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22 21:16:02
Name 레인이
Subject [질문] 진상 우리나라만 그런가요?
최근 진상시리즈를 보며

다른나라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갑질이라던지 이런게 다른나라도 있나요?

그리고 유독 우리나라만 심한건지요?

최근 시리즈로 올라오는것을 보며 놀랍기도

하지만 씁쓸한 마음이 드는것 같네요..

아직 시민의식은 경제발전 만큼 발전하지 않은것인지

안타까울뿐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아니시모
16/03/22 21:17
수정 아이콘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아서 진상이라함은 어느 나라를 가든 다 비슷비슷한 부류로 있지 않을까요
16/03/22 21:19
수정 아이콘
어딜가나 다 똑같지 않을까요. 가끔 뉴스기사로 외국인 진상얘기들 들으면 뭐 거기서 거기같다는 느낌도 들구요 크크
16/03/22 21:21
수정 아이콘
저도 보면서 황당하기도 하고 몇마디 덧붙이기도 하고 합니다만

사실 손님중 95%? 99%? 정도는 정상이죠 ..
어쩌다 오는 진상이 워낙 임팩트가 있을뿐이지.

그리고 해외라고 또라이가 없겠습니까.
영원한우방
16/03/22 21:22
수정 아이콘
케바케지만, 이스라엘 관광객들이 무시무시하다는 말은 들어봤습니다. 피지알 댓글에서도 봤던 거 같은데...
달과별
16/03/22 23:1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보기에 단체로 다니는 개인관광 팀이 이스라엘인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이스라엘 개개인은 괜찮은데 단체는 엽기적인 행동들을 자주 하는걸 목격하곤 합니다. 근데 이게 단체심리로 그러는건지, 의식이 그런지는 결론 내리기 어렵다고 봅니다.
16/03/22 21:22
수정 아이콘
블랙컨슈머가 괜히 있는 단어가 아닙지요...
지나가다...
16/03/22 21:22
수정 아이콘
진상은 어디에든 있습니다. 사람 사는 곳은 대체로 비슷비슷합니다.
어둠의노사모
16/03/22 21:24
수정 아이콘
어디가나 사람사는거야 비슷하겠습니다만 우리나라가 심한 편 쪽에 속하는 건 맞는 것 같습니다. 해외직구에서도 한국인 블랙컨슈머 문제가 나오고 있는 터라. 아무래도 상하 수직적 관계에 익숙함+사회 전체적으로 서비스마인드를 강조 두가지가 결합돼서 나오는 사회문화적 현상 아닐까요.
맥아담스
16/03/22 21:31
수정 아이콘
외국도 인종차별 이런게 있어서 비슷비슷합니다.
마스터충달
16/03/22 21:33
수정 아이콘
해외라고 진상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시민의식이 더 널리 퍼진 국가나 지역일수록 진상이 적긴 할 겁니다. 우리보다 시민의식이 부재한 중국의 경우 놀랄만한 일들이 심심찮게 동영상으로 인터넷에 퍼지고 있으니까요. 우리나라라서 진상이 많다기 보다는 우리의 시민의식이 진상이 흔해 보일정도로 부족하다고 말하는 게 옳을 겁니다. 우리도 의무교육세대가 인구를 많이 차지하고, 인터넷 등으로 개인의 정보습득력이 높아진다면 진상이 많이 줄어들겠지요.
16/03/22 21:53
수정 아이콘
일본은 오랜 시간은 아니었지만 식당에서 진상 거의 못봤어요
16/03/22 21:55
수정 아이콘
아..고급 식당에서 외국인은 호텔 컨시어지로만 예약 받는 문화를 한국인이 만들었다는 얘기가 있는데 전 동의하지 않아요
16/03/22 22:06
수정 아이콘
우리보다 심한 나라도 있을거고, 우리보다는 훨씬 클린한 나라도 있을거에요. 진상이 없는 곳은 없다고 봐야.
-안군-
16/03/22 22:16
수정 아이콘
대륙의~ 가 괜히 나오는게 아니겠죠?
제가 운나쁘게(?) 중국, 동남아... 등지로만 출장을 다녀서인지, 그런데서 며칠 지내다가 오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질서의식, 시민의식, 청결의식이 정말 뛰어나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소득수준과 시민의식은 아주 일치하지는 않아도, 대략 비례한다는 생각도 듭니다.
달과별
16/03/22 23:13
수정 아이콘
국민들의 상식이 국제적이냐 아니냐의 차이라고 봅니다. 소득이 올라갈 수록 국제적인 교류가 많은 나라일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어느 정도 선까지만 적용된다 봅니다.
16/03/22 22:26
수정 아이콘
북유럽은 덜하긴할듯
판사님
16/03/22 22:45
수정 아이콘
어디나 돌+I는 있는데,,
숫자는 시민의식과 반비례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16/03/22 22:51
수정 아이콘
질문과는 별상관없지만 작년 일본에서 돌아올때가 갑자기 떠오르네요

일본 공항에선 줄도 한줄로 잘 서고 깔끔했는데
인천공항 도착해서 공항철도 타려고 사람들 우루루 뛰어가고 이리저리 밀치는 모습이 크크크
달과별
16/03/22 23:08
수정 아이콘
세계 어디나 똑같습니다. 절정은 패스트푸드점 알바죠. 크크크크. 공부 안하면 쟤처럼 된다는 분들 꼭 나타납니다.

북유럽 시민의식은 높은 범죄율과 요즘 어이없는 인종차별 건들로 이야기가 많이 들어가서 다행인 것 같더군요.
Galvatron
16/03/22 23:25
수정 아이콘
가까운 일본과 중국과 비기면 한국이 심한거같기도 합니다.
일본은 진상자체가 적고, 중국은 서비스제공자측이 그렇게 만만하자않다고할까 진상에 대해서는 강하게 나오기때문에 진상들도 적은 느낌입니다.
작은기린
16/03/22 23:37
수정 아이콘
손님은 왕이다 라는 말이 다른 나라에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주 몇십년동안 이게 많이 깔려있던거 같아요.
동네형
16/03/23 00:2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좀 더 심할꺼다에 한표던집니다. 일단 갑질이나 수직적 구조라던가..
소와소나무
16/03/23 00:4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그리 심한편은 아닌것 같습니다. 100명에 두세명 있을까 말까 하는정도 이니깐요. 다만 진상에 99,99%는 한국사람입니다;; 제가 일하는 곳이 외국인이 한국인보다 훨씬 많이 오는 곳이지만 진상이 나타났다 하면 무조건 한국인입니다...하아
자바초코칩
16/03/23 00:43
수정 아이콘
당연히 다 있죠.. 갑질도 있고.
다 사람 사는 세상인데요 뭐.
세계적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적은편일 것 같고.
어느정도 사는 나라만 모아보면 많은편이겠죠.
Redpapermoon
16/03/23 02:11
수정 아이콘
외국 유머사이트를 보면 말도 안되는 상황도 많이 나오죠.
한국에 진상 손님이 1%라고 하면 미국은 0.5%정도랄까, 조금 더 적을뿐, 그들의 수준은 한국보다 더 했으면 더 했지 덜하진 않습니다.
제작진
16/03/23 02:54
수정 아이콘
진상은 어딜가나 있지만 비율은 확실히 다릅니다.
캐나다만 보더라도 외국인이 많은 지역은 진상 많이 보여요
16/03/23 06:29
수정 아이콘
미국와서 보면 모든 민족그룹중에 중국인들이 보통은 진상 스테레오 타입으로 가장 유명합니다. 애플 다니는 친구가 얘기해주길 애플 식당에서는 사과를 공짜로 주는데, 중국인 직원들이 가방 들고와서 그 안에 한가득 들고가는 통에 사과를 캐쉬어 근처로 옮겨서 한 명당 하나씩만 가져가게 했다고 하더군요. 워낙에 그런 사회에서 자란 사람들이다 보니 상식이라는게 굉장히 다르다는 느낌은 듭니다. 오히려 한국인 - 미국인보다 한국인 - 중국인이 더 다르다고 느낄때가 많아요 이런 면에서는.
16/03/23 07:24
수정 아이콘
진상이야 다 비슷하게 있는데, 받아들이는 게 다르다고 봅니다.
중국인 진상 얘기가 댓글에 많이 나오는데 정작 중국인들은 다들 그러려니 할 수도 있을 거 같아요. 왜? 다 다르니까.
반면에 한국은 같은 시대에 살지만 세대, 지역, 교육, 소득 차에 따라서 가치관이 정말 많이 다르지 않나 싶습니다. 모두에게 진상이거나 모두에게 진상이 아닐때는 괜찮은데, 누군가에겐 진상이고 누군가에겐 진상이 아닐 때 갈등이 더 커지는 게 아닐까요?
16/03/23 09:25
수정 아이콘
진상은 있는데
종업원이 우리나라처럼 굽히고 들어가지 않죠
'손님이 왕이다' 이런개념이 없기때문이죠
OneRepublic
16/03/23 09:46
수정 아이콘
미국도 지역마다 다르긴 한데, 저 있던 곳은 진상손님 거의 없었어요. 한국까지 예의갖출 필욘없지만, 손님을 비지니스 파트너로 보는거 같고 흐흐
뭐 일단 서비스=팁이라 종업원들이 친절하기도 하고(한국의 친절과는 좀 느낌이 달라요. 친구같이 친절함), 애들이 또 워낙 급한게 없다보니
늦으면 늦나보다, 맛이 없으면 없나보다. 대부분이 밥먹으러 온다기보단 수다떨러 온 사람들 같기도 하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168 [질문] ps4 리틀빅히어로 2인용 오류.. [2] Blazing Souls2258 16/03/22 2258
80167 [질문] 구글 캘린더를 pc 바탕화면으로 설정하기 질문합니다. [2] 무당벌레4883 16/03/22 4883
80166 [질문] 이 경우에는 어떤 우승을 한 팀을 보통 더 고평가하나요?? [14] 잘가라장동건1843 16/03/22 1843
80165 [질문] 기계식키보드 사용 후 기본적인 기능키가 동작하지않아요 해피바스1245 16/03/22 1245
80164 [질문] 컴퓨터 견적 괜찮은지 좀 봐주세요., [2] 유지태.1619 16/03/22 1619
80163 [질문] 진상 우리나라만 그런가요? [30] 레인이3714 16/03/22 3714
80162 [질문] ssd에 윈7설치가 안되는데 강제포맷 방법이 있을까요? [6] plane3309 16/03/22 3309
80161 [질문] [직장생활] 부당 퇴사 압박에 관한 질문입니다. [20] 남자의일격4333 16/03/22 4333
80160 [질문] 첫 침대를 사보려고 합니다. [7] 삭제됨1874 16/03/22 1874
80159 [질문] 강아지 버릇 질문인데요 [3] 소다수1628 16/03/22 1628
80158 [질문] 배트맨과 슈퍼맨이 싸움이 되나요? [27] 이호철3594 16/03/22 3594
80157 [질문] 해석학 기초 내용 아시는분 계실까요? [3] ski~1581 16/03/22 1581
80156 [질문] 경찰공무원 체력시험 질문 [6] 삭제됨1878 16/03/22 1878
80155 [질문] [LOL] 일라오이 탑에서 만나면 어떻게 대처하나요? [10] 리오넬 호날두10359 16/03/22 10359
80154 [질문] 엑셀,파워포인트 학습용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purflower892065 16/03/22 2065
80153 [질문] 신축 옥탑방(원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6] 토요일에만나요12030 16/03/22 12030
80152 [질문] [LOL] 쉔 리메이크 후 어떤가요? [13] 리니시아2363 16/03/22 2363
80151 [질문]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7] 다크템플러1586 16/03/22 1586
80150 [질문] [LOL] 다인랭 하실분? + 킨드레드 질문 [7] lenakim1839 16/03/22 1839
80149 [질문] 파워포인트 질문합니다. [1] 윤진서1320 16/03/22 1320
80148 [질문] 인터넷 업체 질문입니다. [6] 피로링1218 16/03/22 1218
80147 [질문] [LOL] 원래 차단기능이 이렇게 허술한가요? [8] 아름답고큽니다2504 16/03/22 2504
80146 [질문] 대학교 선거 홍보에 쓰인 캐릭터 저작권 문제는 없나요? [2] 하윤1721 16/03/22 17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