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27 04:58
별로 비싸지 않네요 CPU VGA SSD급을 생각하면 가격을 낮추려면 그 이하로 내려가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그나마 추천을 해드리자면 32비트가 꼭 필요한게 아니면 램은 8기가 가셔도 좋구요. VGA는 게임 호환성으로 꼭 560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라데온쪽으로 가시면 6870급을 하셔도 가성비로는 더 좋습니다. 하드의 경우 삼성은 시게이트로 넘어갔으니 SSD는 삼성을 써도 하드는 꼭 삼성을 쓸 이유는 없습니다. 얼마전에 AS받았는데 지금이야 AS를 해주지만 시게이트 AS를 알려주시더군요. 삼성 AS는 좋지만 이제 사업 접었으니 참고 하시구요. ODD는 솔직히 빼도 괜찮구요. 급을 내리지 않는 이상 별로 건들 부분이 많지 않아 보입니다.
12/01/27 05:11
거하게 준비하셨군요!
내장 그래픽카드를 쓰는 상황이 아니므로 H67 보드보다는 P67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전원부도 더 튼실하고 오버도 되고요. 비슷한 가격대인 GIGABYTE GA-P67-DS3 (B3) 제품 추천드립니다. cpu는 2500 과 2500k 만원차이인데 저라면 2500k 가서 몇년 후에 컴퓨터 성능이 느리다고 느껴졌을 때 오버클럭 하는 용도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램은 동일 메모리 2개를 사용해야 듀얼채널 메모리 기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큰 차이는 없으나 미약이나마 성능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보통 2개를 구매합니다. 2+2, 4+4 로 구매하시고 오버클럭 할 예정이 아니시라면 12800 클럭 제품과 10600 제품 속도차이는 미미 합니다. 체감속도는 0에 가깝습니다. 램은 용량>>>>클럭>타임밍 순으로 중요합니다. 그래픽카드는 560ti급에 해당되는 amd모델은 6950입니다. 둘다 가격, 성능이 비슷함으로 하시는 게임의 최적화된 그래픽카드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6950 일부 제품중에서는 간단한 바이오스 변경으로 6970으로 변신하는 제품이 있으니 시간이 되시면 찾아보시고요. SSD 용량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부분이라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알아보셨겠지만 SSD에는 윈도우+ 실사용 프로그램만 설치하셔야 합니다. 저는 64G로도 충분하더군요. 삼성 하드디스크 사업을 접어서 시게이트에 매각되었습니다. AS 받으려면 시게이트에서 받아야 하는 불편함 등이 있습니다. WD 1테라 BLUE제품 추천 드립니다. 시게이트는 AS기간이 1년으로 줄었습니다. WD는 2년입니다. 삼성도 2년이고요. 파워는 저 제품보다는 SuperFlower SF-500P12A로 가세요. 안정성과 효율면에서 fsp보다 좋습니다. 해당벤치마크는 http://www.playwares.com/xe/20272510 서 확인 가능합니다. 다나와 사이트에서 부품선택 후 연결해 주는 사이트 가서 구매하셔도 되고 직접 조립하시는게 아니라면 다나와 조립딴지게시판을 이용해서 입찰해서 조립하셔도 됩니다. (가끔 이럴 경우가 더 저렴할 수도 있으나 윈도우 추가에 얼마 뭐 추가에 얼마 이런건 조심하세요.) 모니터는 아는사람만 쓴다는 델모니터인 DELL UltraSharp U2312HM 추천드려요. 추가 질문은 쪽지로 보내주시고 좋은 하루 되시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