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17 22:33:22
Name 예비군1년차
Subject [질문] 야구 특타 관련 질문입니다.
자게 김성근감독 관련 글의 댓글중에서 '한화 특타' 뉴스를 보았습니다.

솔직히 한화 외에 특타를 진행하는 팀은 없고, 댓글의 분위기처럼 현재 한화의 특타는 '체력만 빼는' 마이너스효과만 준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런데 가끔 타격감 떨어진 선수들이 스스로 자원해 훈련시간에 일찍와서 타격훈련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전혀 효과가 없는건 아니고, 감잡는데는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흔히 '악바리'로 불리는 타자들중에서는 경기 끝나고 방망이를 계속 휘두르다가는 선수들도 있구요.
(대표적으로 이승엽선수.... 56홈런칠때도 안풀리면 새벽까지 호텔에서도 휘둘렀다고 알고있습니다)

이런거보면 어느정도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요?
현재 한화의 사례는 '강제성'이 문제이지, 감이 안좋다고 느낀 선수들은 시행해도 되지 않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겨울삼각형
16/04/17 22:35
수정 아이콘
자발적훈련과 반강제적훈련의 차이죠.
해달사랑
16/04/17 22:37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타격훈련을 경기전에 다 하죠. 훈련때야 많이 할수록 좋을테고, 시즌중에는 각자에 맞게 적당히 해야죠.
예비군1년차
16/04/17 22:48
수정 아이콘
경기후 특타도 본인체력만 괜찮다면 큰문제는 아니란거죠?
TheLasid
16/04/18 09:21
수정 아이콘
큰 문제가 아니란 말씀의 의미가 정확히 뭔지 모르겠네요.

본인체력만 괜찮다면 특타를 (강제로) 하는게 몸에 크게 부담을 주는 행위는 아니다? 라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본인체력만 괜찮다면 특타를 (강제로) 하는게 도움이되냐? 라면 아니라는 답이 가능할 것 같고요.

경기가 끝난 후 휴식을 취해야 할 시기에 본인체력만 괜찮다면 특타를 (강제로) 하는게 큰문제가 아닌가? 라면 큰 문제라고 봅니다. 효과없는 행위로 체력을 낭비하고 휴식의 기회를 박탈당할 이유가 없자나요.
예비군1년차
16/04/18 09:27
수정 아이콘
요 글을 질게에 올린 이유는 경기후에 특타를 진행하는것에 효과가 잇는지 물어보려올렷습니다.

현재 김성근식특타는 잘못된건 알구잇지만, 그냥특타자체에 대해 물으려던건데, 한템포 참고올릴걸 그랫네요 ㅜㅜ 다들 타오를때라 ㅜ
TheLasid
16/04/18 09:30
수정 아이콘
아뇨 저도 그다지 김성근식 특타를 콕 찝어서 비판하려던건 아니에요.

일반적인 관점에서 볼때 경기 후에 (강제적으로) 특타를 진행하는게 효과는 없을 것 같단 얘기였습니다.

(자발적으로) 특타를 하는건 어떤 효과일지 모르겠고요.

팀차원에서 하는 훈련은 대체로 강제성이 있을테니까...강제로 큰 효과가 없는 훈련을 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정도의 의미이지 선수 개인이 의욕적으로 특타를 하면 어떤 결론이 나올진 잘 모르겠어요.

근데 제 생각엔 결과가 썩 좋을 것 같진 않습니다. 꼭 야구가 아니더라도 의욕적이고 성실한 선수들은 과훈련하는 경우가 많고, 잘되는 경우보다는 부상이나 컨디션 저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
일체유심조
16/04/17 22:56
수정 아이콘
보통 사람들은 프로쯤되면 남이 시키는 반복 훈련은 무의미하고 본인 스스로 훈련을 해야 효과가 있다라고 생각하지만
김성근 감독은 무의미한 반복 훈련이라도 극한으로 몰고가면 거기에서 선수 스스로 깨닭는게 있고 변한다는 생각하더군요.
김성근 감독은 인간의 육체는 한계가 없고 정신이 육체를 지배한다가 기본 생각이라 훈련에 대한 생각도 일반적인 시선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원시제
16/04/17 23:03
수정 아이콘
이부분은 결과론적인 이야기가 될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특타 해서 감 올라와서 안타치고 홈런치면 효과적인 특타가 되는거고
특타 했는데도 별 효과가 없으면 체력낭비가 되는거구요.
아재요
16/04/17 23:08
수정 아이콘
한화 특타는 체력적인 문제도 있겠지만 "징계성" 특타라서 역효과만 날 것 같습니다.
징계성 특타는 베테랑들에게는 자존심 문제, 신인들에게는 타석에서의 두려움만 늘리죠.
지나가다...
16/04/17 23:11
수정 아이콘
자발적으로 하는 경우는 본인의 타격폼에서 위화감을 느껴서 바로잡고자 할 때겠지요. 아니면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든가...
그러나 타의로 하는 특타에 목적의식이 있을 리가 없고, 그런 특타는 단순히 체력 갉아먹기가 될 위험이 높을 겁니다.
16/04/18 00:15
수정 아이콘
체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하는 훈련은 효율이 떨어지죠 아무래도...
본인이 필요성이나 어떤 실마리를 잡아서 그걸 적용하기 위해서 하는 적극적 특타라면 좀 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벌칙에 가까운 특타는 체력낭비에 시간 때우기에 가까울 확률이 높은지라 효율이 더 떨어지리라 봅니다.
16/04/18 01:27
수정 아이콘
효과 효율은 잘 모르지만 김성근은 예전부터 경기 매너고 동업자의식이고 그냥 최악이네요. 그사람이 시키는 특타다 보니 그냥 안좋게 보입니다.
예비군1년차
16/04/18 01:40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어쨌든 현재의 특타는 강제성때문에 잘못된것이라 비난여론이 강한거군요.
메루메루메
16/04/18 02:23
수정 아이콘
김성근 감독의 특타는 타격감을 올리려는 훈련이 아니라 정신 차리라는 의미의 징계입니다. 두 가지의 문제가 본질적입니다. 첫째는 정신력 강조의 구식 일본문화, 둘째는 징계 그 자체요. 정신력 강조는 축구에서도 그랬듯 쉽게 한국 사회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군대처럼 남성적 분위기가 강한 운동계에서 더 강했죠. 옛 일본 군대 문화의 영향이 한국 군대를 통해 사회에 퍼진 경우인데 요즘은 꽤 벗어나고 있습니다만 김성근 감독은 아시다시피 여전하죠. 또한 징계는 그 자체로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둥근 공의 구기 운동이기에 선수가 잘 하고 싶다고 항상 잘 할 수 있는 건 아닌데 최선을 다했음에도 운이 약간 따라주지 않아 실패한 상황조차도 징계를 부여한다면 다음엔 아예 최선을 다하지 않을 수도 있겠죠. 이건 선수들의 환경을 잘 관리해 최상의 조건에서 뛸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야구에서의 감독의 역할과 맞지 않습니다.
애패는 엄마
16/04/18 09:15
수정 아이콘
슬럼프가 왔을떄 어느정도 휘둘러야죠.
예전에 로이스터감독도 말했고 프랑코 코치도 주장했고 현대 야구 흐름은 오히려 특타 등 쓸데없는 훈련을 줄이는 추세로 가고 있습니다.
그냥 무작정 하는 훈련이 아니라 오히려 짧게 집중적으로 생각하면서 하는 훈련을 강조하죠.
사실 시즌중에 하는 강도높은 훈련은 거의 의미없다는게 요즘 추세죠. 시즌 중에는 타격 매커니즘이 무너졌을때나 점검해보기 위해 하는 거고
평소에는 루틴과 컨디션 점검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1538 [질문] 모니터가 안잡힙니다 ㅠㅠ [5] 우왕1643 16/04/18 1643
81537 [질문] 수식이 있는 pdf를 word나 hwp 같은 파일로 쉽게 변환 가능할까요? [5] rnsr14293 16/04/18 14293
81535 [질문] 피지알게시판 사진업로드 질문입니다 [7] 당신은누구십니까1745 16/04/18 1745
81533 [질문] JTBC에서 하는 힙합의 민족 보시는분 계신가요? [4] 레가르2051 16/04/18 2051
81532 [질문] 개들은 개들 알아보나요? [9] Neoguri3114 16/04/18 3114
81530 [질문] 이 짤방 어디까지 사실인가요? [8] 무식론자2987 16/04/18 2987
81529 [질문] 블루투스 스피커 질문입니다! [7] Hybrid1941 16/04/18 1941
81527 [질문] 요즘 의무소방 상황은 어떻습니까?? [7] 예루리9531 16/04/17 9531
81526 [질문] 야구 특타 관련 질문입니다. [15] 예비군1년차3078 16/04/17 3078
81525 [질문] 데이터 분석관련 업무하시는 분 계신가요?(파이썬, 하둡등) [11] 라니안4555 16/04/17 4555
81524 [질문] [한자] 펼 서는 이름으로 쓸 때 보통 어떤글자를 쓰나요? [5] 유니꽃6233 16/04/17 6233
81523 [질문] 위쳐 3 그래픽카드 질문입니다. [11] 테네브리움4983 16/04/17 4983
81522 [질문] 미시경제학 문제 질문드립니다. [1] 오하영1505 16/04/17 1505
81521 [질문] 이 꽃의 이름이 어떻게 되나요? [4] 샨티1887 16/04/17 1887
81520 [질문] 무역회사로 이직을 하려고 합니다 껀후이1854 16/04/17 1854
81519 [질문] (야구용어)Foul의 어원은? [3] Neo2482 16/04/17 2482
81518 [질문] 엑셀 질문드립니다. [5] DogSound-_-*1710 16/04/17 1710
81515 [질문] [크킹2] 분할 상속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16] 예수5362 16/04/17 5362
81514 [질문] 페이스북에 돌아다니는 바X손스킨.. [2] 삭제됨2384 16/04/17 2384
81513 [질문] micro SD 카드 속 파일 인식 문제 [2] cotmool2596 16/04/17 2596
81512 [질문] [스타2] 새캠페인 진행하면 업적 채워넣기 못하나요? [2] 삭제됨1863 16/04/17 1863
81511 [질문] 노래를 찾고 있습니다. ruin1050 16/04/17 1050
81510 [질문] 해외에서 한국으로 택배 받아보신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0] 춘천맨1827 16/04/17 18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