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6/01/26 21:43:40
Name 라이포겐
Subject 수리나형과 가형에 대해서
전 수리가형을 치려고하는데요(제가 가려는 곳이 수리가 필수라서)
수리 나형을 보니까 수1만 치는데도 불구하고 수리가형보다 수1내용이 훨씬더 쉽더군요
수리가형은 수1도 훨어렵고 거기에 수2까지 응용되고 절정으로 미적까지 꼬이니 미치겠던데 수리가형치는 사람은 머 해택같은거 없나요?

수리가형에 2점짜리문제가 더 쉽게내서 수리나형가면 3점짜리로 바뀌더군요;;;
수리나형만 치면 1등급도 받겠던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1/26 21:47
수정 아이콘
자연계중에서 가,나 둘 다 보는곳에서는 가산점이 있는걸로 압니다만..... 근데 그렇게 많지가 않죠.... 그리고, 자연계 한 반에서 가형 치는 사람이 30명 중에 5-6명정도라고 들었습니다.
06/01/26 22:00
수정 아이콘
이번 수능을 치루고, 졸업을 앞둔 고3학생입니다. (저는 참고로 '가형'을 치루었습니다.)
수리 가/나형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가형의 경우 대학에 따라 필수 과목으로 선정해 놓은곳도 있고(수리 나형 응시자는 지원불가), 가산점을 주는 곳도 있습니다(인하대 같은 경우 가산점이 20%이기 때문에 입학생의 수능 평균 백분위를 봤을 때 가/나형 차이가 15~20%까지 나는 학과을 보았습니다.).
나형의 경우 순수 표준점수에 이점이 있다고 봅니다. 수리 나형의 경우 하위권의 영향으로 최고득점자에 경우 가형에 비해 보편적으로 높습니다(가산점이 없는 학교에 경우 수리 가형 응시자가 손해를 보겠죠).

결론은 목표 대학이 어디냐에 따라 이로울수도 있고 해로울수도 있습니다.
06/01/26 22:07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상위권대학은 가형만 봅니다
06/01/26 23: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씀드리면 가형이 가산점을 굉장히 많이 주지 않는 이상 나형 따라 오기 힘들죠 상위권 대학이나 의대가 목표가 아니시라면 나형으로 바꾸시는게 더 현명할꺼라고 봅니다
06/01/26 23:12
수정 아이콘
저는 이제 올해 재수를 했습니다만 제 친구들의 이야기를 빌리자면

가형은 피터지고 머리 깨지게 풀어도 안풀리는 문제가 모의고사나 수능에는 꼭 나오고 특히 공간도형이나 미적은 머리가 안되는 사람은 정말 못하는 거리구 하더군요..

반면 나형은 단 한마디 실수싸움
06/01/26 23:43
수정 아이콘
가형이 미적분이랑 수2가 있어서 그렇지 나형이 수1내용만으로 따지면 더 심화적으로 나온다고 들었는데요.-_-;
이과시고 인서울 하실 의향 있으시면 가형 치세요.
콘토스
06/01/26 23:59
수정 아이콘
血鬼//그건 잘못 알고 계신겁니다.그건 6차때 이야기죠..7차입시에서의 수리 가형과 나형의 난이도차이는 엄청납니다. 수리가형 70점맞은 학생도 나형을 보면 90점을 넘길수도 있을정도로요
Hyo-Ri☆World
06/01/27 00:23
수정 아이콘
2006년에 대학이 가형만 받는데가 더 늘어났죠 ㅎ;
// 가형 진짜 50점도 안나온다하면 나형 하시길;;
06/01/27 00:51
수정 아이콘
수리 나형의 표준점수가 원점수 100점 기준으로 2학년 191점에서 3학년 150대로 가는 것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이과생들이 대거 나형으로 러쉬하죠 -_-;
진리탐구자
06/01/27 02:03
수정 아이콘
나형 너무 무시하시네요. ;;
난이도 조절하려고 마음만 먹으면 나형을 가형보다 훨씬 어렵게 낼 수 있습니다. 원래 범위가 적을 수록 난이도는 어려워지는 법이죠.
더군다나, 나형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확률 계산 문제의 경우, 푸는 사람은 풀고 못 푸는 사람은 못 푸는 식의 문제가 많습니다.
진리탐구자
06/01/27 02:05
수정 아이콘
실제로 만점자 비율만 봐도, 보통 가형이 나형보다 높습니다. 이번 수능처럼 가형이 매우 어려운 때는 예외이긴 합니다만...
나형이 가형보다 유리하고 공부할 내용도 훨씬 적은 것이 사실입니다만, 고득점 받는 것은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만만하지만은 않습니다.
06/01/27 07:08
수정 아이콘
이과생이 수리 나형을 본다면 명문대는 포기하시는 건데요..
06/01/27 11:01
수정 아이콘
이과생이 인서울하려면 가형해야한다는 잘못된겁니다..
제 친구는 인문계에서 광X대 컴터관련과에 들어갔습니다.
물론 수리는 나형봤구요.
요즘은 가형만 보는 학교가 많지만 여전히 둘다 보는 학교가 많기 때문에 일단 자신의 목표대학이 있으시다면 그 대학이 반영하는 과목을 살피고 거기에 초점을 맞추셔야합니다
가형 가산점이 10%이상이 아니라면 나형이 아주아주 유리합니다

하지만 가형을 공부해두시면 대학가서 쓸모가 있죠.
콜라박지호
06/01/27 12:43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 // 나형 무시하기 싫으시면 가형풀어보시면 됩니다.

외계인(의대)들 빼고 이거 94점이상 맞아본사람 드믈 걸요?

저희 학교서 이과 꼴등하던녀석이 수리 나형바꾸고 3등급 맞는 상황이 나타납니다.

이과서 수리나형 봐서 4등급 나온경우는 단 3명뿐이었네요
06/01/27 14:06
수정 아이콘
그러면 나형 푸세요. 그럼 되겠네요.-_-; 다들 가형 푸시는 이유가 가산점 때문 아닙니까? 그런데 나형으로 바꾸고 3등급 나온게 부러우시면 나형으로 바꾸면 되지, 쉽다 어렵다 하시면서 평가를 왜하시는건지 전 잘 이해가 안되네요.
콜라박지호
06/01/28 00:16
수정 아이콘
전 이미 1등급이므로 패스 수능때도 당당히 1등급 뜨던데요 ㅎ
Hyo-Ri☆World
06/01/28 18:13
수정 아이콘
흠냐리 -_-ㅋ
이번뿐만 아니라 작년에도 가형이 힘들었는데 ;;
수리 가형 나형은 7차때 부터 생긴거 아닌가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072 국립대가 사립대보다 좋다? [9] 박서2040 06/01/27 2040
14071 피파2006중에서.. [1] _ωφη_1813 06/01/27 1813
14070 키보드 관련 중요한 질문입니다. [15] 지니쏠1786 06/01/27 1786
14068 pgr운영자님께- [3] Anabolic_Synthesis2274 06/01/26 2274
14067 자연스럽게 인사하고 싶어요. [3] 이상한2008 06/01/26 2008
14066 [건의사항]와우게시판.. 프래스토1545 06/01/26 1545
14065 수리나형과 가형에 대해서 [17] 라이포겐1731 06/01/26 1731
14064 배틀넷에 접속하면 스타가 꺼집니다 . [1] 전현우1652 06/01/26 1652
14063 발에 물집이 잡혔는데요.. [4] 운혁1812 06/01/26 1812
14062 이병민선수의 별명.. [7] 프래스토2011 06/01/26 2011
14061 일전에 유머게시판에 올라왔던 [2] 지수냥~♬1656 06/01/26 1656
14059 군대에서 공부할수 있나요? [11] 묵향지기2192 06/01/26 2192
14058 프로그래밍 하는 분들 질문 드립니다. [3] 질럿 factory1638 06/01/26 1638
14057 저번에 팬픽한거요.. 유리의 연금술1560 06/01/26 1560
14056 위닝 질문 [3] 한상빈1559 06/01/26 1559
14055 축구 질문........ [13] KTF엔드SKT11569 06/01/26 1569
14054 국전에 9층만 비디오게임기를 파나요? [4] 아가리똥내1640 06/01/26 1640
14052 저그 전투법에 대해서 질문이요. [14] MSTran1826 06/01/26 1826
14050 배틀넷 무빙샷 연습관련 [6] 2199 06/01/26 2199
14049 음악 파일 질문 1591 06/01/26 1591
14048 펭귄 1.13f 버전 아직 안나왔나요? [1] MyRevolution1597 06/01/26 1597
14045 님들은 무빙샷 어떻게 하시나요? [17] 새로운별1726 06/01/26 1726
14044 건담 시드 데스티니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7] 막시민리프크2048 06/01/26 20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