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20 21:06:34
Name 001
Subject [질문] 라캉 잘 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책 읽다 느낀 궁금점이에요.

"일반적으로 피분석자가 분석가를 찾아오는 경우는 그들의 삶에 위기가 닥쳤을 때이다. 그 위기 혹은 실패를 돌파하고 새출발하기 위해서 분석주체가 문제의 원인을 알고 싶어할 것이라는 점 혹은 자기 자신에 대해 잘 알기를 원할 것이라는 점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분석이 시작된 뒤 그들이 자기 삶에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알고 싶다고 말할 떄 그들의 무의식을 점유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그것을 '알고 싶지 않다'는 욕망이다."

"그들은 그들 자신에 대해서 알기를 원치 않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증상을 치료하는 것 역시도 원하지 않는다. 피분석자가 증상 떄문에 고통을 겪고 있다고 호소할 때에도 실상 그들은 자신의 증상으로부터 어떤 만족을 얻고 있다. 그들은 증상을 향유한다.그들이 분석가를 찾아오는 것은 그 만족 혹은 향유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이고, 그들이 무의식적으로 원하는 것은 단지 증상이 그들에게 다시 예전의 만족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일 뿐이다."

이런 문단이 있는데요. 좀 거칠고 무식한(ㅜㅜ) 문장으로 정리해 볼게요. 예를 들어 저에게 어떤 심리적인 문제가 있어서 그걸 심리치료사에게 상담하러 가야 할 필요성을 느껴요. 이 심리적인 문제가 너무 커서 자칫 사회에서 자리잡지 못하고 도태될것 같은 공포가 들어요. 그래서 꼭 고치고 싶어서 전 심리치료사와 상담 스케줄을 잡아 놓았어요. 하지만 라캉에 따르면 저는 사실 무의식적으로는 이 심리적인 문제를 고치고 싶지 않다고 느끼고 있다는 거에요. 그 문제로부터 일종의 나르시스트적인 만족을 느끼는 거죠. 자신의 우울증을 찬양했던 랭보처럼 말이에요.

제 식으로 이해해보자면 대충 이런건데.. 사실 잘 공감이 되지 않아요. 이 부분에 관해 좀 더 추가적인 설명을 해줄 분이 계신가요? 아니면 이러한 사례가 잘 표현된, 혹은 공감에 도움을 주는 문학 작품이라던지 다른 예들을 소개시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도 아니고ㅜ 그냥 기분따라 가끔 책 읽는 정도인 사람이라 이런 이론적인 주장을 만나면 좀 많이 어렵습니다..

다른데보단 피지알에 좋은 글 써주시는 분들도 많고 해서 질문드려봐요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arutada
17/02/21 12:01
수정 아이콘
저도 재미로 읽은 책을 통해 한 번 접했을 뿐이지만, 답변이 없어서 달아봅니다. 멋도 모르고 달아놓으면 PGR의 다른 전문가분들이 오히려 적극적으로 첨삭해주시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해봅니다 ^^;;

물론 읽으신 진술이 모든 '증상'의 모든 '피분석자'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얘기하는 건 아니겠지만, 라캉 철학의 다른 개념들과 엮는 예시로서는 얘기 해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일단 라캉 철학의 특별한 용어 등은 사용하지 않아볼게요~

다른 얘기에서 시작해보자면, 아마 책에서 보셨겠지만, 나란 존재는 사실 현실의 언어, 감각적 정보로 온전히 표현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현실이 없다면 사실 자신이란 존재도 없습니다. 만약 별도 달도 없는 완전한 어둠 속에서 아기인 상태의 자신이 있다면 자신에 대해 인식하는 게 매우 힘들겠죠.

여기서 현실과 진정한 나 자신의 첫번째 괴리, 갈등이 생깁니다. 스킵하자면, 결과적으로 '현실로 설명이 되는 나'와 '현실로 설명이 되지 않는 나'가 구분됩니다. 아주 단순하게 얘기해서 여기서 욕망의 원인인 '결여'가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보통은 상상의 나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현실의 나 또는 현실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무의식이 드러나는 걸 부끄럽다고 인식하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고 하구요.

피분석자가 위기를 느끼는 건 타자(주변 지인 등)의 반응을 통해서일 경우가 많을 겁니다. 타자의 반응을 통해 자신의 '증상'을 알아차리는 동시에, 그 '증상'에 대해서 스스로 자각하고 자아의 구성요소로서 생각하게 되겠지요. 그 순간부터 무의식의 자아는 그 '증상'을 자신만의 진정한 구성요소로서 생각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그 순간 '현실로 설명이 되지 않던 한 부분 또는 결여'가 밝혀진 것으로 이해하고 그 '과정'을 욕망하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이건 무의식의 얘기라 현실의 언어(언어나 기호, 그림을 통한 자신의 상상조차도 사실은 현실의 영역이라고 하네요)로는 표현되지 않습니다. 분석가들은 이걸 미묘한 태도나 억양, 단어선택 등을 통해 유추(라캉의 이론에 따른다면)하겠죠.

'무의식적으로 증상이 예전의 만족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일 뿐'이란 얘기는 정확한 해석은 없겠습니다만, 위의 제가 말한 예시로 보자면 '이제는 나 자신은 증상을 인식하되, 타인이 인식해서 나를 방해하지는 않는 수준으로의 적절한 조치'를 원한다는 식으로 해석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실무를 하는 사람도 아니니 뭐라고는 못하겠지만, 철학이라는 게 사고실험에서 비롯된 이론적인 얘기가 많다보니 이론과 완전히 대응하는 사례를 찾는 게 힘들 것 같긴해요. 철학에서 가끔 보이는 쩌는 비유라는 건 근본적으로 그게 몇 개 없어서 더 주목받는 것 같은 기분도 들고요...
17/02/22 03:11
수정 아이콘
우와! 너무 좋아요ㅜ 정성들여 답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어쩌면 좀 재미없는 질문으로 보일수도 있어서 답변을 크게 기대하지 않았어요. 잘 설명해 주신 덕분에 이해에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

harutada님이 써주신 다섯번째 문단, 특히 이 구절 "...그 순간부터 무의식의 자아는 그 '증상'을 자신만의 진정한 구성요소로서 생각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그 순간 '현실로 설명이 되지 않던 한 부분 또는 결여'가 밝혀진 것으로 이해하고 그 '과정'을 욕망하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부분이 제 궁금증을 풀어준 핵심이었던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라캉 관련된 글엔 좀 수수께끼같은 부분이 많다고 느껴요. 하지만 그만큼 자극적인 아이디어도 많아 매력적인것 같네요. harutada님은 재미로 단 한 번 접하셨다고 말씀하시는데 제가 느끼기엔 달아주신 답변에 뭔가 내공이 느껴지네요 헤헤

이론과 완전히 대응하는 사례를 찾기 힘들다는 점은 저도 공감해요. 라캉같은 경우는 문학 평론하시는 분들이 많이 인용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제가 논리에 약한 편이라 감정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사례나 작품 등으로부터 많이 도움을 얻는 편인데, 라캉은 영화같은 매체에 비해 유난히 문학 쪽에서 사랑받는 것 같다는게 제 느낌입니다 흐흐

다시한번 성의에 감사드립니다~ ^^
harutada
17/02/21 12:04
수정 아이콘
글쓰신 분은 '사회에서 도태될 것 같은 공포'라고 말해주셨는데, 라캉에 관한 이론만은 아니지만 '죽음의 공포'에 대해서는

죽음은 영원한 상실이라는 측면에서 고통이고 공포의 대상이지만,
한편으로는 영원한 상실로 인해 욕망이 충족될 수 없는 현실에 대한 탈출구로서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죽음을 욕망한다.

는 식의 진술도 있더라구요.
17/02/22 00:30
수정 아이콘
인용하신 글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향유(주이상스Jouissance)'입니다. 이 개념은 라캉이 프로이트의 '죽음 충동'개념과 칸트의 '숭고'개념을 참고하여 발전시킨 것인데요 간단히 말하면 '고통(불쾌)속의 쾌'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운맛은 통각으로 우리에게 고통을 주지만 뇌에서는 그 고통을 없애기 위해 엔돌핀을 분비한다고 하지요. 또 마라톤에서 러너가 러너스하이 상태가 되는 것은 극한의 고통을 겪은 이후입니다. 이처럼 고통 속에서 쾌를 얻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입증 가능한데요 이런 쾌는 또한 중독성이 강하여 한 번 맛보면 끊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17/02/22 03:26
수정 아이콘
Reppo님 감사합니다! 저는 향유라는 단어를 어떤 자족적인, 타자에 얽매이지 않은 느낌으로 이해하고 있었어요. '고통(불쾌)속의 쾌'로 설명해 주시니 뭔가 잘 맞아 떨어지네요. 그래서 가장 중요한 단어라고 강조해주신게 아닌가 싶군요. 칸트의 '숭고'개념은 좀 생소한데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해에 도움 주셔서 다시 감사드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370 [질문] 부부 직장이 시청역(2호선)/동천역(신분당)이면 신혼집 위치는...? [17] 아끼자4864 17/02/20 4864
98369 [질문] 라캉 잘 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5] 0012003 17/02/20 2003
98368 [질문] 포켓몬 게임하기 [4] 영혼의공원5674 17/02/20 5674
98367 [질문] 서양에서 동성애자에 대한 인식 [6] Yogg4993 17/02/20 4993
98366 [질문] 랜선 종류에 따른 인터넷 속도 차이가 있나요? [6] 이슬먹고살죠28733 17/02/20 28733
98365 [질문] 단백질 보충제 관련 질문 & 추천 [2] MissNothing3259 17/02/20 3259
98364 [질문] 아버지 정장 구입 관련 질문입니다. [7] Lefteye.MK25374 17/02/20 5374
98362 [질문] 겨울 워터파크 추천해주세요~ [2] 비상하는로그3353 17/02/20 3353
98361 [질문] 컴퓨터가 켜지질 않습니다. [4] 치열하게2960 17/02/20 2960
98360 [질문] 노트북 모니터 줄 가는 현상 질문드립니다. [3] 휘안5100 17/02/20 5100
98359 [질문] 리니지2 레볼루션의 인기비결은 뭘까요. 그리고 리니지m [14] 클래시로얄5870 17/02/20 5870
98358 [질문] 그래서 최고의 장군은 누구일까요. [27] 이호철6130 17/02/20 6130
98357 [질문] ps4 소리 문제 및 스틱 질문. [3] 이선빈6212 17/02/20 6212
98356 [질문] AD ware때문에 문의드립니다. [2] Neo3852 17/02/20 3852
98355 [질문] 싱글라이더 보신분 계신가요? (댓글에 스포가 있을수도...) [4] 유스티스6039 17/02/20 6039
98354 [질문] 이재용 부회장은 이제, 언제까지 학교에 있는 건가요? [5] LG.33.박용택4004 17/02/20 4004
98353 [질문] 그렇다면 한신 VS 조조의 군재를 비교하면 어떨까요? [33] 레스터5957 17/02/20 5957
98352 [질문] 섀버 뉴비 도로시위치 운용법 질문 [11] YORDLE ONE3678 17/02/20 3678
98351 [질문] 방탈출용? 수학 문제 하나 풀어주세요 [6] 삭제됨5384 17/02/20 5384
98350 [질문] 사무실 동료의 냄새 때문에 죽겠습니다. [48] fRtJ8496 17/02/20 8496
98348 [질문] 태아보험 질문드립니다. [4] 박용택3807 17/02/20 3807
98347 [질문] 최신 스마트기기에 대한 정보를 알수 있을까요? 굿리치[alt]2639 17/02/20 2639
98346 [질문] 프로포즈 할 "원테이블 레스토랑" 추천 부탁 드립니다.(질문 추가 수정) [5] 원스7450 17/02/20 74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