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14 11:15:17
Name 폭풍허세
Subject [질문] [LOL] 어제 msi 밴픽의 의미 설명해주세요
유게에 올라온 해외중계진 예측글도 그렇고 실제 밴픽도 그렇고 상대 원딜 2밴 + 니달리밴이 절묘하게 작용했다고 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그런데 상대 원딜 2밴이 어떻게 유리하게 작용했는지 궁금합니다.
상식적으로 원딜 2밴을 해도 봇라인전은 유리하게 갈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중국팀의 장점인 탑-정글, 미드-정글 호흡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거든요.
제생각에는 밴픽보다 그냥 페이커의 컨디션이 좋아서 미드 라인전 유리하게 가져간 부분이 더 크게 작용한 것 같은데..
밴픽의 의미를 설명해주실 분 계신가요
(그리고 니달리 밴의 의미도 같이 설명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스티스
16/05/14 11:18
수정 아이콘
니달리 밴은 1경기에서 니달리가 혹은 mlxg의 니달리가 그브 혹은 블랭크의 그브를 탑미드사이 정글에서 압도합니다. 니달리답게요. 항상 한발 빠르죠. 그래서 탑을 더 잘 케어하고 압박했고 상성대로 트런들이 뽀삐를 압살해버립니다. 니달리 밴을 통해 1경기에서 실패한 라인스왑을 2경기에서 시도했을 때 정글링 속도나 혹여나 다시 생길 정상라인에서의 속도차이를 배제하고자 니달리밴을 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bemanner
16/05/14 11:21
수정 아이콘
1. 중국은 상대적으로 교전에 강하고 체계적인 운영에 약합니다. 교전에 강한 트위치 풀어주면 변수가 있는 반면 시비르를 잘 다루지 못하죠.
그래서 트위치를 밴하고 루시안도 밴해버리면 나머지는 시비르보다 훨씬 아래 티어의 원딜밖에 못 고르니 봇이 약하고.

2. skt는 조별예선에서의 연패 이후 니달리를 포기했습니다. 그런데 니달리는 현재 0티어 정글러고요. 상대만 다룰 수 있는 0티어 챔프는 당연히 밴이죠.
16/05/14 11:24
수정 아이콘
1. 니달리는 워낙 mlxg 선수가 잘 다루는 정글챔이라 사전 차단입니다.
1경기를 풀어봐 줬더니, 이 선수 이것만큼은 주지 말아야겠다 결론이 나온거지요. (정말 날아다니긴 하더군요)

2. 원딜 2밴의 경우 wuxx 선수가 해당 두 챔프(트위치,루시안)을 기가막히게 다루는 것에 비해
다른 챔프의 숙련도가 떨어진다는 판단이 나온 것 같습니다.
즉, SKT 입장에서 [난 그것들 없어도 할 원딜 많은데 넌 뭐 할거임?] 하는 질문을 던진것이고
그에 대한 대답이 어제 봇 라인 경기력인 것이죠.
경기 중 해설진 코멘트에도 나왔지만, 봇 라인 자체가 특정 챔을 제외하면 실력적으로 절대 우위다 라는 자신감이 있었다고 합니다.
wuxx 가 봉쇄되면서 전체적으로 봇라인이 강한 푸쉬를 받게 되었고 (wuxx 는 2,3,4 경기 내내 정말 엄청나게 봇라인전에서 하드 푸쉬 받았습니다.)
그로인해 mlxg 도 자유롭게 동선을 짜기보다, 게임 전체적으로 봇라인 캐어를 우선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즉, 봇 라인 하나를 후벼파서 정글러까지 동선을 강제시키며 미드+정글, 탑+정글의 장점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만든거죠.

간단하게,

정글 최고 고성장 챔이자 속도가 빠르고 숙련도도 좋은 니달리를 제한하고,
상대 봇라인을 후벼파서 아예 RNG 가 갖는 강점 자체를 털어버린 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솔직히 2,3,4 경기 내내 정글러가 할게 없다고 봐도 되었을 정도로 봇라인이 뭘 할 수 있는게 없는 수준으로 밀린지라...
폭풍허세
16/05/14 11:27
수정 아이콘
아.. 생각해보니 봇라인이 푸쉬받으면 정글러 동선이 강제될 수 밖에 없군요.
감사합니다
16/05/14 11:28
수정 아이콘
정말 순수하게, wuxx 선수가 챔프폭에서 뱅선수에게 탈탈 털리며 소환사 협곡 전체가 뒤흔들렸다고 봐도 될 정도로...
위 두 챔프를 빼버리니 wuxx 선수 어제 정말 탈탈 털렸습니다........
서혜린
16/05/14 11:25
수정 아이콘
rng의 봇이 약하다고 판단하고 밴을 함으로써 봇이 그냥 압도한거 같은데요. rng는 탑2밴으로 뽀삐풀고 트런들 라이즈로 맞라인전서면서 라인전 이득을 봤다고 생각하는데 3경기부터 페이커에 신경을 쓰면서 탑도 풀린 경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름없는자
16/05/14 11:27
수정 아이콘
거창하게 많은줄 들여 설명할 거 없이 그냥 욱스가 다소 장인스타일이고 전반적으로는 나머지만 못합니다 그런사람 2밴하면 할거없어지죠 니달리는 그냥 상대팀 잘하는거 밴한 거고요
동물병원4층강당
16/05/14 11:31
수정 아이콘
다른 라인 개입력이 강한 정글러 봉쇄 + 2밴카드로 막을 수 있는 라이너의 존재 => 봇이 완전 허수아비가 된거죠.

전 그래서 세체팀의 모든 선수는 세체가 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강팀이어도 구멍 하나가 존재하면 후벼파여지면서 좋은 성적을 낼 수가 없거든요.
폭풍허세
16/05/14 11:51
수정 아이콘
그 구멍을 짧은 시간에 파악하고 밴픽에 반영한 sk도 대단하네요.
이런게 코치의 역량인가요
동물병원4층강당
16/05/14 12:01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렇지만 많은 분들이 SKT의 강점이라고 꼽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실시간으로 수정 될 수 있는 밴픽입니다. 일단 모든 선수가 챔프폭이 좁지 않고 코치진의 분석도 좋기 때문에 다전제 밴픽에서 강점을 갖는 편이죠. 괜히 다전제의 SKT라는 말이 나온것이 아닌것이죠. SKT가 고전할때는 챔프폭이 발목을 잡는 경우가 많았는데(작년 MSI의 울프, 올해 초반의 벵기) 그정도로 심각하지만 않는다면 밴픽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팀이라고 봅니다. 기억나는 밴픽으로는 작년 MSI 징크스 밴이 있네요.
카바라스
16/05/14 12:25
수정 아이콘
그말은 세체팀이 아닌팀의 일부선수들은 아무리 잘해도 세체선수가 못된다는 얘기랑 똑같죠.. 자타가 공인하는 중체미인 루키는 롤드컵은커녕 lpl도 못들어봤는걸요. 세체가 되려면 skt로 이적해야만 된다는 소린데요(듀크나 블랭크는 그점에서 현명하긴했네요 본인팀 나와서 세체팀에 갔으니)
동물병원4층강당
16/05/14 12:43
수정 아이콘
뭐 그거야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수는 있으니.. 개인적으로는 아무리 루키라고 하더라도 타이틀이 없는 이상 최고라고 평가 받을 수는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헤글러
16/05/14 13:00
수정 아이콘
세체까진 몰라도 one of the best 수준으로 못올라오면 세체팀은 못되죠
아마존장인
16/05/14 14:29
수정 아이콘
그쵸 2012년~2013초 까지 수준이면 몰라도 이젠 그런거 안되죠
마이스타일
16/05/14 11:32
수정 아이콘
보통 루시안 트위치 밴하면 남는게 이즈리얼, 시비르인데 중국 원딜이 시비르는 잘 못다루고
이즈리얼은 크는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국의 장점인 초반 몰아치기에 도움이 안되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칼리스타, 진, 트리스타나를 픽했는데 그 챔프들을 놓고 로밍을 다니기엔 위험부담이 커서
바텀 맞라인전에서 마타가 묶여있을 수 밖에 없고 그만큼 중국의 초반 힘이 많이 빠졌습니다.
아무리 미드-정글 움직임이 좋아도 RNG의 힘은 2:2 상황에서 결정적인 타이밍에 등장하던 마타의 로밍의 힘이 컸죠
게다가 봇 라인전도 밀리다보니 정글 동선도 봇쪽으로 강제될 수 밖에 없었구요

1경기에서 RNG가 루시안 브라움조합을 했을 때의 마타의 움직임이랑
그 외에 칼리스타, 진, 트리스타나를 했을 때의 마타의 움직임에선 차이가 좀 많이 났어요

물론 페이커가 긁힌 날이었다는 점도 꽤나 작용을 했을겁니다
1경기에서 페이커의 움직임이 좋았기 때문에 아지르를 밴에서 빼고 니달리로 돌릴 여유가 생겼다고 봅니다.
만약 1경기에서 페이커가 피즈로 움직임이 안좋았으면 아지르 밴을 계속 유지했을 수도 있다고 봐요
16/05/14 11:34
수정 아이콘
최병훈 감독님 인터뷰 보면 이번 4강전 주요 전술중 하나가 봇라인을 집중 저격하는거였고 예상대로 그게 잘 먹혔다라고 했습니다.
뱅선수도 예선전에서 1승1패씩 나눠가지는 와중에 봇라인만큼은 분명 우위에 있다고 느꼈다고 했고 아마 그걸 토대로 봇을 확실히
파면서 정글러의 영향력을 어쩔수 없이 봇쪽에 집중되게 유도하고 다른 라인은 선수들의 기량으로 최소 반반 또는 우위를 점해서
경기를 승리하려는 계획을 세웠고 결국 제대로 먹혔다고 봅니다.
또한 봇에 무게추가 기울면 마타의 게임내의 영향력도 줄어들수밖에 없는것도 크지 않았을까 싶네요.
Anthony Martial
16/05/14 11:39
수정 아이콘
페이커도 진짜....아니 르블랑상대로 피즈인데
Cs가 안밀려?

저는 솔킬 안따임 다행이고 르블랑 40 먹을때
한 17먹을듯한데;;;;
16/05/14 13:02
수정 아이콘
초반엔 42/21정도로 밀렸던것 같아요. 그런데 어느새 더블킬 먹더니...
16/05/14 13:17
수정 아이콘
그건 아지르랑 할 때라 당연했죠.
16/05/14 15:02
수정 아이콘
아 르블랑이 아니라 아지르였군요.. 햇갈렸네요.
16/05/14 12:22
수정 아이콘
원래 약한 라인 저격밴으로 묶어버리는게 정석입니다. 가장 큰 변수 차단.
16/05/14 13:30
수정 아이콘
1구멍이 4에이스를 이긴다는 걸로 밀어붙인 전략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011 [질문] 자전거바람넣는거 샀는데 주둥이 아다리가 안맞네요 [16] 디자인3018 16/05/14 3018
83010 [질문] 좋은 영어 작법서가 있을까요? [4] 칼 오베3201 16/05/14 3201
83009 [질문] 곡성 내용 알고봐도 되나요? [18] arq.Gstar3442 16/05/14 3442
83008 [질문] [KBO] 넥스트 박병호.강정호는 누가 있을까요? [19] 냉면과열무3362 16/05/14 3362
83007 [질문] 농구에 비해 야구가 우승의 중요성이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17] 톰가죽침대3394 16/05/14 3394
83006 [질문] 프로게이머 상금랭킹 어디서 보나요?? [1] 허무와환상23571 16/05/14 23571
83004 [질문] 차량 뒷좌석에 아이들 동영상 감상용으로 사용할만한 태블릿 있을까요? [7] 알카즈네2032 16/05/14 2032
83003 [질문] 결혼하신분들 기념일 어떤거 챙기시나요? [2] 아스날1989 16/05/14 1989
83002 [질문] 혜화(대학로) 근처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부들부들3223 16/05/14 3223
83001 [질문] [LOL] 어제 msi 밴픽의 의미 설명해주세요 [22] 폭풍허세3604 16/05/14 3604
83000 [질문] 목줄안하는 강아지주인봤을때 대처법 [9] 어느새주말2989 16/05/14 2989
82999 [질문] 노트북 액정깨진거 맞나요? [2] Loosened1815 16/05/14 1815
82998 [질문] 토탈워 워해머 어느정도 기대를 받고 있나요? [2] 성기사1882 16/05/14 1882
82997 [질문] 스텔라리스 어떤가요? [3] 성기사2061 16/05/14 2061
82996 [질문] 패드로 하기 좋은 스팀 게임 추천 부탁 드립니다. [13] deadbody11883 16/05/14 11883
82995 [질문] 삼프터 고백 타이밍이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2] 트와이스 다현7809 16/05/14 7809
82994 [질문] 가열하면 물에 녹아 있는 납이 날라가나요? [3] 후배를바란다2079 16/05/14 2079
82993 [질문] 컴퓨터 4년 쓰면 많이 쓴건가요?.. [16] 카스트로폴리스5107 16/05/14 5107
82992 [질문] 30대 중반 정장구두 추천부탁 드려요 [3] 박진호2308 16/05/14 2308
82991 [질문] [LOL] 이 상황에서 트페 체젠이 왜이렇게 높나요? [15] 아마존장인3726 16/05/14 3726
82990 [질문] 모바일게임 mystic castle 5판 다음진행 workbee2460 16/05/14 2460
82989 [질문] 단순 변심인 경우에도 신차 계약금 환불 받을 수 있나요? + 다른 질문 [5] 고양이발12676 16/05/14 12676
82988 [질문] 이베이 배송비 중복청구문제로 영작질문드립니다. [2] 카랑카3306 16/05/14 33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