/05/18 1904
37053 삼국지 추천.. [10] 아레스1909 08/05/18 1909
37052 일꾼의 효율에 대해서.. [4] ElleNoeR1920 08/05/18 1920
37051 24인치모니터.스타질문 [4] X_Star1875 08/05/18 1875
37050 이윤열 선수의 전성기에 대하여... [46] 전설의황제4439 08/05/18 44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