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1/23 06:02:14
Name 캐터필러
Subject 기타 로 노래 반주할때
멜로디를 알고 있는 노래를 반주할때

기타 잘치시는분은  악보 보지 않고 멜로디 따라가면서  반주 잘 하시던데

저는 악보를 보지 않으면 코드가 예측되지 않아서 반주를 못하겠습니다.


이런경우   악보없이 반주하시는분들은  코드를 모두 외우신건가요?

어떻게 하면 악보를 보지 않고 멜로디 따라서 반주할수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eineLiebe
12/01/23 06:14
수정 아이콘
기타에 잔뼈가 굵은 분들이라면~
그 정도는 거의 기본에 가깝습니다~
왜냐면,
왠만한 대중가요의 코드진행은 거의
판에 박힐 정도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개중에는 자신이 외우고 있는 곡들도 상당하구요~
처음보는 곡이라도 다음 코드가 어떤게 올지는
감으로 찾아내는데 어렵지는 않습니다!!

또 따지고 보면 한 코드에서 다른 코드로 가는데
그렇게 많은 경우의 수가 있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대중 음악에서는요~!!
jjohny=Kuma
12/01/23 06:52
수정 아이콘
저는 윗분과는 생각이 조금 다른데, 악보 안 보고 기타를 칠 수 있는 능력은 기타를 오래 친다고, 혹은 잘 친다고 생기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제 주변에도 기타 정말 기가 막히게 잘 치는데 이 부분이 안돼서 답답해 하는 사람들이 꽤 됩니다. 반면에, 저는 기타를 '잘' 친다고 할 만한 실력은 아닌데 악보 없이 반주를 넣을 줄은 압니다. 이 부분은 음감(바꿔 말하면 청음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일정 수준 이상의 음감을 갖추면 큰 어려움 없이 성취 가능한 부분입니다. 저는 기타 처음 잡을 때부터 이것을 목표로 삼고 기타 치는 시간의 대부분을 여기에 할애했는데, 어느 정도 자유로운 수준에 이르기까지는 한 1년 정도는 걸린 것 같습니다. (저는 독학으로 한 거라 좀 좀 더 전문적인 교육을 받으면 기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1. 사실 윗분 말씀처럼 '전형적인' 코드진행 패턴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곡들이 이런 문법을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멜로디의 흐름은 코드의 흐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멜로디에 어긋나지 않는 코드진행은 어느 정도 한정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무난한 걸 그 때 그 때 골라서 집어넣으면 원곡과는 다를지언정 크게 어색하지는 않은 반주를 넣을 수 있습니다.

2. 그런데, 정말 '백지 상태에서 멜로디만 주어진'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이런 애매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됩니다. 멜로디를 기억하는 익숙한 곡들은 보통은 코드에 대한 느낌도 어느 정도 기억 속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 느낌을 잡아내서 실제 코드에 대입시킬 수 있으면 좀 더 수월하게 즉석에서 반주를 넣을 수 있구요. 아마 대부분의 경우는 이렇게 반주를 넣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3. 그렇게 '느낌'을 잡아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상대음 개념에서의 도레미파솔라시'(즉, 스케일)과 1, 2, 3, 4, 5, 6도 화음 정도는 귀로 듣고 구분해낼 필요성이 있고, 이 정도만 되어도 꽤나 많은 곡들을 큰 무리 없이 소화해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평소에 기타 칠 때 악보에 있는 코드들을 의도적으로 1, 2, 3, 4, 5, 6도 화음에 대입시켜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저는 이렇게 시작했습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굳이 일부러 다양한 코드패턴을 분석하는 것보다 이렇게 음감 획득을 위해 노력하는 게 훨씬 더 빠르고 쉬운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음감을 획득한 이후부터는 구태여 악보를 구해서 코드를 읽어 가며 분석을 할 이유가 없으니까요.

4. 여유가 있으시다면 짧게라도 학원을 다니면서 기초적인 이론공부, 음감 훈련을 받으면 나중에 독학을 하게 되더라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학원을 다닐 기회가 없었어서 초반에 방향을 잡을 때도 좀 헤맸고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습니다. 그리고 음감이 하루아침에 저절로 익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질릴 수 있는데, 학원을 다니면 꾸준히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상당한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단 이 부분은 학원을 다녀보신 분께서 대답해주시는 게... 하앍하앍) 저한테 이 부분을 가르쳐 달라고 부탁해서 제가 기본적인 훈련방법을 가르쳐준 후배는 많은데,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연습하는 건 몇 명 안되더라구요.
마늘향기
12/01/23 07:40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노래들은 1,4,5도 화음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구요.
다장조로 치면 C,F,G가 되겠네요.
동요 수준정도의 단순한곡이면 이 3개로 충분히 반주가 되지요.
이보다 조금 덜 단순한 곡이면 추가로 2,3,6 화음이 더 들어갑니다.
다장조로 치면 Dm,Em,Am 이겠죠.

코드가 이 6개 범위를 벗어나는 곡이면 일반인 수준엔 바로듣고 치기엔 무리가 있는 곡이라 생각합니다.
12/01/23 14:24
수정 아이콘
기타 많이 친다고 되는게 아니라, 이건진짜 선천적인 음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몽키.D.루피
12/01/23 21:38
수정 아이콘
그냥 대충 막 잡고 쳐도 아무도 몰라요 크크크
캐터필러
12/01/23 23:41
수정 아이콘
좋은답변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5274 미디블토탈워2 질문입니다 [2] Claude Monet2623 12/01/23 2623
125273 교통사고 질문 있습니다ㅠ [9] 미르1682 12/01/23 1682
125272 헬스질문입니다. [5] 야누스2239 12/01/23 2239
125271 에그 질문 좀 할께요~ [4] SiveRiuS2057 12/01/23 2057
125269 노트북 사양질문입니다. [5] 스키너2197 12/01/23 2197
125268 스마트폰 질문입니다~ [2] 발로텔리2092 12/01/23 2092
125267 기본적인 컴퓨터 부품교체 하는법 알려면 어떤방법이 좋나요? [3] 더이상은무리2153 12/01/23 2153
125266 명탐정 코난 질문입니다. [5] 치토스2125 12/01/23 2125
125265 32비트 윈도우XP에서는 램8기가를 꼽아도 [3] 뜨거운눈물2553 12/01/23 2553
125264 그래픽 카드와 파워 대한 질문입니다. [4] kapH1569 12/01/23 1569
125263 제 명의로 되어 있는 모든 보험을 파악하려면? [2] Dear Again2150 12/01/23 2150
125262 [lol] 왕초보인 저에게 맞는 캐릭은 뭘까요 [11] 비상하는매2634 12/01/23 2634
125260 How I Met Your Mother, Two and a Half Men 관련 질문 [2] 샤르미에티미2002 12/01/23 2002
125259 [LOL] elo 시스템? 아리? [4] 2097 12/01/23 2097
125258 에고....설날 당일날 집 탈출....-_- [9] 다음세기2658 12/01/23 2658
125257 의류선택관련 조언 부탁해 주십사합니다. [1] the hive1552 12/01/23 1552
125256 카카오톡 질문입니다. [2] Eluphant Bakery2109 12/01/23 2109
125255 중고 컴퓨터를 구입하려고 하는데 조언이 필요합니다. [5] Rest2129 12/01/23 2129
125254 간단한 물리문제... [8] Kobe4381 12/01/23 4381
125253 기타 로 노래 반주할때 [6] 캐터필러2910 12/01/23 2910
125252 스마트폰에서 swf파일 실행법 [1] 아스날2284 12/01/23 2284
125251 어려운 기타 코드 좀 알려주세요 ㅠㅠ E7/B, G/B, Em7-5 [5] 유비키리6059 12/01/23 6059
125250 극장판 애니 중 볼만한거 추천 부탁합니다 [9] PokerFace2954 12/01/23 29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