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4/24 23:05
학교 따라 천재가 갈 수도 있고, 아닌 사람이 갈 수도 있는거죠. 나형이면 힘들지 않으실까요.
일단 기본적인 물2를 기본적으로 깔고 대학물리를 배울텐데; 그리고 이과에서 공대 말고 가는 과는 의대, 자연대 정도가 생각나네요.
08/04/24 23:11
미적은 물리학에서 기본......중의 기본....중의 기본의 바탕이죠.... 친구가 공대용 물리(엔지 피직스)듣길래
옆에서 문제 슬쩍 쳐다 봤더니.. 처음 봤을 땐 할 수 있을거 같더니만... 풀이를 봐보니 완전 외계어..
08/04/24 23:12
모든 공대 및 인문대 경제학과에서도 미적은 기본입니다... 수리 나형하시면 공대는 택도없고 경상계열 진학시에도 대학내용에 지장이 있습니다;; 뭐 일단 대학을 가는게 목표라면 나형을 고르는게 날지 모르겠네요;; 수리 나형보시면 아마 상위권 공대는 지원못할꺼에요
08/04/24 23:20
물리과 말고 애초에 다른 공대계열 과는 다 따라가기 힘드십니다.
저 역시 이과였고 나형을 공부했는데 후회했거든요. 저는 결국 학교는 문과로 왔습니다.
08/04/24 23:21
나형으로 갈만한 학과가 그렇게없나요;;
아 걱정이네요;; 미적필요없는 학과는없나요;; 대학가서도 공부죽어라 하고싶진않은데;; 적어도 12학년은 놀고싶은데말이죠.. 너무 생각없는소리인가요
08/04/25 00:11
Lotus님//
뭔가 심각하게 잘못알고 계시는데요. -_- 그리고 글쓴 분 대학가서 공부는 하기 싫고, 좋은데 취직하고 싶어서 물리학과 갈까 하는데 물리2도 안들었고 미적도 어렵다. 세상 아주 만만하게 보시는 건 아닌지 심히 걱정되는 군요. 최고학부 학생들도 골빠지게 해야 좋은데 취직되는게 요즘 세상인데.
08/04/25 00:30
음; 전자과나 기계과랑 비교했을때 수학과는 미적분 계산은 거의 안하지 않나요?;
난 이상한 과목만 들은건가 뭐 기본적인 미적분학이나 공업수학은 다 듣는다고 생각했을때; 상대적인 미적분 계산 사용량을 생각한건데;
08/04/25 00:39
나형보고 겨울방학때 미적하고 물2만 하셔도 될듯하지만.....하기 싫으시다면야.....
그리고 대학교때 시간을 헛되이만 보내지 않는다면 공부 충분히 하시고도 놀 시간 많이 있어요
08/04/25 00:40
Lotus님// 공대 스타일의 적분이나 구체적인 미방 계산이 덜 쓰일 뿐이지 수학과에서 미적을 안쓸리가 없지 않습니까.. -_-
위상 해석 실변수 복소 선형대수 미분기하학 다양체 더 과장해서 기하대수나 위상기하 편미방 푸리에 등등.. 어디나 기초는 다 미적분학입니다... 그리고 글쓰신분. 물리과에 취직을 원해서? 머리가 좋아지기 위해서? 가신다면 당장 포기하시기 바랍니다. 적어도 물리과 가는 사람들 처음 의욕은 모두 과학계에 몸바치기 위해 들어갑니다. 그리고 경시대회나 올림피아드 출신이 허다한 양대 학과가 물리과와 수학과입니다. 괜히 자연과학의 두 중심이 된게 아니지요. 아무 생각 없이 물리과나 혹은 넓게 봐서 자연대 왔다가 인생 망가지는 경우 자주 봤습니다(제가 자연대 수학과니까..-_-a). 자연대를 가고 싶고 확실한 적성을 찾기 어려우시면 통계과를 추천합니다. 취직에 더 유리할겁니다. (문과 통계학 말고 이과 통계학과로 오세요 S대 아니면 이대입니다.)
08/04/25 00:41
흠. 딴껀모르겠고 나형으로 공대나 타 이과과 간다는 자체가 오바아닌가요?
이과 나형으로는 할만한게 교차나 건축과뿐...기타 문이과 같이 뽑는과라던가.. 간호도 생각이 나네요.. 글쓴분 나쁘게만 보려는건 아니지만 대학을 너무 쉽게 보시는게 아닌가 생각되네요..
08/04/25 01:02
Tabloid님리플에 동감합니다.
적어도 물리과 입학생의 상당수가 '물리를 좋아해서!!!'라는 이유로 들어옵니다. 예전부터 고3 성적이 어중간해도 막판눈치작전으로 물리과를 쓰는 사람은 거의 없구요. 선택받은 자들은 아니지만 선택한 자들이죠. 이공계 최고로 geek한듯...
08/04/25 01:06
요즘은 취직때문에 화학과가 인기 많던데.. 공대도 화공과가 대세. (더불어 전자전기와 기계는 꾸준)
근데 고등학교에서 과를 정한다는건가요? 대학교 과를 정한다는건가요? ;; 저는 참고로 고등학교때부터 물리에 손도 안대고(공통과학빼고) 기계과 와서 고생좀 했습니다만 본인이 열심히 한다면 극복하지 못할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08/04/25 08:23
산업공학 (시스템경영공학과) 추천합니다.
물론 '공대'인 이상 어느정도 미적분학2정도 수학은 필요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학생이 수능끈나고(11월)-입학(3월) 사이에 포맷이 많이 되서,교수님이나 강사님들도 그걸 감안하고 강의 하시니 본인과 본인이 앞으로 같이 듣게될 대학동기가 열심히(숙제 혼자힘으로 풀고, 예습복습) 한다면 충분히 따라 갑니다. 단, 1학년때 배우는 필수교양에 한해서입니다. 그 뒤는 본인 하기 나름;;
08/04/25 11:46
미적안하는 공대는 화학과랑 산업공학과, 생명공학과 정도일까요..
그외에 간호학과(남자간호사는 취직이 엄청나게 잘된다고 들었습니다), 한의치대(여기 갈 실력이시라면 이런글 안올리셨겠죠), 농대, 통계학과 정도가 있겠네요.
08/04/25 14:24
마술사님//
통계과가 미적을 왜안해요.. -_- Expectation 자체가 매져 적분인데.. 통계 전필 중에 하나가 해석학입니다. 미적을 안할리 없죠. 숫자 쓰는 학문은 전부 미적 한다고 봐야합니다.
08/04/25 15:30
어우,,, 미적 안하는 공대쪽 학문이 있다구요? 특히 물리나 통계는 미친듯이 써야할걸요 -_-;
사회학 같은 쪽에서도 미적분 개념을 쓰는데...
08/04/25 16:19
으음,,,
수리 나형이시라면;; 수능 끝나고 대학 입학 전까지 쫌 기간이 있는데.. 그때 미적 공부 해놓으시면 도움 꽤 될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