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3 21:48:13
Name 아이린_배주현
Subject [질문] 경알못 질문입니다. 한국은 왜 부동산 가치가 높을까요?
유게글 한국전쟁 패배 시 계획에 관련된 글을 읽다 든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266320 원글 주소는 이거구요..

북한이라는 실제적 위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부가 부동산에 쏠리는건 왜일까요?

제가 부자라면 부동산이 아니라 채권이나 금 같은 쪽에 투자하는게 맞지 않나 싶기도 한데요.

전쟁나면 부동산은 가격이고 뭐고 박살날 것 같은데 왜 사람들은 부동산에 투자를 하고, 부동산 가격이 이렇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을까요.

물론 저도 과거로 돌아가 로또번호를 알게 된다면(2000원 시절) 빌딩을 사 건물주가 될 것 같긴 합니다만... 흐흐
(아니지.. 애플 주식을 사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t's the kick
16/03/03 21:59
수정 아이콘
오르지 않으면 대 재앙이 올거거든요. 일본 버블경제가 무너진 다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역사가 말해주기 때문에 집값은 정권마다 폭탄 돌리기 대상이죠(내 재임중에만 안 터지면 됨!)
전쟁 가능성이야 뭐.. 그거 따지면 이나라 살 이유가 없죠. 전쟁 가능성은 가능성이고 일단 이 땅에서 살아야 할것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전쟁 터지면 집값은 둘째치고 원화가치부터 개박살날거에요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4
수정 아이콘
휴 저희 집은 부모님 집 한채라서 그냥저냥 버티겠지만 친척 중에 오피스텔이랑 아파트 여러 채 가신 분도 계시다 보니...

연착륙하길 바랄 뿐입니다.
16/03/03 22:03
수정 아이콘
전쟁나면 죽을확률 높은데 애초에 지금 나가야죠 그러면
당장 안나갈꺼면 별수 있습니까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3
수정 아이콘
맞죠 ㅜㅜ 사실 해외 여행 다니다 보면 한국이 참 살기 좋긴 합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16/03/03 22:07
수정 아이콘
좁은 땅, 높은인구밀도, 수도권집중화 정도가 조건적인 이유고 국민정서상 자가주택을 가지고 싶어하는 소유욕이 큰편이긴 합니다.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5
수정 아이콘
저만 해도 집 한채 있음 좋겠다 하고 생각하긴 하네요. 20살 이후부터 수도권에 살다보니 지방이 불편하긴 하더군요 ㅜ
16/03/03 22:07
수정 아이콘
국토의 극히 일부분에 거의 나라 절반의 인구가 몰려 있으니 그 지역의 땅값이나 집값은 비싸질 수밖에 없죠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5
수정 아이콘
VR이 현실화 되면 좀 나아질라나요 ㅜㅜ
Anthony Martial
16/03/03 22:07
수정 아이콘
그런 식이면 애초에 외국자본이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죠

그런 면에서 사실 상 전쟁 위험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물론 안보불감증일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리고 과거 이미 부동산으로 재벌이 되고 부자가 된 케이스들이 많아서
그 망령들이 아직도 한국을 삼키고 있는 것 같아요. 언젠가는 거품이 꺼지겠죠?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6
수정 아이콘
거품의 맛도 못 봤는데 거품이 터지면 책임은 함께 지니 ㅜㅜ 저 개인적으로도 전쟁 위험성은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해외에서 보는 시선도 있고 하니까요. 김정은이가 돌아버리면 같이 죽자고 덤빌까 겁나기도 하구요.
16/03/03 22:14
수정 아이콘
절대적인 원인은 높은 인구밀도이죠. 수도권은 특히나 좁은 면적에 많은 인구가 몰려있으니 더 심하죠.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7
수정 아이콘
서울에 1200만이 산다는 사실이 놀라울 뿐입니다. 20-30대 젊은이 70%가량이 산다는 기사를 본것 같기도 하고...
솔로11년차
16/03/03 22:24
수정 아이콘
사람이 몰려살아서 그렇다는 것도 이유 중 하나고,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구요.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9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인구의 반 이상이 서울 경기에 사는걸 보면...
아이린_배주현
16/03/03 22:33
수정 아이콘
대답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일본 버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보면 한국 부동산도 얼마 안 남은 것 같기도 하고 말이죠... 저희 이모댁도 열심히 부동산에 투자하던데...
전쟁나길 바라진 않으니까요 ㅜㅜ 북한을 그래도 어느정도 통제 가능한 변수로 보는게 맞는거겠죠?

지금도 신림쪽에 살고 있지만 이 돈이면 지역에서 투룸을 구할 수 있으니 말이죠...
16/03/03 23:08
수정 아이콘
잘은 모르지만 어디서 본 기억에 따르면 경제가 살려면 시중에 돈이 원활하게 돌아야 된다고 하더라구요 통화량이 높아야 되는데 국민 소득이 높아져서 지출행위가 많아지거나 돈을 인위적으로 찍어내거나 아니면 부동산경기를 활성화 시키거나등이 있다고 합니다 아시다시피 최근 우리나라 내수시장과 수출시장 상황이 너무 안 좋고 또한 마냥 돈을 찍어내는것도 부작용이 너무 큰 상태에서 국가에서는 억지로라도 경기 부양해 보려고 부동산 시장을 건드린건데 그게 최근의 대출규제 완화를 통해서 효과(?)를 본거죠 솔직히 언제까지 부동산 시장도 떠 받들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솔로11년차
16/03/03 23:14
수정 아이콘
그런 부분은 사실 사소한 것이구요. 거품이 끼어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본적으로는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에 비싸다고 봐야죠.
하지만 부동산불패신화를 믿고 과하게 투자된 감이 있으며, 그게 바로 거품이겠죠.
Eye of Beholder
16/03/04 01:03
수정 아이콘
런던은 너무 심한 예겠지만 요즘 세계 어느 대도시나 주거비 상승이 장난 아니죠. 강남 극 일부를 제외하곤 아직 서울의 주거비를 거품이 많다고 보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상업용도 포함해서요. 주거비 월세 같은건 어찌보면 아직 전세 시스템에서 이행이 덜 된 상태여서 전반적으로 '혜자'라고도 생각됩니다. 뭐 제가 캘리포니아에서 피같은 돈 뜯겨서 더 그렇기도 하지만.. 여긴 20평대 아파트 월세가 400만원 선에 형성된 듯 합니다.
도망가지마
16/03/04 01:18
수정 아이콘
미국도, 영국도, 일본도 비싼 동네는 비싸요.
꼭 우리나라만 특별히 비싼 이유가 있고 부조리한 이 헬조선 거품이 터질꺼야라고 생각하는건 아직은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무무무무무무
16/03/04 04:28
수정 아이콘
애당초 우리나라 부동산 가치가 그렇게 높은건지가 좀 의문입니다.
어느 나라든 수도권이 비싼 건 당연한거고 다른 나라 수도권과 비교하면 소득대비로 봐도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라고 보는데 말이죠.
어쨌든 한국의 부동산은 지방이나 중대형 평수를 중심으로 꾸준히 연착륙 중에 있고 수도권은 오를만하니 오르는 것 뿐이라
지방도시에 몰빵한 회사가 있다면 모를까 흔히 얘기하는 것처럼 버블이 터진다거나 그럴 가능성은 적어보이네요.
부분적으로 수도권 최외곽(평택, 동탄제외 화성, 용인 남부 등)같은 경우 거품이 있는 편이지만 크게 시장에 영향을 주기는 어려울거고요.

그리고 금이라.... 인터넷에 최근 3년치 금 시세 검색해보시면 이건 절대 건드리면 안되겠구나 하는 생각 들겁니다.
부동산이 10%만 빠져도 아우성인데 금은 반값 가까이 빠졌죠. 부동산 시세가 저렇게 움직였다고 생각하면 나라가 망했을 듯....
세종머앟괴꺼솟
16/03/04 09:41
수정 아이콘
한국만 그런가요?
아이린_배주현
16/03/04 09:54
수정 아이콘
수도권 과밀은 전 세계적 현상이지만 한국의 특이성을 고려했을 때 독특한게 아닐까 생각을 했습니다 흐
겨울삼각형
16/03/04 10:28
수정 아이콘
미국집값 들으시면 눈돌아 가실걸요?
아이린_배주현
16/03/04 10:30
수정 아이콘
미국은 서울처럼 타격 받을 가능성이 높은게 아니잖아요... 시무룩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102 [질문] 인터넷 이용없이 IPTV 신청 [2] Marionette.1663 16/03/04 1663
79101 [질문] 저가형 노트북 추천부탁드려요. [2] 랄라스윗1303 16/03/04 1303
79100 [질문] 기다리고 있는 사람 있으면 소변 안나오분 있나요? [10] 레너블7375 16/03/04 7375
79099 [질문] 소규모 돌잔치(20명) 장소 or 팁좀 질문드립니다. [3] 파란무테2122 16/03/04 2122
79098 [질문] 폴란드어+패션 질문 드립니다(개별질문) [4] UniYuki1334 16/03/04 1334
79097 [질문] 헬스 초보에게 조언 부탁 드립니다 [8] 신입사원1953 16/03/04 1953
79095 [질문] 이 유머동영상에 나온 음악이름 알수있을까요? [3] 클라스1080 16/03/04 1080
79094 [질문] 유머 게시판에 올라왔던 IT 전산 만화 찾습니다 [2] 워3팬..3429 16/03/04 3429
79093 [질문] [미연시] 쓸데없는 질문 [2] 프즈히1543 16/03/04 1543
79092 [질문] . [11] 삭제됨2880 16/03/04 2880
79091 [질문] 컴퓨터 견적 6700K/ 980Ti 괜찮나요? [11] 듀로탄전사3455 16/03/04 3455
79090 [질문] 게임 프리서버 구축하려면 어느 정도 돈이 들어갈까요. [2] 소다수3327 16/03/04 3327
79089 [질문] 중고차 구매처 및 시승 관련 건 [12] 낭만원숭이2585 16/03/03 2585
79088 [질문] 조정래 <한강>의 평가가 궁금합니다. [6] 다크템플러2849 16/03/03 2849
79087 [질문] 서울 어학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아름답고큽니다1188 16/03/03 1188
79086 [질문] 노트북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기승전정1121 16/03/03 1121
79085 [질문] 컴알못이 컴퓨터 조언 부탁드립니다. [6] Broccoli1809 16/03/03 1809
79084 [질문] [연애] 남의 연애는 해답이 보이는데 내 연애는 안보이는. [12] 갈매기2814 16/03/03 2814
79083 [질문] 수학 질문입니다. [23] 808BS2137 16/03/03 2137
79082 [질문] 경알못 질문입니다. 한국은 왜 부동산 가치가 높을까요? [24] 아이린_배주현3080 16/03/03 3080
79081 [질문] 만화책 일괄 매물은 어느곳에 가면 잘 찾을수 있을까요? [4] 마르키아르1459 16/03/03 1459
79080 [질문] 지금 엔화 가치가 높은건가요? 낮은건가요? [2] 피비콜필드1949 16/03/03 1949
79079 [질문] 예비군 5년차 질문입니다. [5] 방패연1722 16/03/03 17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