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21 15:30:04
Name CLAMP 가능빈가
Subject [질문] 이 문제 바로 맞힌 분?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양력 기준으로 1000년은 총 며칠인가?

답은 아래에 있습니다.
다른 도움 없이 문제만 읽고 맞췄는지 틀렸는지 댓글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유치하지만, 이걸로 오늘 저녁에 나올 비용을 누가 낼지 내기를 해버렸네요.;;;







































36,5242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ya Stark
16/05/21 15:32
수정 아이콘
대충 365250 일 이라고 생각했네요 틀렸습니다. ㅠㅠ

윤년의 기준이 그냥 4년 말고 2개가 더 있었군요 ;

윤년은 4년 마다 오는데 이중 100년으로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세고 400년으로 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세서 8일이 더 빠지네요
또리동자
16/05/21 15:33
수정 아이콘
단순하게 365250으로 계산했네요..
전립선
16/05/21 15:33
수정 아이콘
저도 365250
젤나가
16/05/21 15:34
수정 아이콘
4년에 1번으로 윤년을 생각해서 365250으로 나오네요... 실제로 1년이 365.25일이 좀 안 된다는 걸 알긴 하는데 정확하게 그 수치를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 않을까요...?
오클랜드에이스
16/05/21 15:35
수정 아이콘
4년마다 윤년 오는거 감안해서(365+365+365+366) * 250 = 해서 365250이 나왔는데 틀린건가요?
전립선
16/05/21 15:36
수정 아이콘
① 서력 기원 연수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우선 윤년으로 하고, ② 그 중에서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하며, ③ 다만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다시 윤년으로 정하였다. 이로써 1년의 평균길이를 365.2425일로 정하여 역에 썼으므로 실제의 1년보다 0.0003일이 길다.
[네이버 지식백과] 윤년 [leap year, 閏年] (두산백과)

365*1000
+1*250 <-① 에 의해
-1*10 <-② 에 의해
+1*2 <-③ 에 의해
=365242
가 되는군요.
미카엘
16/05/21 15:40
수정 아이콘
헤헤 맞췄네요
Phlying Dolphin
16/05/21 15:41
수정 아이콘
365240으로 계산... 2000년을 지냈음에도 400년 주기는 몰랐네요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6/05/21 15:43
수정 아이콘
365250일로 틀렸네요.
샤르미에티미
16/05/21 15:43
수정 아이콘
솔직히 틀렸는데 그래서 댓글 안 달고 가려다가 저 같은 분이 많을 것 같고 맞춘 분들은 거의 댓글을 다 달 것 같아서 달고 갑니다.
BlazePsyki
16/05/21 15:44
수정 아이콘
1년이 정확히 365.2422일이라는거에서 역산해서 바로 알았...
16/05/21 15:45
수정 아이콘
저도 365250
16/05/21 15:57
수정 아이콘
4년에 한번이라고 알고 계신분이 많겠죠
저도 365.2422 외우고 있었습니다
Lightsaber
16/05/21 15:57
수정 아이콘
헤헤 맞췄네요 (2)

예전에 위키에서 쓸데없이 역법 관련 항목을 독파했던 적이 있어서 알고 있었습니다. (그레고리력의 365.2425를 외우고 있었네요. 태양년은 365.2422)
CLAMP 가능빈가
16/05/21 15:59
수정 아이콘
댓글 주신 모든분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내기는 제가 이겼습니다 . ㅡ_ㅡv
16/05/21 16:03
수정 아이콘
내기가 뭐였나요?
'이걸 검색등의 도움 없이 365242일 인걸 아는 사람이 있다 없다' 인 느낌인데 맞나요?
CLAMP 가능빈가
16/05/21 16:14
수정 아이콘
OX를 말한 분 기준으로 10개까지의 리플 중에서 정답 맞힌 분이 3명 이상이냐였습니다.
제 생각엔 이거 길에서 물으면 10%도 모를 거로 생각했고
피지알 사용층을 고려하면 그보다 높을 거로 생각해서 기준으로 잡은 게 3명이었습니다.

저도 얼마 전까진 모르는 쪽이었습니다.;;;
16/05/21 16:20
수정 아이콘
맨 마지막에 정답 안보여주고 물어보면 3% 이내만 맞출 것 같네요
근데 10개까지 기준하면 2:8 아닌가요 소곤소곤
CLAMP 가능빈가
16/05/21 16:2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가 이긴 거지요. 흐흐
배고픕니다
16/05/21 16:12
수정 아이콘
365250..ㅠ
솔로11년차
16/05/21 16:17
수정 아이콘
365240일로 계산했습니다... 100년마다는 알고 있었거든요. 근데 어디선가 2일이 더 더해지는군요...
BlazePsyki
16/05/21 16:18
수정 아이콘
400년에서 2일이 더해집니..
솔로11년차
16/05/21 16:38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2000년에 본래 100년에 한번이라 윤년이 아니지만, 몇백년에 한번이라 윤년이라고 들었던 것 같네요.
그땐 많이들 알고있었던 것 같은데, 벌써 15년전이니.
살려야한다
16/05/21 16:19
수정 아이콘
정답은 365,242일일 수도 365,243일일 수도 있지요.
FastVulture
16/05/21 18:02
수정 아이콘
이게 답이죠
bemanner
16/05/21 16:22
수정 아이콘
4년 100년 400년으로 보정하는 걸 과학교양책에서 보긴 봤는데 이거 맞추는 사람 솔직히 10퍼센트도 후하게 쳐준거라 생각합니다. 길거리에서 물어보면 ??????할걸요.

이거 맞추는 사람이랑 윤년이 4년마다 오는지 모르는 사람이랑 비슷하거나 후자가 더 많을지도..
16/05/21 16:28
수정 아이콘
거의 90%이상이 365250이라고 답할거 같고, 실수로 윤달을 계산안하는 사람들이 365000이라고 답해서 나머지 9%정도 될거같은데요 크크
16/05/21 16:28
수정 아이콘
365240인데 400년 주기로 윤년이 다시 생기는건 몰랐네요 크크
16/05/21 16:45
수정 아이콘
심지어 나눗셈 틀려서 365200 돌대가린가ㅜㅜ
야근왕워킹
16/05/21 16:52
수정 아이콘
윤달이고 나발이고
0년부터 시작이니깐
365*1001 해서 365365한 사람도 있습니다
돌대가리는 제가 가져가겠습니다ㅠ
16/05/21 23:12
수정 아이콘
뺀 사람도 있습니다..
하하하...
구밀복검
16/05/21 16:46
수정 아이콘
맞췄습니다.
뽀로뽀로미
16/05/21 17:02
수정 아이콘
1000년을 실제 지나왔던 역사에서 날짜 계산하라는 줄 알았네요. 그래서 그레고리 달력 전에 날짜 오차도 있었다는데 이걸 어찌 알지??
대충 365250 일 근처겠구만이라 생각하고 말았습니다.
Scatterbrain
16/05/21 17:05
수정 아이콘
10년 100년 주기는 알았는데 400년 주기를 몰라 365240으로 답을 냈네요. 새로운거 알아갑니다
16/05/21 17:32
수정 아이콘
윤년이 시작하는일 기준이라면 36,5243일이 되지않나요? 조건이 하나가 빠진듯한..
FastVulture
16/05/21 17:59
수정 아이콘
단순히 그냥 공전주기 *1000을 하는게 아니라
윤년을 이용해서 계산한다면(그리고 문제에 주어진 조건에서는 '양력'이라고 했으니)

400년 주기 때문에 이게 애매한게
이 1000년을 언제부터 언제부터 잡는지에 따라 다르지 않나요?
예를 들어
1101~2100 하면
400의 배수가 3번있는데(1200,1600,2000)
901~1900 하면
400의 배수가 2번(1200, 1600) 밖에 없거든요.
저는 그래서 답을 안냈어요. 답이 하나가 아니거든요.
CLAMP 가능빈가
16/05/21 18:18
수정 아이콘
친구와 저는 정확한 일수보단 100년 400년 예외법칙을 아느냐 모르냐에 초점을 맞춘 건데
사실 내기는 제가 이겨서 별 상관없고;;;;;;

이게 수능이면 복수 정답 인정해줘야 하는 건가요? 흐흐
세종머앟괴꺼솟
16/05/21 18:08
수정 아이콘
내기하신 분 감각이.. 저런건 보통 맞추는 쪽이 특수한 경우일텐데.
정치경제학
16/05/21 18:20
수정 아이콘
365250;;
코우사카 호노카
16/05/21 18:51
수정 아이콘
난 왜 365.242라는걸 아는데도 무슨소린지 이해를 못한거지..
Riffrain
16/05/21 19:33
수정 아이콘
4년단위는 윤년이고 100년 단위는 평년이라는건 알고 있었는데 100년 단위 중에서도 다시 윤년인게 몇 년 단위인지를 헷갈려서 틀렸네요...
1000년으로 기억하고 있었어요
존 맥러플린
16/05/21 19:44
수정 아이콘
전 그냥 365000...
회색사과
16/05/21 20:01
수정 아이콘
4/100/400 알고 있었는데 계산을 잘 못했네요 ㅠㅠ
16/05/21 20:41
수정 아이콘
맞았네요. 프로그래밍으로 일을 계산한거를 많이 짜다보니, 예외상황을 알고 있었습니다. 특히 전의 y2k 밀레니엄 전후로 그러한 프로그래밍 이슈들이 많았죠.
사악군
16/05/21 21:42
수정 아이콘
365250까지만 알았습니다.
위원장
16/05/21 22:07
수정 아이콘
아니 콤마가 만단위에 찍혀있는데 아무런 지적이 없다니...
365,242죠.
CLAMP 가능빈가
16/05/21 22:11
수정 아이콘
콤마 규칙이 바뀌었나요?
원래 우리나라 숫자 콤마는 네 자리씩 끊는 게 맞고 예전부터 그렇게 해왔습니다.
만 억 조 경 바로바로 알 수 있거든요.

세 자리씩 끊는 건 서양식에 맞춰 편의상 그렇게 하는 걸 테고요.
위원장
16/05/21 22:36
수정 아이콘
음 일반적으로는 3자리가 맞습니다. 4자리는 우리나라 1950년대에나 사용하던 방식입니다.
이유는 서양식 숫자세기 때문인 것은 맞습니다.
CLAMP 가능빈가
16/05/21 22:44
수정 아이콘
50년대까진 아닌 것 같고요. 90년대까지만 해도 세 자리 네 자리 논쟁이 어느 정도 있었습니다.
저도 30대밖에 안 됐지만, 저 학생 때 학교에서도 다 네 자리 사용했습니다.

컴퓨터의 보급, 회사 같은 데선 국제 표준에 맞춰야 하니까 세 자리가 표준처럼 자리 잡은 거고요.

뭐 지금이야 세 자리가 대세긴 한데, 네 자리도 맞고 복수 표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문장과 상충되긴 한데, 숫자 콤마가 편의상 하는 거지 규칙으로 정해진 건 아니지 않나요?
nekorean
16/05/22 09:45
수정 아이콘
저도 초등학교 때 네자리로 끊는 방식으로 배웠습니다
그래서 중고등헉교 때 미국가서 세자리로 끊는 걸 보고 놀랐던 기억이....
아케르나르
16/05/21 22:12
수정 아이콘
1년의 길이를 소수 아래 네자리 정도 알고 있으면 맞추는 문제네요. 1년 길이가 365.2422라서... 그거 말고도 현재 사용하는 그레고리우스 역법은 400년간 윤년을 총 97번 둡니다. 그걸로 계산해도 돼요.
마브라브
16/05/21 22:46
수정 아이콘
2000년은 윤년이지만 2100년은 윤년이 아닌거죠? 2월 29일생이면 8년에 한번 생일이...덜덜덜
상어이빨
16/05/22 22:49
수정 아이콘
365000 ...(2)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390 [질문] 강남역 사건의 추모행렬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것 같지 않나요? [6] 나이스데이2782 16/05/21 2782
83389 [질문] 아파트 창문 흡연은 어떻게 막을 방법이 없나요? [8] 몽쇌통통2211 16/05/21 2211
83388 [질문] 외국인에게 한국전통문화 소개사이트 [1] macaulay2145 16/05/21 2145
83387 [질문] [하스스톤] 느조스 VS 쌍둥이제왕 뭘 만들어야 할까요? [16] 라이디스2489 16/05/21 2489
83386 [질문] Macbook Pro의 재시동, 시스템 종료가 불가능한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a). [4] LEADA7243 16/05/21 7243
83385 [질문]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깊게 친해지는 노하우? [19] 칼 오베4578 16/05/21 4578
83384 [질문] 차량관련 질문 [2] Piloted Shredder1546 16/05/21 1546
83383 [질문] 남궁연씨가..드러머로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4] 투야3852 16/05/21 3852
83382 [질문] 오사카,교토 지역에서 맛집하나만 소개해주세요. [10] 라이딩2494 16/05/21 2494
83381 [질문] 서울 경기 지역 괜찮은 한식집과 외국인들이 좋아할 만한 장소. [1] Philologist1814 16/05/21 1814
83380 [질문] 비타500 및 비타민영양제 질문드립니다. [2] 달보드레1694 16/05/21 1694
83379 [질문] [디아3] 복귀 관련 질문입니다. [15] 불타는밀밭2475 16/05/21 2475
83378 [질문] 집단폭행에 대한 법적 처벌 질문입니다. [1] 불타는밀밭1714 16/05/21 1714
83376 [질문] 이 문제 바로 맞힌 분? [53] CLAMP 가능빈가4075 16/05/21 4075
83375 [질문] [한글 표현]한글 표현 관련으로 질문이 있습니다. [1] TheLasid1217 16/05/21 1217
83374 [질문] 예비군질문입니다 [2] 미다스1837 16/05/21 1837
83373 [질문] [영문이력서]혹시 영어 능력자분 계신가요? [1] cs1728 16/05/21 1728
83372 [질문] 어머니 헬스장에서 신을 러닝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버스를잡자1977 16/05/21 1977
83371 [질문] 안드레 워드는 왜 인기가 없나요? [2] 한글날4006 16/05/21 4006
83370 [질문] 커피 판매에 쓰이는 재료를 판매하는 사이트 [4] 소와소나무1854 16/05/21 1854
83369 [질문] 운전중 고라니를 받았습니다. 질문입니다 [4] 해피바스3337 16/05/21 3337
83368 [질문] 왕좌의 게임 시즌6 다시보기할 수 있는 곳 없나요? [1] John Snow3901 16/05/21 3901
83367 [질문] 홋카이도 렌터카 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4] F24S2205 16/05/21 22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