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4/24 13:14:29
Name 익스트라
Subject 해외의 가전제품 수준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예전부터 요즘까지 머릿속에서 가끔씩 떠오르는 외국. 특히 미국?!의 가전제품 수준입니다. [가전제품이랄 것도 없구 인터넷 상황이든지..] 5년전쯤 학교 수학선생님께서 이런 말을 하시더군요. 그때 당시 국내에선 펜티엄2~3 수준 컴퓨터가 있었는 걸로 아는데 외국에선 학교에서 쓰던 덩치큰 모니터[좀 오래 썼던..]를 미국에 갖다주면 최신식 모니터가 된다고.. 그리고 프로세서나 하드웨어도 우리와는 뒤떨어 진다고 그러신 걸로 기억하는데...
물론 저도 알고 있습니다. 인터넷및 프로세서가 외국에서 개발이 되었고, 인텔회사나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뛰어난 컴터쪽 회사가 많다는 것도.
근데 미녀들의 수다에서 해외는 가전용품이 비싸고 그래서 예전[지금은 사라진] 브래드의 제품을 아직도 쓰고 있는데가 많다고 하고 잘 교체를 안한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디아블로를 제작한 블리자드사가 이벤용으로 찍은 CD및 사진을 보는데 뒤에 보이는 컴퓨터가
무슨 386 컴퓨터 모니터에다가 키보드 같더군요.. 디아블로나 스타크래프트 최저사향을 보면 62램 128램 이렇게 낮구요...
물론 와우는...;

기준은 보통 평민이구요; 제 생각은 아직 해외에선 LCD모니터도 아직 잘 쓰지 않는 거 같은데..
잡담이지만 가십걸이라는 미드에서 일명 부자집 딸,아들이 쓰는 최신, 고급제품이 삼성및 LG제품이더군요.
내심 기분 좋았습니다. 히힛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4/24 14:0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얼리어뎁트 병이 있는거 아닌가요;
질문 내용을 보면 제작 기술에 대한 것인지 일반 가정집의 제품 수준을 말하는 것인지 도통 모르겠네요
08/04/24 15:25
수정 아이콘
백색가전을 이야기하시는 건지 컴퓨터를 이야기하시는 건지요? 인터넷?
질문을 명확하게 해주셔야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을 듯 합니다
두리뭉실하게 이야기해보면 (전 미국 생활만 해봤습니다만)
백색가전의 경우 국내보다 더 가격경쟁이 심합니다. 다만 그 쪽 사람들은 냉장고나 에어콘, 세탁기 등은 한 번 사면 계속 씁니다. 물론 튼튼하게 만들어진 것도 있겠지요; tv나 dvd 등등은 교체 주기가 좀 더 빠릅니다.
컴퓨터는 아시다시피 조립보다는 완제품으로 사는 경향이 있고, 최근에는 노트북 시장이 데탑보다 더 커졌다고 합니다.
인터넷은 공공기관의 인터넷 등은 우리나라보다 더 잘 되어있는 듯 하구요 (대학이나 관공서 가보면 기본이 기가빗) 가정집 수준에서는 아직 뒤떨어지는 듯 합니다. dsl이나 케이블 모뎀만 되어도 평균 이상의 속도를 갖고 있는 겁니다.

덧. 스타나 디아와 비교하시는 것은 옳지 않아 보입니다. 출시된지 얼마나 오래된 게임인데요; 디아2의 경우 그 시절 평균 사양에서 (싱글에서조차도) 블리자드나 오브 몇 번 갈기면 렉 걸리는건 예사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205 궁금합니다.. Dis-v1563 08/04/25 1563
36204 괜찮은 P2P 추천해주세요~ [2] 김민식1688 08/04/25 1688
36202 와우 질문입니다. [6] 문근영1806 08/04/25 1806
36201 간단한 맞춤범 질문 [1] 파일널푸르투2203 08/04/25 2203
36200 인터넷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6] 발업된리버2124 08/04/25 2124
36198 취업인구중 [단단한 직장]에 근무하는 비율은? 아드레날린 질1657 08/04/25 1657
36197 개인정보 제3자 제공에 꼭 동의를 해야 하는 이유가? [2] 도시의미학1861 08/04/25 1861
36195 유머게시판의 글좀 찾아주세요 [1] Galdae1710 08/04/24 1710
36193 현 고3 물리과.. [26] ㄴkoreaㄱ1809 08/04/24 1809
36192 양자화학에 대해 기초적인 내용까지 설명되어 있는 책 있을까요? [2] 히든고수2219 08/04/24 2219
36191 제가 장염에 걸렸습니다-_-; [23] 샤이나르2132 08/04/24 2132
36190 엔디스크 업로더들 질문입니다. [8] 起秀1932 08/04/24 1932
36189 야구장입장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율곡이이1949 08/04/24 1949
36188 원해처리 플레이는 어떻게 상대하나요? [14] 껀후이2176 08/04/24 2176
36187 서울,경기지역에 일본간판이나 일본어가 적힌곳이 많은곳 아시는분 계시나요.. [2] 19992356 08/04/24 2356
36185 [P] 대회입상을 위해 특훈! 시작하려고 합니다. 카트리나, 블루스톰 맵개념좀요 :D [5] lxl기파랑lxl2025 08/04/24 2025
36184 인도의 정권체계?에 대해 궁급합니다.. [1] jinhosama1619 08/04/24 1619
36183 사운드 커튼이 정확한 어떤건지 궁급합니다. [5] 행복한 날들4384 08/04/24 4384
36182 [보험문의] 민간의료보험 or 화재사 의료 실비 종합 보험 질문 드립니다 [3] canoppy1820 08/04/24 1820
36181 여행지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1] 달려라투신아~1538 08/04/24 1538
36179 해외의 가전제품 수준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2] 익스트라2132 08/04/24 2132
36178 혼자 연구하는 C/C++ 교재 살려고 하는데..어디서?? [1] Haru2283 08/04/24 2283
36177 콜라에 관해 궁금한 게 있습니다. [20] e-뻔한세상2123 08/04/24 21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