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17 22:44
빅데이터 전문은 아니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뤘고 이를 이용해 석사과정중에 있는 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제 생각에 공대에는 데이터 마이닝한 자료를 다루는 곳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데이터 마이닝(혹은 포괄적으로 보면 더 빠르고 잘 돌아가는 알고리즘을 만드는)을 잘 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는 곳은 있을 수 있지만요. 1. 즉,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지식은 데이터 마이닝한 자료를 '활용하는' 분야의 학교의 교수님들께 컨택하여 이것저것 여쭤보고 직접 가서 배워보고, 인터넷에 검색도 해보고 2. 데이터 분석을 하는 방법은 이번 여름방학동안 파이썬과 관련된 공부를 하신 후에 데이터 마이닝과 관련된 오픈소스를 다루는 방법에 관해 익히세요 3. 진학에 관심이 생긴다면 타 학교 교수님들께도 컨택하여 이것저것 물어보고 의견 조율하고 하면 됩니다. 대학원을 다닐 때 중요한 것은 돈이 걱정이 되지 않아야 하고, 교수님이 얼마나 열정적이신지 혹은 교수님과 성향이 맞는지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16/04/17 23:01
아......... 크크크크크
그렇더라도 위의 답변에서 크게 변하는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파이썬으로 데이터 마이닝을 하는 방법은 대학원 입학 전에 독학으로 터득하셔야 진학해서도 헤매지 않고 2년을 잘 마무리할 것 같아요. 그런데 2년이란 기회비용을 투자하여 공부한다고 그게 커리어에 도움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년 떠나있는게 꽤나 타격이 크더라구요. 물론, 2년간 신문물을 접하고 더 잘 될 수도 있지만... 저라면 고생 좀 하더라도 독학을 할 것 같습니다. 혹은 박사까지 달리던가요 흐흐
16/04/18 02:41
온라인강좌 사이트 coursera나 edx에 데이터 분석 관련 코스가 많습니다. 일단 거기서 강좌를 들으면서 감을 잡아 보는 것도 괜찮을 듯합니다. 영어강좌지만 대개 영어자막이 제공되고 영상 속도조절도 가능하니 어지간하면 따라갈 수 있을 거에요. 문제는 스스로 동기부여가 되는가죠.
16/04/18 13:09
예 감사합니다/
coursera 같은 경우 시도는 해보았는데... 직장생활과 병행하기 넘 빡시더라구요 지금 있는 곳의 업무환경이 썩 좋지가 않아서. EDX도 비슷한 건가 보군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16/04/18 11:08
재무 대학원생인데, 분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SAS/Stata를 많이 씁니다. 파이썬은 요즘 더 쓰는 추세긴 하지만 상기한 두 패키지가 메이저에요. 어렵진 않아요.
16/04/18 13:10
아.. 메이저는 따로 있었군요!
상기 말씀하신 두개는 저것을 위한 대학원을 다니시는게 아니라, 대학원 과정에 저런 것들이 필요하셔서 쓰시는 거지요? 답변 감사합니다!
16/04/18 22:34
네 대학원 과정에서 필요해서 쓰는거에요.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학위라면 경영대 안 보다는 컴퓨터 공학이나 통계와 적합할 것 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