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4/17 01:03
에.. 표준어의 정의가 저 초등학교 다닐때와 달라졌나요?
"교양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울말" 대충 이 정도였던 것 같은데, 교양 있고 없고는 워낙 판단하기 힘든 기준이라 패스하면 현대 서울말이 모두 표준어인데 사투리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08/04/17 01:06
저희 외가집이 서울 사투리를 씁니다. (600년 동안 서울에 한마을에 집성촌을 이루고 사신 분들 입니다)
그 덕에 저도 가끔 다른 서울 사람들이 잘 모르는 동사나 형용사를 쓸 때가 있습니다. (약간의 서울 사투리 입니다.)
08/04/17 01:09
옴마나님// 대부분의 현대서울말은 표준어가 맞지만, 나머지 상당수의 현대서울말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서울사투리에만 있는 발음법, 문법, 대표 어휘들 예를 들라면 끝도 없을 정도 입니다) 표준어의 정의는 예전과 달리진 것이 없습니다만 정의와 실상이 안맞는 부분이 있기에 논란이 더 커지는 것이고요.
08/04/17 02:07
과거의 서울 사투리와, 오늘날의 서울 사투리도 조금씩 다르긴 하죠. 과거의 서울 사투리는 교양있는 경기사투리에 가까웠다고 합니다.
현재의 서울 사투리는 또 다른 의미의 여성형 서울말이라고 연구된 것을 보았습니다. 상당히 외국에 가까울 정도로 음의 높낮이가 존재하고 부드럽죠. 개인적으로는 그런 어법들을 그닥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방송 앵커들의 어법을 존중하고 따라하려고 합니다.
08/04/17 02:10
저도 서울사람이지만 잘 구별 못합니다. 근데 지방에 사는 친구들이 왜 tv드라마랑 서울사람이 하는 말이 다르냐고 물어봐서 식겁한 일이 있습니다.
08/04/17 02:40
밀가리님// 일반적으로 말하는 서울사투리는 TV드라마에서 탤런트들이 하는 말들도 상당수 포함됩니다. TV드라마와 서울시민들의 언어의 차이는 사투리를 쓰고 안쓰고가 아니라, 비속어나 은어등의 사용유무에 따른 차이죠.
방송 앵커들의 말이라면 순수 표준어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만 ..
08/04/17 08:18
사투리에 대한 의미 이해의 정도와 '사투리'란 말에 대한 편견 때문이죠 뭐. 사투리는 지방의 사람들이 쓰는 말.. 이라는 인식이 강하기에 서울 사람들이 쓰는 말은 사투리가 아니겠지 하는 생각과, 사투리는 '억양이 강하게 들어간 말'(경상도 방언 등) 혹은 '어휘가 심하게 다른 말'(제주도 방언) 정도로 인식을 하고 있습니다. 논문 같은거 아무리 많이 나와봐야 그런 논문이 신문이나 대중매체에 언급될 일도 없고, 전라도 사투리나 경상도 사투리 등으로 말씀하시는 분들도 그것들에 대한 논문이 많기 때문에 그것들을 사투리로 인식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또 하나, 서울 방언은 확실히 존재하긴 합니다. 방언이라는 말의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이기도 하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