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26 15:05
업계 종사자는 아니지만 비슷한 일을 하는 비전문가 입장에서 몇자 적어봅니다.
0. 일단 건물 종류가 뭔지 모르겠지만 1층에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고 하니 주거목적 건물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1. 바닥 하수배관은 빌라에서 자주 발생하는 민원입니다. 일반적인 신축건물에서도 시공,마감을 제대로 안 했거나 도면이 없는 상태로 벽이나 바닥을 뚫다가 실수로 건드려서 발생합니다. 보수가 어려운 것도 맞고, 여러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도 맞습니다만 그게 우려되서 못 하겠다라는건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겠다는 소리같네요. 생각하신 방법 내지는 그에 준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할 거 같습니다. 2. 철근 부분은 1층 도면을 구해서 비교하면 금방 답이 나올 거 같습니다. 보관중인 도면이 없다면 설계한 설계사 쪽에 문의해서 도면을 서로 비교해보면 같은지 다른지 나올 거 같네요. 3. 신축이 아닌 건물에 화물용 승강기도 설치해본 적 있습니다.(다만 설치 후 구조적인 문제로 시공업체와 약간의 분쟁이 있었습니다.) 신축이 아니라서 문제가 있다는 건 뭔가 앞뒤가 안 맞는거 같은데 구조적인 문제나 하중의 문제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생각하신대로 설계사랑 이야기해보시는게 빠릅니다. 4. 생각하신 방법을 보니 공간도 많고 근처에 차가 충분히 들어올 수 있는 구조같은데 별다른 대답이 없다는 걸로 봐서는 핑계가 아닌가 합니다.(사실 업체 입장에서는 안되는 이유보다는 가능한 방법을 찾는게 일반적입니다.) 마지막으로 ps는 그냥 말도 안되는 소리네요. 구조적인 문제로 안전이 우려되는 일이 아니라면 고객 말을 들어야죠.^^ 대충 정리해보니 이런저런 핑계로 하지 않으려고 얘기하는 것 같네요. 자세한건 나중에 나타날 전문가님(?)의 의견을 참고해주세요.^^
16/04/26 15:21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생각해보니 시공업자께서 그냥 다른 공사를 하는 것이 낫겠다 싶어서 그러신 것 같습니다. 솔직하게 말씀하기 곤란한 것은 이해하지만 마치 기존 건축물이 문제가 있어서 그렇다는 식의 답을 주고 가니 많이 걱정이 되었습니다.
철근 부분은 설계사와 통화해보니 당연히 그때 구조 계산과 지금 구조 계산이 관계 법령상 강화된 부분이 있어 철근 배근 도면은 다를 수 밖에 없다고하네요. 근데 일반적으로 앙카를 박던지 근입을 하던지 하는 방법으로 공사를 한다고 합니다. 상식적인 부분에서나 법적인 부분에서도 문제가 없고 많은 증축 현장에서 이미 그렇게 시공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깜빡하고 엘리베이터는 안물어봤는데 엘리베이터 회사에 한번 물어보던가 해야겠습니다. 2층에 기계 올리는 문제도 어차피 거푸집 올리려면 인력으로 할 것도 아니고 크레인을 불러야 할 것인데 도대체 왜... 여튼, 다시 한번 답변 감사드립니다.
16/04/26 15:42
화물용 승강기 설치 후 발생한 분쟁은 나중에 발생한 건물 내 균열이 승강기 하중때문에 그런거냐 아니냐에 관한 거였습니다.
증축하시게된다면 미리 건물 주위 및 내부 등 사진을 많이 찍어놓으셔서 혹 균열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한 자료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16/04/26 18:12
문제를 두루뭉실하게 말하시는것같네요. 답변을 드릴려고 해도 정확한 사실이 부족한거 같습니다.
지금1층에 사람이 살고 있다- 증측이라면 1층이 근생이되고 2층부터 주택이 된다는 말인지 아님 주택에서 주택으로 증축을 한다는 말인지모르겠네요. 바닥 하수 배관 매설 문제를 말씀하셧는데 공사중에도 사람이 산다는 말은 하수배관이 미리 매설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공사를 한다는 말인지 모르겠네요. 기존 신축시 미리 슬리브나 배관을 고려하지않으셧다면 1층 반자위 슬라브 밑으로 관이 타고와야 할거 같고 (그려면 천장을 뜯고 시공해야하는데 사람 거주하신다면 힘들지 싶네요), 그게아니면 화장실벽체 혹은 바닥에 오수관등을 매입한다는 말씀같으신데 층고 문제도 문제고 평면상 방위에 방인지 방위에 화장실인지 주어진 정보가 확실하지 않네요. 그리고 두번째는 별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거 같고 세번째는 기계실있고 없고문제를 떠나서 일단 하부 점검 피트는 무조건 있어야하고 엘리베이터는 따로 EV회사에 발주, 설치해줍니다.(이게 금액이 꽤들어갑니다) 같은 설계사에게 설계를 했다고 하니 별문제발생하지 않을겁니다. 그리고 공사금액대비 남는 이윤이나, 공사가 좀까다로워서 피하는거 같습니다.
16/04/26 20:37
같은데서 설계하셨다니 도면이 틀릴 일이 없어서 다행이네요.
제가 설계업 하는데 기존 구조계산 설계도면 없이 10년도 넘은 건물에 증축하고 싶다고 상담오면 참 난감하거든요. 기존 도면이 있더라도 맨땅에 3층신축하는것보다 배 이상 손이 많이가고 신경쓸게 많은게 증축 입니다. 설계비가 생각보다 비싸시더라도 조금이나마 이해해 주시길..... p.s- 말도안되는 얘기구요. 타일하나 문짝하나도 건축주 맘에 드는걸로 하는거죠. 공사내역서 받으시고 자재들이 하나하나 내역안에 포함되어 있을텐데 나중에 공사시에 더 비싼자재를 쓸 경우에는 추가비용 내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