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25 16:27
예전버전이라도 쎈 보세요
시험볼것도아니고 어려운 응용 문제는 치우고 앞에 있는 구몬식 문제들만 풀며 넘어가세요~ 설명보고 풀고 하다보면 기본적인 테크닉은 생각보다 금방 익혀지는것같아요.
16/02/25 18:39
솔직히 계량쪽은 몰라도 학부미시나 거시경제학에서 쓰는 미적분은 편미분이 거의 다라고 생각하긴 하는데...경제수학 보시구요
통계학에서 자연로그의 적분 이쪽은 수2 미적분쪽 좀 파셔야 할거예요 나름 그래도 고등학교때 이과였는데도 자연로그의 적분은 어렵고 머리아프더군요
16/02/25 18:49
답변주신분들 전부 감사드립니다.
계량까지는 당연히 할 엄두를 못 내고 미시 거시 수준에서만 볼 생각입니다. 그런데 경제수학은 커버하는 범위가 너무 넓어서 계량경제만큼 엄두가 안나던데, 보시라는 분들 A.C Chiang 저 이런 거 보시라는 건 아니죠;;?? 그냥 기초수준으로 학부에서 다루는 경제수학이라고 범위가 있는거죠? 통계까지 하려면 수2 미적까지는 다 해야겠네요. 감사드립니다.
16/02/26 07:54
요즘 수2 미적이 어느정도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삼각함수 미분 (과거 수2) 까지는 굳이 배우실 필요없고 수1 미적 (구분구적법, 로피탈 등 나오는 부분) 까지만 배우시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푸리에나 해석학을 필요로 하실 수도 있는데, 거기부터는 해당 학과 (=수학과, 응통과 등) 전공수업 들으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