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2/29 14:49:50
Name it's the kick
Subject [질문] AMOLED의 번인이 어느정도인가요?
아주 오래도록 아이폰을 썼던 유저입니다.
그런데 모종의 사정으로 안드로이드 폰을 써야 할 일이 생겨서 살 수밖에 없게 되었는데,
갤럭시 s7이 아주 잘 나왔더라고요(전 애플제품 좋아하긴 하지만 안드로이드에 별 감정은 없고 좋은건 좋은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오래 쓴 아이폰을 바꾸며 s7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다 좋은데 번인 문제가 거슬리네요
꽤 많은 짤막한 삼성 AMOLED 채용 스마트폰 사용 후기(약  50건)를 보면서 내린 결론은
"태생적으로 어쩔 수 없고 누렇게 될 수밖에 없다. 그것도 2년 안에는 확실히! + 상단바는 불량이 아니라고 우기는 추세"
인데 이렇게 내린 결론이 맞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네형
16/02/29 14:59
수정 아이콘
아주 솔직히 말해서 일반인중에 번인이 뭔지도 모르는사람이 절대 다수입니다. 다시말해 체감하는 사람 제주변에서 한명도 못봤습니다.아이폰 tlc mlc 성능차이 말하는 정도?
16/02/29 15:11
수정 아이콘
노트5 쓰고 있지만, 절대 다수가 번인이 뭔지도 모른다고 AMOLED의 문제점이 없는 것도 아니고 TLC MLC 정도는 더더욱 아니라 생각합니다. TLC MLC는 사용상에는 문제가 없습니다만, 번인은 당장 디스플레이가 제 색을 못 낸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삼성에서 무상교체를 해주고 있다지만, 보통 약정을 2년 거는데 1년만 무상교체를 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홍보를 제대로 안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사람들이 특히 어르신들이 모르고 쓰고 있는거죠.
16/02/29 15:16
수정 아이콘
삼성폰만 s2 노트2 노트5 쓰는데 번인은 환상의 동물 여자친구 같은겁니다
없는 사람한테는 평생 없는.....
CoMbI COLa
16/02/29 15:19
수정 아이콘
태생적으로 어쩔 수 없다 - (O)
2년 안에 확실히 누렇게 된다 - (△)
상단바는 불량이 아니라고 (A/S센터에서) 우긴다 - (O)

일단 아몰레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픽셀(화소) 하나 하나가 스스로를 태우면서 빛을 내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번인이 발생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그걸 2년안에 확실히 번인이 일어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2년 안에 번인이 나온다는 말은 갤S2와 갤S3 까지는 거의 확실했습니다만, S5에서부터 대폭 개선이 되어서 대놓고 흰색 바탕을 쓸 정도가 되었거든요.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아이콘이 미세하게 움직여서 번인을 줄이는데 노력을 했고요. (갤7에는 대놓고 항상 알림을 띄운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상단바에 나타난 번인은 거의 무상A/S를 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게임이나 키보드 자판처럼 화면에 계속 띄워져 있는 것도 무상처리가 안된다는 말을 들었고요. 그런걸 악용해서 일부러 화면 띄워서 번인을 만드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렇다고는 하는데 확실치는 않네요. 사실 폰 카페에 가보면 일주일에도 몇개씩 번인 만드는 방법 글 올라오고 그럽니다. 한심하죠...;;;;

개인적인 경험을 말씀드리면, 제가 갤럭시 S5를 2013년 5월에 구매해서 2015년 10월까지 썼습니다만 상단바에 번인은 없었습니다. 물론 제가 하루종일 게임을 돌리거나 폰만 붙잡고 사용한 것은 아니니 2년 안에 절대 번인은 안생긴다고 말은 못하겠지만, 저도 게임 할만큼 했고 평균만큼은 폰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모든 전가기기가 그렇듯이 뽑기운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누구는 3달만에 번인이 생기기도 한다는걸 보면요.
16/02/29 15:37
수정 아이콘
S6 2015년 5월 초에 구매했으니 이제 10개월 됐고, 폰 사용량은 그냥 평범한 정도인 거 같습니다. 지금 상태는, 화면을 집중해서 보면 상단바 번인의 존재를 느낄 수 있는 정도입니다. 실사용시에 거슬림은 없습니다.
16/02/29 15:45
수정 아이콘
노트3, 4 사용했고 노트 5 사용중인데 겪어본 적 없습니다.
it's the kick
16/02/29 16:03
수정 아이콘
써봐야 알것이다
라는게 결론이군요..ㅠㅠ 뭐 사야죠 그럼. 이 문제만 아니면 지금 s7은 비교불가급으로 잘 나온 기기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감사합니다
도시의미학
16/02/29 16:20
수정 아이콘
3대의 갤럭시를 썼고 s1, 노트1 때는 문제 자체를 몰랐고 노트3때 알고나니 눈에 보이더라구요.
다른건 아니고 상단바 번인은 1년쯤 넘어가니까 눈에 보였어요.
시종일관 보여서 신경쓰인다기 보다는 아 저렇게 있는게 번인이구나 하는 느낌.?
판사님
16/02/29 16:35
수정 아이콘
그냥 현대차같은 느낌이랄까요...

모를때는 아무 생각없이 썼는데,
알고보니 인터넷브라우저 밝기 강제 제한, 상단바 번인 등이 빡칩니다.
싼맛에 현대차 만족하고 타다가 충돌각, 하체부실, 차대강성, 초반몰빵 운동능력 등이 딥빡으로 돌아오는것 처럼요
16/02/29 16:54
수정 아이콘
최근에 정책 또 바껴서 삼성 기본어플시에만 보상해준다고 하던데요. 그럴거면 스마트폰을 왜쓰는지

갤2 갤3때 번인 생기고 그담부터 아몰레드는 쳐다도 안봅니다
어떤날
16/02/29 17:45
수정 아이콘
저도 갤럭시 3대째 쓰고 있는데.. (지금도 진행 중..) 번인 한 번도 없었어요 -_-;

근데 저는 약간 신경써서 사용한 건 맞긴 한 게.. 일단 헤비 유저가 아니고 안 쓸 때는 꼬박꼬박 디스플레이를 끄거든요. 그러니까... 디스플레이가 같은 화면을 길게 보여주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번인이 안 생긴 것 같기도 합니다. 거슬리다면 거슬릴 수도 있긴 하지만 또 딱히 그렇게 신경쓰이는 부분도 아니라서 좀만 신경써 주면 별로 걱정 안 해도 될 수준일 것 같아요.

그리고 색 재현 면에서는 확실히 아이폰과 다른 것 같은데... 기계적인 재현은 갤럭시가 더 좋기는 하지만 오히려 너무 쨍하다고 (콘트라스트가 과한 느낌?) 싫어하시는 분들도 좀 있는 것 같더군요. 이건 화면모드 바꿀 수도 있지만 라이트 유저들은 그런 거 신경 안 쓰니...
opxdwwnoaqewu
16/02/29 17:47
수정 아이콘
흰 화면 많이 보면 번인 생깁니다
상단바 번인이라는건 상단바만 멀쩡하고 그 아래가 죄다 번인인거구요...
그런데 아몰레드가 번인이 좀 더 심한거지 lcd도 번인 있어요
흰 화면 많이 보면 짤탱없습니다 저희집 컴퓨터모니터 8년썼더니 누렇네요
it's the kick
16/02/29 17:49
수정 아이콘
AMOLED가 번인 제대로 오는데 8년, 아니 4년정도였어도 쓰지도 않았을 질문이었을 겁니다..ㅠㅠ 단지 약정 기간 내에 일어나면 좀 곤란하고 짜증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16/02/29 18:40
수정 아이콘
제 생각은, 폰을 약정기간 2년간 사용하고 신품으로 갈아탈 소모품으로 바라본다면 번인은 거의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위에 슬슬 번인이 느껴진다고 적기는 했지만, 거기 불만은 없어요.

막말로 그렇게 치면 배터리부터가 소모품이거든요. 폰 오래 써서 신경쓰이는 걸로 치면 배터리 용량 줄어드는 게 열 배는 더 신경쓰이면 신경쓰였지, 디스플레이 번인에는 눈도 안 갑니다.

물론 배터리 교체받아 가며 4년 5년 쓰실 요량이라면 좀 다르겠지만, 2년 사용에 번인 신경쓸 필요 없다고 느껴요.
it's the kick
16/02/29 18:46
수정 아이콘
제가 웬만하면 3년 이상 써서 말이죠... 이번껀 어쩔수 없이 바꾸는거지만, 이전 아이폰은 4년가까이 쓰고 바꿨었거든요
최코치
16/02/29 19:09
수정 아이콘
사용환경에 따라 오는 시간이 차이가 있을 뿐이지 화면 누렇게 변하는건 필연적입니다
아몰레드의 청색소자 수명이 다른 색에 비해 크게 짧아서 발생하는 현상이죠
청색소자가 빨리 죽으니 누렇게 변하는 거구요
사용화면이 고정되어있는 네비를 자주 쓰시거나 모두의 마블, 화투와 같은 게임을 자주하신다면 고정된 부분이 화면에 찍혀버리죠
이상 없다는 분들은 눈이 화면에 익숙해져서 그런거죠.
새 제품하고 비교해보면 확연하게 누렇습니다
흰색이나 청색화면 띄워놓으면 확실히 보이구요

상단바는 안 고쳐준지 꽤 됐습니다
그거 보여주면 기사 자신의 폰 보여주면서 원래 아몰레드를 쓴 폰은 그렇다 드립치죠
플리커 현상 때문이라도 삼성폰은 안 쓰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8889 [질문] [LOL] 게임 수와 티어의 상관관계? [17] 삭제됨2689 16/02/29 2689
78888 [질문] [스타1] 이영호와 이윤열 누가 커리어 위일까요? [61] 에버그린6572 16/02/29 6572
78887 [질문] 부인이 이뻐보일때/사랑스러워보일때는 언제인가요? [25] 삭제됨5739 16/02/29 5739
78886 [질문] 오클리 제품많은 온/오프라인(서울분당인근) [2] AspenShaker2315 16/02/29 2315
78885 [질문] 썬그라스 어디서 구매하는게 좋을까요? [2] ...And justice1383 16/02/29 1383
78884 [질문] AMOLED의 번인이 어느정도인가요? [16] it's the kick7428 16/02/29 7428
78883 [질문] [보드게임] 뱅 (닷지시티) 질문 좀 하겠습니다. [6] 본좌4061 16/02/29 4061
78882 [질문] 바둑은 여러명이 머리를 합치면 강해지나요? [7] 마르키아르2206 16/02/29 2206
78881 [질문] 정수기 렌탈만료 이후엔 어떻게 쓰시나요? [3] 해피팡팡6295 16/02/29 6295
78880 [질문] [LOL] 친구와의 다툼 이럴땐 어떻게 해야될까요? [63] Dark3288 16/02/29 3288
78879 [질문] 필리버스터 방청 질문입니다. [4] Herald1152 16/02/29 1152
78878 [질문] 노래 제목을 알고싶습니다 [2] 상처받기싫어1597 16/02/29 1597
78877 [질문] 겔럭시 노트 5 Vs 겔럭시 A7 [17] 답변봇5232 16/02/29 5232
78876 [질문] 얼굴 흉터 치료 질문입니다(성형외과/피부과 의사님들 계신가요?) [1] 버스를잡자1919 16/02/29 1919
78875 [질문] [LOL] 피지컬 관계 없이 올라갈 수 있는 티어가 어딘가요? [64] 레너블7678 16/02/29 7678
78874 [질문] [LOL] 랭겜 "상관없음" 선택시 포지션 배정 .. [8] 솔마5489 16/02/29 5489
78873 [질문] 오픽 질문좀 드립니다. 엠마스톤1664 16/02/29 1664
78872 [질문] 홍진호 요즘 방송 잘 안하나요? [5] 에버그린3447 16/02/29 3447
78871 [질문] KT 통신사 결합상품 질문 [2] Neo1465 16/02/29 1465
78870 [질문] 자전거 구매 질문 [4] 뱀다리1298 16/02/29 1298
78869 [질문] 개인 프로필사진을 촬영하고자 합니다. 아스가르드1248 16/02/29 1248
78868 [질문] 복면가왕 관련(뜬금 질문) [9] nalla3099 16/02/29 3099
78867 [질문] 할머니 수술비 결제 관련 질문 드립니다. [2] 辛만두1646 16/02/29 16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