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1/05 16:33:2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한국사 공부하다가 각종 무덤들에 대해서..(중요한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기승전정
18/11/05 16: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간단하게 말씀드라자면 무덤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1. 유물을 통한 시대상
2. 부족이나, 국가의 세력범위
3. 문화
등등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류가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무덤을 작아지는게 일반적이고요. 삼국시대 무덤과 조선시대, 현재 무덤을 비교하면 알 수 있습니다.
+ 사학과 가면 진짜 무덤보러 답사도 가나요?
네. 당연히 갑니다. 저 같은 경우 삼국시대 무덤부터 전라도 지역의 전방후원분 등 많은 무덤을 답사했습니다.
물론 고고학을 전공하시는 분들은 더 자세히 보시고, 저 같은 경우에는 수박 겉핥기 수준이지만요.
+ 무덤별 시기를 탄소연대측정? 이라던가 뭘로 구분하는 거나요?
일부 유물의 경우 탄소연대측정을 합니다만 범위가 넓고, 신빙성이 없다는 말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무덤의 시대를 밝힐때에는 지층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고, 아예 백제 무령왕릉처럼
사료(지석)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18/11/05 17:20
수정 아이콘
2. 부족이나 국가의 세력범위
비파형동검, 고인돌로 고조선세력범위 표시해 놓은 지도 보면.. 현재 남한의 크기보다 크던데.. 고조선이나 부여나 위지동이전이나 중국의 사서 말고는 나라라고 부를만한 구체적 실체가 있긴 한가요?
무덤 관련
아.. 계속 작아지는군요.. 우리나라 고대 배우다 보면 지금의 나라가 있던 삼한은 그랬다더라가 전부고. 만주 북한 지역만 외울거리를 주다 보니.. 삼한에 사람이 있긴 했는지.. 중국에서도 건너건너 들은걸 기록으로 남겼을거라 셍각했는데..
무덤이 있었다니 사람이 살긴 했군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기승전정
18/11/05 18:20
수정 아이콘
고대 국가시기에 국가의 영토라는건 면이라기보다 일부 거점을 중심으로 '점'의 관점으로 봐야합니다.
고대국가시기보면 큰 규모의 무리들이 국경을 통과해서 남하하거나 북상하는 경우가 종종있죠.
18/11/05 16:54
수정 아이콘
현대 한국인들의 생활 모습은 서양인들의 모습과 큰차이는 없지만
한국 무덤들과 서양의 무덤은 아직도 형태가 다릅니다.
생활권이 단절된 과거에는 더더욱 다르겠죠.
18/11/05 17:22
수정 아이콘
그럴일은 없지만. 지금의 인류의 문명이 끊기거나 후세에 전달이 안된다면.
먼 미래의 지적생명체는 아시아 전반 유럽 전반을 우리가 배우는 '고조선' 같이 묶어 버릴 수 있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타카이
18/11/05 17:25
수정 아이콘
한국사 강의 들어보면 예전에 동북공정 전에는 중국 많이 갔었던 썰푸는 분들이 꽤 많죠
(수능, 공무원 시험 등)
솔로14년차
18/11/05 20:39
수정 아이콘
일단 '문화'를 파악할 때 결혼과 장례문화가 어떻고, 축제문화가 어떤지 파악하는 건 지금도 동일하죠. 다른 나라 문화를 파악할 때요. 특히나 역사에 있어서는 기록을 따지게 되는데, 대체로 결혼, 장례, 축제가 기록에 남으니까요. 기록에 남을만한 사건이 보통 그 정도니.

그리고 그러한 문화들 중에서 장례문화는 다른 가치도 지닙니다. 일단 무덤이 남아있기 때문에 '기록'이 아니라 '실물'이 남아있다는 점이죠. 그러니 좀 더 자세한 구분이 가능합니다. 또 장례문화는 가장 보수적인 문화기 때문에 잘 안변합니다. 그래서 장례문화와 무덤을 통해 비슷한 문화권의 영역이 어디까지인지 파악하기 좋고, 또 어느 문화가 어느 문화에 영향을 받았는지도 파악하기 좋죠.

별개로 고조선의 경우 고조선과 같은 문화를 지닌 사람들의 영역이 그 정도였던 것이죠. 물론 '조선'은 그들 중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고, 그런 의미에서 해당 지역을 고조선의 강역이라 볼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중앙의 힘이 그리 강하지 않았을 겁니다. 위만에 의해 세워진 조선의 경우에는 좀 더 강력했을 수도 있겠구요. 보다 앞선 문화를 습득한 상태라 보다 강한 지배력을 발휘했을테니까요. 당시는 지역별로 문화발전속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선 문명지역에서 비문명지역으로 간다는 건 지금 서브컬처에서 유행하는 회귀물과 같은 현상일 수도 있죠. 회귀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극적이겠지만요.
18/11/05 20:46
수정 아이콘
교과서에 괜히 실렸겠냐만은 14년차님의 설명을 듣고 나니 그 이유를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
만화등으로 접했던 삼국부터는 좀 나은데 선사쪽은 그냥 암기라서 '그래서 어쩌라고'가 ..
근데 역사가, 역사교육이 저같은 무식쟁이 상대로, 를 위해 있는게 아니니까요..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무덤들과 친밀감이 상승한 기분이에요.
애플민트
18/11/11 03:54
수정 아이콘
무덤 그냥 한국사를 잘 못하는 저도 굉장히 중요한 것 같은데요. 안에 유물도 많을테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6684 [질문] 블리자드 주식 전망? [7] 고통은없나4476 18/11/05 4476
126683 [질문] 실무경험 없는 사람이 전략과 기획을 훌륭하게 짜는 비결이 있을까요...? [4] nexon2801 18/11/05 2801
126682 [질문] 내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려는데 사용자 자격증명이 안되네요. [4] 블루레인코트1967 18/11/05 1967
126681 [질문] 이번 롤드컵 K/DA 노래 정말 좋지 않나요? [20] 부처2767 18/11/05 2767
126680 [질문] 스타크래프트, 자원 채취량은 왜 '8'인지에 대한 설명글은 없나요? [7] 호로3597 18/11/05 3597
126679 [질문] 한국사 공부하다가 각종 무덤들에 대해서..(중요한가요?) [9] 삭제됨2126 18/11/05 2126
126678 [질문] 결혼상대자로서의 질문 [39] 니이모를찾아서5980 18/11/05 5980
126677 [질문] 내일 에버랜드 갈 생각인데 어떻게 갈까요 + 사람 많을까요? [7] 성세현1787 18/11/05 1787
126676 [질문] 고3 남학생 생일선물 뭐가 좋을까요? [24] 로즈마리6100 18/11/05 6100
126675 [질문] 삼성PC HDD ==> SSD 교체시 HDD에 있는 정품복구가능할까요? [4] 공발업나코템플러1960 18/11/05 1960
126674 [질문] 로지텍 G903 구매 관련 질문 [8] 마이스타일3390 18/11/05 3390
126673 [질문] 게임플레이를 위한 일본어를 배우고 싶습니다. [5] 쪼꼬2510 18/11/05 2510
126672 [질문] 디아블로 폰트가 정말 멋지지 않나요? [2] bhsdp2684 18/11/05 2684
126671 [질문] [스포 유?]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마지막 공연 장면 질문입니다. [3] John Snow2874 18/11/05 2874
126670 [질문] 컴퓨터 구매하려고 하는데 CPU 어떤거 선택해야할까요?? [9] 개념은?3200 18/11/05 3200
126669 [질문] 후쿠오카 여행에서 가볼만한 곳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14] Song12468 18/11/05 2468
126668 [질문] 형수 호칭 문제 [15] coolasice4594 18/11/05 4594
126667 [질문] 분유 안먹는 아기 전문가 상담하는 곳 있을까요? [18] 지옥천사4298 18/11/05 4298
126666 [질문] 새치는 방법이 없나요?? [9] 버티면나아지려나2645 18/11/05 2645
126665 [질문] 믹스커피 음용량 질문합니다. [14] purflower892259 18/11/05 2259
126664 [질문] '유' 발음이 매우 부정확하게 나오는데 무엇이 문제일까요,,;; [4] 해피새우1970 18/11/05 1970
126663 [질문] 추리소설 최신 것들 중에 괜찮은 걸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삭제됨1654 18/11/05 1654
126662 [질문] 그림으로 동영상 파일을 만들어보려고 하는데요 [2] 10년째도피중1031 18/11/05 10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