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17 18:10:09
Name 예수
Subject [질문] [크킹2] 분할 상속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도로시님의 연재글을 보고 크킹2에 새로 입문하게 된 초보입니다.

일단 튜토리얼 시나리오의 알폰소 4세로 플레이하고 있는데요...

시작하자마자 암살 몇 번으로 양 옆의 형제들이 다스리던 왕국을 먹은 것 까진 좋았는데,(그 와중에 친족살해자 트레잇이 달려버렸네요;),

현재 왕국의 상속법을 확인해보니 '남성 우선 분할 상속제'더라구요.

그래서 어차피 손에 피를 묻힌김에(?), 아들한테 왕국을 온전히 물려주려는 킬방원의 마음가짐으로 왕위요구 파벌을 만든 누님을 죽이고,

조카 둘까지 싸그리 하느님 곁으로 보내버렸습니다. 그래서 누이의 영지가 제 직할령으로 굴러떨어진 것까진 좋았는데...

상속 순위를 다시 확인해보니

1. 저의 외아들

2. 저의 다른 누이

3. 옆나라 narrava왕(제 친척이더군요)

이렇게 뜨네요? 조카 둘만 없어지면 제 아들이 온전하게 왕국을 상속 받는 줄 알았는데...

아무튼 본 질문에 들어가자면

1. 남성 우선 상속제인데 저의 누이가 제 남자 친척에 앞서서 2순위가 되는 이유가 뭔가요?

2. 만약 이대로 제가 죽게되면 인게임에 나와있는 설명대로 높은 작위 순서로 1,2,3 세명이 왕국을 분할하게 되는 건가요?
2,3번을 죽여도 또 다른 친척이 상속 순위에 뜰 것 같은데... 그냥 분할 상속제를 다른 상속제로 바꾸는 방법밖에 없는 건가요?

3. 현재 제가 외도하다 걸려서 아내가 결혼 2년만에 관계도가 마이너스 100을 찍어서 아들이 한 명 밖에 없는 상태입니다.(아내는 헝가리 공주이고, 외도의 상대방은 천한신분인데, 아내가 이 여자를 바로 죽이려고 들더군요;)
우연인지 게임내 시스템이 그런지 모르겠지만, 이후에 다른 자식이 생기지 않았습니다.(이게 현실적인 것 같긴 합니다;)
만약 이 상태로 제가 죽고, 이어서 플레이하게 되는 아들이 죽게 되면 게임오버가 되는 건가요? 왕자 한 명 말고는 사생아가 한 명있는 상태입니다.(제가 저희 가문원으로는 인정한 상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루빨리
16/04/17 18:15
수정 아이콘
상속순위는 그 '작위'에 대한 상속 순위입니다. 왕국 말고 다른 직할령 상속순위가 다 따로따로 있습니다.
16/04/17 18:27
수정 아이콘
왕국3개와 제가 직접 다스리고 있는 모든 백작령의 상속 순위가 똑같은 상태인데, 이럴땐 어떻게 되는 건가요?
하루빨리
16/04/17 18:27
수정 아이콘
다 제1상속권자에게 가게 됩니다.
16/04/17 18:3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들이 여러명일 경우에 한해서만 가지고 있던 작위가 분할되는 거라고 이해해도 되는 걸까요?
하루빨리
16/04/17 18:34
수정 아이콘
아래 Lightsaber님이 자세하게 설명해주셨네요. 그렇습니다. 만약 상속제에 의해 사후 직할령이 쪼개질거라면 각 직할령마다 상속 1순위가 달리 표시되고, 위에 상속에 관한 알림이 뜹니다.
하루빨리
16/04/17 18:27
수정 아이콘
1. 남성 우선 상속제는 여성이 상속에서 배제되는 상속제가 아닙니다. 만약 자신의 직계후손이 없다면 자신의 형제자매가 상속권이 있고, 형제자매중 남성은 다 죽었으니 하나 남은 누이가 상속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친척이야 남성이든 나이가 많든간에 분할상속제 안에선 형제자매보다 상속권에서 먼 존재들이죠.
위에서 적었지만 이건 '왕국 작위'에 대한 상속 순위입니다. 다른 직할령에 상속관계를 보고 싶으시다면 인물창 소유작위에 있는 직할령 작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갖다 대보세요.

2. 현재 외아들과 사생아밖에 없다면 직할령의 모든 작위는 외아들에게 돌아갈겁니다.

3. 크킹은 인물 중심이 아니라 가문 중심인 게임입니다. 가문 내 아무나 상속을 받을 수 있다면 게임오버가 되지 않습니다. 외아들이 상속을 제대로 받았으나 결혼하기도 전에 죽어버려 자식이 없을 경우, 제 1상속권은 형제자매인 사생아에게 있으니 사생아가 상속을 받고 게임오버가 되지 않습니다.
(추가 : 가족원으로 인정했다고 해서 정통 서자인줄 알았습니다만, 사생아도 가족원으로 인정이 되는군요. 잠깐 착각했습니다. 사생아는 상속권이 없습니다.)
16/04/17 18:41
수정 아이콘
오 인물창에 포인터 같다대면 직할령 상속관계를 바로 볼 수 있군요... 꿀팁 감사드립니다.
사생아는 암살동지들 모으는 과정에서 돈 좀 아껴보려고 유혹 선택지 쓰는 과정에서 생겨버렸는데, 뭔가 몹쓸짓을 한 기분입니다..(친족도 죽인 마당에 할 말은 아니긴 하지만)사생아는 어지간하면 안 만드는게 좋겠죠?
Lightsaber
16/04/17 18:29
수정 아이콘
1. 남성우선 상속제라는 게 모든 여자들보다 남자가 우선된다는 게 아니라, 같은 서열 안에서 남자를 우선한다는 뜻입니다. 친척 남자보다는 형제자매가 순위가 우선되고, 형제자매보다는 자식이 우선됩니다. 외아들이 아니라 딸도 있었다고 한다면 아들->딸->다른 누이->친척 남자의 순으로 계승서열이 나왔을 겁니다.

2. 각 왕국마다 상속법이 다를 수 있고, 따라서 각 왕국마다 계승 서열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작위마다의 후계자 순서가 다 따로 정해져 있을 수 있으니 하나씩 살펴봐야 합니다. 왕 작위 뿐만 아니라 공작위나 백작위 등도 마찬가지입니다만... 같은 서열의 상속자가 여럿일 때 분할이 된다는 것이고 같은 서열의 상속자가 한 명 뿐이라면 그냥 그 사람에게 다 넘어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들이 하나 뿐이라면 분할 상속제라도 모두 외아들에게 넘어가고... 장자 상속제를 시행할 정도로 법률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할을 원치 않는 경우) 아들이 태어나지 않기를 바라거나 괜히 왕 작위를 여러 개 가지려고 하지 않을 수 있죠.

3. 최신 패치에서 뭔가 바뀌었을지도 모르겠는데, 예전 시스템에선 아내와의 관계도가 막장을 치달리더라도 자식을 생산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후계자는 검정색 혈통 표시가 뜨는 사생아는 후계자로 인정 안됩니다. 정통 서자 트레잇이 달려 혈족이라는 갈색 혈통 표시가 떠야 그 사생아 역시 왕자와 같은 서열의 후계자로 인정이 됩니다.
16/04/17 18:3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서열이 먼저고, 같은 서열안에서 남성우선으로 상속되는 거였군요.(남성 상속제랑 다른 건 알고 있었는데, 남자 친척들이 딸이나 누이보다 우선도가 높은 걸로 잘못 생각했었네요)

사생아는 확인해보니 검정색 혈통 표시가 뜨는 상태입니다.(사생아가 태어났을때 선택지를 자식인걸 완전 부정하지는 않지만, 적법하게 인정하지도 않는 중간 선택지를 골랐습니다.)이러면 그냥 이 아들이 죽을때 가문점수에만 가산되는 모양이군요.
카멜리아 시넨시스
16/04/17 18:44
수정 아이콘
네 사생아는 상속권이 없습니다. 사생아 인물창 우클릭하면 '적법한 세자로 확인' 버튼이 있을텐데, 그거 누르면 정통서자로 후계자 인정됩니다.
TheLasid
16/04/17 19:39
수정 아이콘
1. 다른 분들이 잘 설명해 주셨네요.
2. 상속법은 왕국별로 적용됩니다. 이베리아 반도 플레이를 할 때 문제가 되는 부분인데요. 여러 왕국들이 다 같은 가문의 통치를 받고, 상속법이 죄다 분할상속제라 암살이 횡횡하고 쌈박질도 많다보니 왕국끼리 이합집산을 반복합니다. 가지고 계신 왕위별로, 상속 순위를 죄다 확인하셔야하고요. 왕국의 상속법을 장자상속제로 바꾸면 좋지만, 가급적 최대한 빨리 제국을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일단 한번 제국이 되면 그 안에서 왕위 상속이 좀 꼬이더라도 괜찮아요. 독립해서 떨어져 나가진 않습니다. 아니면 아싸리 왕위를 한개빼고 다 부셔버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장자 상속으로 바꾸는 것 보단 다른걸로 바꾸는게 쉬우니 일단 분할 상속만 아니게(가령 선거상속제로) 바꾼 담에 왕위를 뽀개버리세요. 관계도 패널티는 있지만 최소한 나라가 사분오열되는 건 막을 수 있습니다.
3. 부부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자식이 생길 확률에 보정을 받습니다. 와이프의 본인을 향한 관계도와 본인의 와이프를 향한 관계도가 둘 다 보정되요. 사생아는 3가지 형태가 있는데요. 1) 적법성을 인정 받은 경우, 상속이 가능합니다 2) 자기 자식으로 인정한 경우, 가문원으로 인정되지만 상속권이 없습니다 3) 자기 자식으로 인정하지 않은 경우, 상속권은 물론 가문원으로도 인정받지 못합니다. 아마도 2)번을 고르신 것 같은데 상속이 불가능할 겁니다. 따라서 본인과 자식이 죽으면 게임 오버고요. 그게 무섭다고 얘를 적통으로 인정하면 본인 사망시 작위가 쪼개지겠죠?
도로시-Mk2
16/04/17 20:00
수정 아이콘
[흐뭇]
무무무무무무
16/04/17 23:08
수정 아이콘
꼽사리로 물어보는건데.... 원래 크킹2 패치에선 사람 이름이나 지명 모두 한글로 나왔던 걸로 기억하는데
어느 순간부터 둘 다 영어로 바뀌고 한글 폰트가 너무 촌스러워져서 적응이 안됩니다.... -_-

예전처럼 한글로 나오는 거 플레이하려면 어떤 DLC에 어떤 한글패치를 받아야 하나요? ;;;;
도로시-Mk2
16/04/17 23:11
수정 아이콘
저도 궁금해서 카페 가봤는데, 직결식 한글 패치라고 해서

예전처럼 한글로 지명이랑 이름 나오는건 불가능하답니다. 어쩔수가 없다네요.

그래도 원한다면, 버전을 옛날 버전으로 낮춘 놈 + 옛날 한글패치를 받아야될겁니다.

근데 어디서 그것들을 다시 받을지는 모르겠네요. 굳이 원한다면 토렌트 사이트를 잘 찾아보셔야 할듯.
무무무무무무
16/04/17 23:20
수정 아이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니 왜 그런짓을.... -_-
Lightsaber
16/04/17 23:43
수정 아이콘
2.3 버전인가 2.4 버전에서부터 기존 방식의 한글패치가 적용되지 않게끔 바뀌었습니다. 역설사가 그렇게 바꾸었으니 어찌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구 버전 한글패치도 아마 유로파 카페 자료실 뒤져보면 나오지 싶기는 합니다.

그나마도 아예 한글 출력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가 유로파 카페에서 직결식 패치라는 방법을 통해 겨우 지금 수준의 한글 출력이나마 이루어 낸 게 대단할 따름이죠. 폰트가 구려지고, 지도상에 나타낼 수 있는 글자는 영어여야 해서 인명, 지명은 영어로만 나타내야 되는 등의 문제가 따르긴 했지만, 누군가가 역설사의 수정을 뚫고 다시금 옛날 방식대로의 한글 출력을 가능케 만들어 주지 않는 한 방법이 없습니다.

(옛날 한글 패치는 DirectX에 간섭해서 한글 텍스트를 출력하는 식이라 한글 표시가 자유로웠는데, 이게 역설사에 의해 막혔습니다. 그래서 영어 폰트 1글자 1글자 칸마다 한글 글자를 깎아넣어서... 한글을 우겨넣은 게 지금 한글 패치입니다. 좁은 칸에 한글을 그려넣어서 우겨넣고 그러다보니 글씨체도 촌스러워졌는데 방법이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1538 [질문] 모니터가 안잡힙니다 ㅠㅠ [5] 우왕1643 16/04/18 1643
81537 [질문] 수식이 있는 pdf를 word나 hwp 같은 파일로 쉽게 변환 가능할까요? [5] rnsr14293 16/04/18 14293
81535 [질문] 피지알게시판 사진업로드 질문입니다 [7] 당신은누구십니까1745 16/04/18 1745
81533 [질문] JTBC에서 하는 힙합의 민족 보시는분 계신가요? [4] 레가르2051 16/04/18 2051
81532 [질문] 개들은 개들 알아보나요? [9] Neoguri3114 16/04/18 3114
81530 [질문] 이 짤방 어디까지 사실인가요? [8] 무식론자2987 16/04/18 2987
81529 [질문] 블루투스 스피커 질문입니다! [7] Hybrid1941 16/04/18 1941
81527 [질문] 요즘 의무소방 상황은 어떻습니까?? [7] 예루리9531 16/04/17 9531
81526 [질문] 야구 특타 관련 질문입니다. [15] 예비군1년차3078 16/04/17 3078
81525 [질문] 데이터 분석관련 업무하시는 분 계신가요?(파이썬, 하둡등) [11] 라니안4555 16/04/17 4555
81524 [질문] [한자] 펼 서는 이름으로 쓸 때 보통 어떤글자를 쓰나요? [5] 유니꽃6233 16/04/17 6233
81523 [질문] 위쳐 3 그래픽카드 질문입니다. [11] 테네브리움4983 16/04/17 4983
81522 [질문] 미시경제학 문제 질문드립니다. [1] 오하영1506 16/04/17 1506
81521 [질문] 이 꽃의 이름이 어떻게 되나요? [4] 샨티1887 16/04/17 1887
81520 [질문] 무역회사로 이직을 하려고 합니다 껀후이1854 16/04/17 1854
81519 [질문] (야구용어)Foul의 어원은? [3] Neo2482 16/04/17 2482
81518 [질문] 엑셀 질문드립니다. [5] DogSound-_-*1710 16/04/17 1710
81515 [질문] [크킹2] 분할 상속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16] 예수5363 16/04/17 5363
81514 [질문] 페이스북에 돌아다니는 바X손스킨.. [2] 삭제됨2384 16/04/17 2384
81513 [질문] micro SD 카드 속 파일 인식 문제 [2] cotmool2596 16/04/17 2596
81512 [질문] [스타2] 새캠페인 진행하면 업적 채워넣기 못하나요? [2] 삭제됨1863 16/04/17 1863
81511 [질문] 노래를 찾고 있습니다. ruin1050 16/04/17 1050
81510 [질문] 해외에서 한국으로 택배 받아보신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0] 춘천맨1827 16/04/17 18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