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09 17:58
(수정됨) 1003 = 17*59
10003 = 7*1429 142857*7=999999 1429*7=10003 따라서 10003=7*1429, 10000000003=7*1428571429, 10000000000000003=7*1428571428571429, ... 등은 다 소인수분해되는 수들입니다 이과식으로쓰면 n이 자연수일 때 10^(6n-2)+3은 소인수분해 가능이려나요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찾는 사이트 https://ko.numberempire.com/numberfactorizer.php 소수의 무한성에 관한 증명 http://wiki.mathnt.net/index.php?title=소수의_무한성 문과생이라 유클리드의 증명 외에는 잘 이해가 안가네요 리만가설은 소수가 끝없는건 알겠는데 걔네들이 대략이라도 규칙성을 띠냐 마냐 하는 얘기입니다
18/11/09 19:27
소수가 무한한 이유는 유한하다고 가정했을때 유한한 모든 소수를 다 곱하고 +1 한 숫자가 소수라서 모순인지라 무한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18/11/12 15:46
정확하게는.. 위원장님께서 말씀하신 수가 반드시 소수는 아니고,
그럴 경우에도 그 수를 인수분해했을때 나오는 약수가 해당 수를 만드는데 쓰인 소수가 아니라 그보다 큰 새로운 소수이기 때문에 소수는 무한하다.. 이런 내용이었던것 같습니다. 저도 소수끼리 곱해서 1을 더하면 당연히 소수가 아니겠는가 생각했는데, 책에서 반례를 찾아줘서 설명해줘서 신기하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사놓고 읽지않고 10년이 넘은 "리만가설"이라는 책을 어제 마침 읽은 덕분에 내용이 생각났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