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1/27 10:15
제 생각입니다만, 소위 말해서 `찌질`한 사립대보다는 국립이 되는게 좀 더 제대로 된 투자나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서가 아닐까요... 재단이 비리투성이거나 별로 돈이 없다면 차라리 국립대가 되는 것이 더 낫겠지요.
06/01/27 10:20
A라는 국립대와 B라는 사립대의 여건이나 수준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대게 등록금이 싼 A를 택하겠죠. 인재들이 A대학에 몰리면 A대학의 수준이 당연히 더 올라가는 걸 겁니다. 지금까지 일반 사립대들보다 국립대들의 위상이 더 높았었죠. 다만 최근에는 서울 선호 경향때문에 서울내 사립대의 위상이 지방국립대의 위상보다 높아지고 있지만 얼마전까지만해도 부산대, 경북대 같은 지방대는 연고대 바로 밑 수준이었습니다. 같은 서울내에서라면 당연 서울대의 위상이 최고라든지.. 지방내에서라면 지방 국립대의 위상이 높죠.
06/01/27 10:56
문제는 지방 국립대생은 자기위상이 높다 생각하고
서울 사립대 학생은 자기네위상이 더 높다 생각하죠. 뭐 어딜가나 그것은 자신의 선택.. 사립대야 요즘 사학법때문에 말많고 재단비리 많은거 사실이고 국립대는 단지 지방이라는게 좀 문제일뿐.. 최고는 서울대인가....ㅠ
06/01/27 11:23
일반적으로 한국에서의 대학 인식은 지역>국립대 여부입니다. 단, 특정 과에 한해서 서울의 사립대보다 지방 국립대를 높게 쳐줍니다.(특히 사대의 경우 서울 하위권보다 지방국립대가 더 높죠.)
06/01/27 18:13
외국에서는 이미 국립대>>사립대 인게 정설입니다. 유난히 우리나라만 국립,사립보다는 수도권이라는 생각을 가진듯 하구요. 땅이 좁아서 그런건가 --;
06/01/28 06:34
The..// 미국의 하버드 예일 코넬 프린스턴 등은 다 사립인데 최고의 명문으로 인식되지 않나요? 좀 이상하네요; 영국이야 뭐 대학이 다 국립이니 논외로 치고..
06/01/30 21:45
단순히 나중 유학이라면 National 이 붙은대학이 좀더 쳐주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나머지는 결국 가치기준의 문제가 아닐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