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6/11/21 22:02:58
Name Daylight
Subject 외국어영역, 언어영역 질문입니다.
오늘 2학년 마지막 모의고사를 봤는데

이대로는 안되겠더라구요;;

그래서 재대로된 공부를 체계적으로 하려고하는데요

이번 기말고사끝나고 문제집(or참고서)를 사러가려고 하는데요

외국어 영역에는 어떤 책들이 좋으며 어떤공부방식이 효율적인지

언어 영역에는 어떤 책들이 좋으며 어떤공부방식이 효율적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21 22:16
수정 아이콘
외국어는 일단 문법 공부 쭉 하시면서 문제 특히 좋은문제만 찾아서
푸세요. EBS 기본이구요. 제 나름 추천은 CEDU 실전모의고사
yes24가면 팔더군요. 사서 듣기까지 풀어보세요.
ebs 는 다 풀구요.
언어는 무작정 푼다고 되는게 아닙니다.
언어는 시간 싸움입니다. 어떻게 하면 빨리 풀고 빨리 읽고 이런거 연습
하세요. 2학년이시면 지금부터 언어는 절대 게을리 하지마세요.
지금 부터 계~~~~~~~~속 하시면 수능 100점 나옵니다.
진짜 국어 무시하지 마세요. EBS 언어가 좋습니다. 강의도 좋구요.
매일 푸세요. 그리고 국어는 문제유형이 거의 항상 비슷해서
유형별로 익히는것도 좋아요. 보기,문법,내용일치,abcd문맥, 등등
언어는 제가 3학년 1년동안 죽도록 했습니다.

그랬더니 98점 수능 나오네요. 열심히 하세요.
오릅니다. 처음엔 기본이 안되있어서 계속 성적 맴돌껍니다.
큰 항아리에 물붙는다고 생각하시고 꾸준히 끝까지 하세요.
06/11/21 22:45
수정 아이콘
외국어는 문법, 구문적인 해석 기반이 다져져야 독해를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정말로 좋은 책이 대한민국에 현재 없습니다. 그나마 기본은 천일문이 잘 되어 있는데 이 마저도 강의가 효과적이죠.
문법이나 구문 기본을 다질 수 있는 강의를 하나 떼시고 (복습은 당연 필수) 문제를 꾸준하게 풀어나가시면 됩니다. 문제는 EBS만 내내 푸셔도 됩니다. 파이널만 다른 문제집 조금 푸시면 됩니다.
EBS는 다른 과목은 전혀 쓸모 없지만 외국어에서만큼은 그 파워가 200%에 가깝습니다. 우선 지문이 변형되어 10문제 가량 출제됩니다. 이건 체감난이도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EBS 외국어만큼은 충실히 공부하세요.

외국어 듣기의 경우 기본적인 문장은 아예 외워두시는게 좋습니다. 외우는건 그냥 무식하게 외우는것보다 듣기를 들으시면서 이런 문장이 자주 나오는구나 하면서 그 문장을 자주 들으시면 익숙해져서 자동적으로 외워지게 되는거죠.

언어의 경우는 맨처음 하셔야 할 것이 기출분석입니다. 수능 언어영역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기출분석만큼 파괴력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기출분석하는 방법은 질문을 주시면 쪽지로 보내드립니다.

비문학 공부하는것은 문단별 주제, 글의 주제를 잡으시면서 꾸준하게 읽으시면 나중에는 행간의 의미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경지에 오를겁니다.
시는 감상법을 아시는게 중요합니다. 시 별로 화자-상황(혹은 대상)-정서(혹은 특징)를 잡으세요.
소설 감상법은 인물-사건-배경을 정리하시는게 기본이며,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기타 표현이 문제로 출제가 되는데 이건 많이 소설만 제대로 읽어도 맞을수 있는 부분이니 패스합니다.


원하는 대학 꼭 붙으시길 바랍니다.
파이어볼
06/11/21 22:51
수정 아이콘
언어영역이 6차 마지막 수능이후 쉽게 나오는 경향입니다.

아무래도 고득점이 많이 나오고 1등급 컷도 높다는 점 참고하시구요.

모의고사를 쳐보시면 알겠지만 ...

언어는 속칭 감이라고 하는 것에 의존하는 경향이 큽니다.

언어를 그렇게 많이 공부하지 않는데도 늘 고득점을 하는 부류가 있죠.

이런 사람들이 감이 좋다고 말하는데 ...

이런 사람들은 어려서부터 책을 꾸준히 읽어온 사람들이 많습니다.

책을 보면서 글을 보는 눈이 확실하게 자리 잡혔다는 거죠.

일단 거시적, 미시적으로 독해하는 눈이 필요합니다.

그냥 디립다 지문보고 문제 푼 다음 해설보면 늘지 않습니다.

한지문 한문제를 풀더라고 확실하게 자기 생각을 정리한 후에

해설을 보고 자기 생각과 이렇게 다르구나 하면서 하나하나 익혀 나가야 합니다.

그리고 언어에서 나오는 기본 어휘 정리는 필수입니다.

(수학 공식이나 과탐 개념처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언어란 과목이 워낙 익숙하다보니 소흘히 하는 경향이 있죠.)

외국어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일단 어휘력과 어법, 듣기 능력을 꾸준히 갈고 닦아야 하구요.

언어와 마찬가지로 독해하는 눈을 길러야 합니다.

처음부터 잘 되질 않을겁니다.

11년동안 생각해오고 습관화 되었던 걸 하루아침에 바꾸기란 쉽지 않죠.

초반에 너무 의욕이 앞서면 빨리 지치기 마련입니다.

꾸준히 인내력을 가지고 열심히 하면 조금씩 나아지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을겁니다.

건투를 빕니다 일년이란 시간은 길거든요 화이팅요 'ㅁ'
WizardMo진종
06/11/21 23:54
수정 아이콘
전 언어문제집을 3년동안 10권도 안 풀어본사람이라 거기에 대해서는 할말이 없구요;; 외국어는 책하나 추천해드릴께요. 기본잡을꺼면 넥서스 디스이즈 그램마구요. 문법을 더 깊게 파실꺼면 해커스 그램마 스타트 보세요. 단어는 능률보카 하루에 단어 200개씩 스터디 만들어서 벌금걷고 외우세요. 아마 열흘이면 한번 돌아갈껀데 대충 5번 돌면 다 외울수있을꺼구요 그담부턴 지문에 나오는 단어중에 모르는거 체크해서 단어장에 외우세요.

뒤늦게 후회해봐야 답안나오는거긴 하지만;; 편입준비하면서 느낀건데, 수능 영어 완전 바보에서 시작해도 넉달만 꾸준히하면 만점 노릴수 있을겁니다. 방법과 꾸준함에서 걸리는거에요.
구본광
06/11/22 00:40
수정 아이콘
언어는 파이어볼님께서 말하신것대로 하시면 될꺼구요.. 덧붙이자면
문학 부분에는 .. 자신이 그 작품의 화자가 되어서 생각하는 방법도
하나의 좋은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외국어는 .. 문법+구문 을 터득하실려면 김기훈 선생님의 천일문이나
타미 선생님의 a+b 강의 들으시면 될꺼구요 ..
독해는 .. 저 위에 있는 강의들 복습하시면서 ebs 문제집 푸시면 됩니다
특히 ebs 고득점 200제 .. 문장구조 분석하시면서 공부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제가 저렇게 해서 3학년 초반에는 70대 초반
이었는데 .. 이번 수능에 독해는 다 맞고 듣기서만 틀렸습니다 .
꾸준히 하셔서 좋은 성적 얻으시길 바랍니다
06/11/22 12:11
수정 아이콘
그리고 언어는 감이 절대로 아닙니다. 감만 의존하다간 절대로 1등급 못 맞습니다.
수능 언어는 객관적입니다.

(전 올해 수능 언어 100점입니다.)
06/11/22 21:52
수정 아이콘
언어는 자고로 어릴때부터 책 많이보고 신문 많이보면,
공부 더럽게 안해도 점수 잘 나옵니당.

지금은.. 흠 그냥 빠르게 읽고 내용파악하는 습관을 기르는것이 중요하지않을까 싶군요.

고3때 모의고사 두권 풀어보고 02년도 언어 118점이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2816 윈도우 XP 를 새로 깔았는데요~ 도와주세요 [4] 김영민1527 06/11/23 1527
22815 대학교 학비; [15] 夜空ノムコウ2182 06/11/23 2182
22813 W3 에서 맵별로 나오는 별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7] 쿨희1711 06/11/23 1711
22811 [자문]책을 추천해주세요. [19] 불꽃1600 06/11/23 1600
22810 컴퓨터 부팅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2] HulkHoGan1577 06/11/23 1577
22809 워크질문... [3] 초스피드리버1734 06/11/23 1734
22808 듀얼 예선 중계, 어떻게 한것인가요? [4] 하수태란1797 06/11/23 1797
22807 영웅전설6 SC 엔딩음악 질문입니다. [1] Signal1621 06/11/22 1621
22806 컴퓨터 다운 질문입니다. [3] iloveeggo1530 06/11/22 1530
22805 신한 마스터즈?? [5] 대항해시대2069 06/11/22 2069
22804 군수열 질문이요 [6] Daylight2188 06/11/22 2188
22803 휴대폰 요금에 관한 질문입니다 [1] 푸른날개1840 06/11/22 1840
22802 연극 라이어 1탄 말고도 보신분~~~ [3] 참이슬토스!!1594 06/11/22 1594
22801 역대 스타리그 결승전 스코어가 궁금합니다. [2] 팬이야1907 06/11/22 1907
22800 플스를 컴퓨터로 하는 방법 [3] nuzang2162 06/11/22 2162
22799 배달알바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5] Adada1775 06/11/22 1775
22798 군대관련 질문입니다. [3] 강나라1969 06/11/22 1969
22796 대학 입시때문에 질문드립니다. [5] 3didas1849 06/11/22 1849
22795 w3x->jpeg 프로그램 없나요? [1] PRAY2076 06/11/22 2076
22794 워3 리플레이 좀 보려 하는데 프로게이머 추천 좀... [7] 랩퍼친구똥퍼2087 06/11/22 2087
22793 비염...에관해서 [3] 호이!2157 06/11/22 2157
22792 재수하면서 권투를..?? [19] Short2729 06/11/21 2729
22790 외국어영역, 언어영역 질문입니다. [7] Daylight1714 06/11/21 17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