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26 22:20
서버와의 통신을 최대한 간략화 시키기위한 방법 아닐까요
이체계좌를 입력하면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하고 다시 송금금액을 입력하여 전송하는 방식보다 계좌와 송금금액을 한번에 입력하여 접속하고 계좌명을 확인하는게 통신상 더 효율적이겠지요. 어차피 은행입장에서는 계좌명확인은 한번만 시켜주면 된다는 입장이고 좀더 신중한 확인이 필요하겠죠
12/01/26 22:26
금융권에 일하지도, 전공도 아닌 대학생이지만, 저는 윗부분이 맞다고 봅니다.
지극히 상식선으로 볼때, 일할때 서류에 모든 사항을 기록해서 마지막에 결제를 받잖아요? 예를 들어 가 항목 적고 결제-> 승인 -> 나 항목 적고 결제-> 승인... 이런식이면 일이 더 짜증날 것 같네요. 짜증뿐이면 모르겠는데, 시간과 비용도 더 많이 들죠. 거의 실시간으로 요구 답변을 주고 받으니깐요. ATM이 아닌 은행 업무를 볼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체시, 지로용지에 모든 사항을 기록한 뒤 은행원에게 이렇게 해 달라고 내밀지, 은행원과 1:1 맞춤 대화를 하진 않죠. ATM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사항을 고객이 입력하도록 한 뒤, 마지막에 위 사항이 맞는지 확인창을 띄웁니다. 여기서 오류를 발견하면 '수정'하라고 뜨고요. 아무이상 없이 승인 누르면, 그때부터 전산작업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전산작업을 일부러 여러번 할 필요 없이, 시간도 단축하면서, 자원도 적게 드는 방법이죠.
12/01/26 22:44
Karoo님.
생각해보죠. 일단 저희가 입력하게 되는 정보, input이 세개 있습니다. 1. 계좌번호 2. 금액. 3. "이체확인" 통신을 간략화한다고 하셨는데, 지금 현행을 되짚어보면(Output이 통신이 오간 증거입니다): Input 1 (계좌번호) > Input 2 (금액) > Ouput 1 (계좌명) > ["Input 1에 Input 2를 이체하시겠습니까?"] Input 3 (이체확인) > Output 2 ("감사합니다 이체 완료되었습니다") 제가 제시한 방법: Input 1 (계좌번호) > Output 1 (계좌명) > [이때 맞으면 금액 입력, 틀리면 다시] Input 2 (금액) > ["Input 1에 Input 2를 이체하시겠습니까?"] Input 3 (이체확인) > Output 2 ("감사합니다 이체 완료되었습니다") 아닌가요? 제가 입력한 금액이 굳이 서버와 통신을 요할 필욘 없지 않나요? 결국엔 통신이 요구되는 정보는 계좌명과 이체 실행 명령 이 두개 뿐입니다. 순서는 중요하지 않죠. 그리고 하루빨리님 말씀하신 "승인"은 현행과 제가 제시한 방법 둘다 두 항목에 대해서 받게 됩니다(계좌 정보와 금액). 물론 그 횟수가 현행은 한번이지만 확인란을 한번 더 띄우는 것이나 사용자가 버튼입력을 다시한번 하는 것이 오히려 이체정보 오입력을 통한 사고를 방지하는데 용이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시나요? 귀찮아서 확인하기 싫으면 그까이꺼 난 계좌번호 100% 확실하게 입력했으니까 내가 금액 입력하면 확인도 필요 없고 즉각 실행해! 라고 하면 되죠. 지금 빠르고 효율적인게 뭔지가 아니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얘기를 하고 있는데 그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12/01/26 23:01
일단 사고 방지를 위해 atm에서 계좌명 확인을 해주는 것이기에 (사람이 처리하는게 아니니, 계좌명이 올바른지 확인절차가 들어가는 것이죠.) 순서가 어찌되었든, 계좌명 확인을 소홀히 한 사람의 잘못이지 시스템의 문제는 아닙니다. 더군다나 계좌명 확인이 atm이 고객에게 해줄 수 있는 최대한의 사고 방지 대책이라면, 거기에 순서는 최종 처리 과정에 들어가는게 순서상 맞다고 보여지고요. 극단적으로 최종 확인을 소홀히해서 엉뚱한데 돈 쏘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은 필히 계약서 제대로 확인 안하고 계약해 패가망신할 사람이고, 그런 사람이 과연 atm의 단말 처리 순서를 바꾼다고 해서 위와같은 실수를 하지 않을까는 의문이 듭니다.
12/01/27 00:28
확인횟수의 차이도 있겠죠
1안은 이체계좌와 이체금액을 한번에 확인하고 승인합니다 2안의 경우 이체계좌를 확인후 이체금액이 맞는지 또 확인을 해야합니다 이럴경우 비효율적이죠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