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14 11:18
니달리 밴은 1경기에서 니달리가 혹은 mlxg의 니달리가 그브 혹은 블랭크의 그브를 탑미드사이 정글에서 압도합니다. 니달리답게요. 항상 한발 빠르죠. 그래서 탑을 더 잘 케어하고 압박했고 상성대로 트런들이 뽀삐를 압살해버립니다. 니달리 밴을 통해 1경기에서 실패한 라인스왑을 2경기에서 시도했을 때 정글링 속도나 혹여나 다시 생길 정상라인에서의 속도차이를 배제하고자 니달리밴을 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16/05/14 11:21
1. 중국은 상대적으로 교전에 강하고 체계적인 운영에 약합니다. 교전에 강한 트위치 풀어주면 변수가 있는 반면 시비르를 잘 다루지 못하죠.
그래서 트위치를 밴하고 루시안도 밴해버리면 나머지는 시비르보다 훨씬 아래 티어의 원딜밖에 못 고르니 봇이 약하고. 2. skt는 조별예선에서의 연패 이후 니달리를 포기했습니다. 그런데 니달리는 현재 0티어 정글러고요. 상대만 다룰 수 있는 0티어 챔프는 당연히 밴이죠.
16/05/14 11:24
1. 니달리는 워낙 mlxg 선수가 잘 다루는 정글챔이라 사전 차단입니다.
1경기를 풀어봐 줬더니, 이 선수 이것만큼은 주지 말아야겠다 결론이 나온거지요. (정말 날아다니긴 하더군요) 2. 원딜 2밴의 경우 wuxx 선수가 해당 두 챔프(트위치,루시안)을 기가막히게 다루는 것에 비해 다른 챔프의 숙련도가 떨어진다는 판단이 나온 것 같습니다. 즉, SKT 입장에서 [난 그것들 없어도 할 원딜 많은데 넌 뭐 할거임?] 하는 질문을 던진것이고 그에 대한 대답이 어제 봇 라인 경기력인 것이죠. 경기 중 해설진 코멘트에도 나왔지만, 봇 라인 자체가 특정 챔을 제외하면 실력적으로 절대 우위다 라는 자신감이 있었다고 합니다. wuxx 가 봉쇄되면서 전체적으로 봇라인이 강한 푸쉬를 받게 되었고 (wuxx 는 2,3,4 경기 내내 정말 엄청나게 봇라인전에서 하드 푸쉬 받았습니다.) 그로인해 mlxg 도 자유롭게 동선을 짜기보다, 게임 전체적으로 봇라인 캐어를 우선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즉, 봇 라인 하나를 후벼파서 정글러까지 동선을 강제시키며 미드+정글, 탑+정글의 장점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만든거죠. 간단하게, 정글 최고 고성장 챔이자 속도가 빠르고 숙련도도 좋은 니달리를 제한하고, 상대 봇라인을 후벼파서 아예 RNG 가 갖는 강점 자체를 털어버린 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솔직히 2,3,4 경기 내내 정글러가 할게 없다고 봐도 되었을 정도로 봇라인이 뭘 할 수 있는게 없는 수준으로 밀린지라...
16/05/14 11:28
정말 순수하게, wuxx 선수가 챔프폭에서 뱅선수에게 탈탈 털리며 소환사 협곡 전체가 뒤흔들렸다고 봐도 될 정도로...
위 두 챔프를 빼버리니 wuxx 선수 어제 정말 탈탈 털렸습니다........
16/05/14 11:25
rng의 봇이 약하다고 판단하고 밴을 함으로써 봇이 그냥 압도한거 같은데요. rng는 탑2밴으로 뽀삐풀고 트런들 라이즈로 맞라인전서면서 라인전 이득을 봤다고 생각하는데 3경기부터 페이커에 신경을 쓰면서 탑도 풀린 경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16/05/14 11:27
거창하게 많은줄 들여 설명할 거 없이 그냥 욱스가 다소 장인스타일이고 전반적으로는 나머지만 못합니다 그런사람 2밴하면 할거없어지죠 니달리는 그냥 상대팀 잘하는거 밴한 거고요
16/05/14 11:31
다른 라인 개입력이 강한 정글러 봉쇄 + 2밴카드로 막을 수 있는 라이너의 존재 => 봇이 완전 허수아비가 된거죠.
전 그래서 세체팀의 모든 선수는 세체가 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강팀이어도 구멍 하나가 존재하면 후벼파여지면서 좋은 성적을 낼 수가 없거든요.
16/05/14 12:01
네 저도 그렇지만 많은 분들이 SKT의 강점이라고 꼽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실시간으로 수정 될 수 있는 밴픽입니다. 일단 모든 선수가 챔프폭이 좁지 않고 코치진의 분석도 좋기 때문에 다전제 밴픽에서 강점을 갖는 편이죠. 괜히 다전제의 SKT라는 말이 나온것이 아닌것이죠. SKT가 고전할때는 챔프폭이 발목을 잡는 경우가 많았는데(작년 MSI의 울프, 올해 초반의 벵기) 그정도로 심각하지만 않는다면 밴픽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팀이라고 봅니다. 기억나는 밴픽으로는 작년 MSI 징크스 밴이 있네요.
16/05/14 12:25
그말은 세체팀이 아닌팀의 일부선수들은 아무리 잘해도 세체선수가 못된다는 얘기랑 똑같죠.. 자타가 공인하는 중체미인 루키는 롤드컵은커녕 lpl도 못들어봤는걸요. 세체가 되려면 skt로 이적해야만 된다는 소린데요(듀크나 블랭크는 그점에서 현명하긴했네요 본인팀 나와서 세체팀에 갔으니)
16/05/14 12:43
뭐 그거야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수는 있으니.. 개인적으로는 아무리 루키라고 하더라도 타이틀이 없는 이상 최고라고 평가 받을 수는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16/05/14 11:32
보통 루시안 트위치 밴하면 남는게 이즈리얼, 시비르인데 중국 원딜이 시비르는 잘 못다루고
이즈리얼은 크는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국의 장점인 초반 몰아치기에 도움이 안되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칼리스타, 진, 트리스타나를 픽했는데 그 챔프들을 놓고 로밍을 다니기엔 위험부담이 커서 바텀 맞라인전에서 마타가 묶여있을 수 밖에 없고 그만큼 중국의 초반 힘이 많이 빠졌습니다. 아무리 미드-정글 움직임이 좋아도 RNG의 힘은 2:2 상황에서 결정적인 타이밍에 등장하던 마타의 로밍의 힘이 컸죠 게다가 봇 라인전도 밀리다보니 정글 동선도 봇쪽으로 강제될 수 밖에 없었구요 1경기에서 RNG가 루시안 브라움조합을 했을 때의 마타의 움직임이랑 그 외에 칼리스타, 진, 트리스타나를 했을 때의 마타의 움직임에선 차이가 좀 많이 났어요 물론 페이커가 긁힌 날이었다는 점도 꽤나 작용을 했을겁니다 1경기에서 페이커의 움직임이 좋았기 때문에 아지르를 밴에서 빼고 니달리로 돌릴 여유가 생겼다고 봅니다. 만약 1경기에서 페이커가 피즈로 움직임이 안좋았으면 아지르 밴을 계속 유지했을 수도 있다고 봐요
16/05/14 11:34
최병훈 감독님 인터뷰 보면 이번 4강전 주요 전술중 하나가 봇라인을 집중 저격하는거였고 예상대로 그게 잘 먹혔다라고 했습니다.
뱅선수도 예선전에서 1승1패씩 나눠가지는 와중에 봇라인만큼은 분명 우위에 있다고 느꼈다고 했고 아마 그걸 토대로 봇을 확실히 파면서 정글러의 영향력을 어쩔수 없이 봇쪽에 집중되게 유도하고 다른 라인은 선수들의 기량으로 최소 반반 또는 우위를 점해서 경기를 승리하려는 계획을 세웠고 결국 제대로 먹혔다고 봅니다. 또한 봇에 무게추가 기울면 마타의 게임내의 영향력도 줄어들수밖에 없는것도 크지 않았을까 싶네요.
16/05/14 11:39
페이커도 진짜....아니 르블랑상대로 피즈인데
Cs가 안밀려? 저는 솔킬 안따임 다행이고 르블랑 40 먹을때 한 17먹을듯한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