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3 09:35
프로젝트 투입 때문에 건강보험 가입증명서 떼봤는데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가입상태 변한게 다 나옵니다.
첫 직장 들어가면 부모님 부양가족 상태에서 직장 건강보험으로 바뀐것도 나오기 때문에 첫 직장 입사 이력은 속이기 어렵습니다..
18/07/13 09:45
요즘 하도 경력 & 연봉을 허위로 하는곳이 많아서 입사시에 건강보험 가입증명서 및 납입증명서를 가지고 오라고 하는곳도 꽤 있더라구요
18/07/13 10:06
굳이 입사시에 안 떼어보더라도 입사하고 나서 입사자의 건강보험 등록을 위해 조회해 보면 다 기록이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입사절차까지는 어떻게 넘긴다 해도 입사하고 나서 제출서류하고 건강보험 변동내역이 다른 게 탄로나면 바로 입사 취소 + 회사에서 쫓겨남 + 동종업계에서 찍힐 수도 있습니다.
100% 입사자의 귀책사유이니 회사측에 뭐라고 할 수도 없는 일이고요.
18/07/13 10:14
회사에 책잡힐 만한 일은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지금 어케 넘어가도, 먼 훗날 회사와 혹시 싸워야 할 때 기록들은 대부분 회사편이더라구요.. [개인은 기록을 제대로 기록해서 보관하기 힘든데, 회사는 다 쌓아두고 있다가 책잡을 만한 거리는 다 꺼내오기 때문에...]
18/07/13 11:24
우선 경력을 뻥튀기 해서 주는 메리트가 얼마나 있을지 잘 모르겠고,
연봉 협상을 위해 기본적으로 국민연금 가입내역이랑 원천징수를 떼기도 하기 때문에 가입이라던지 기본적인 것들을 다 확인할 수 있죠. 요즘 세상이 마냥 호락호락하지 않다능 ㅠ
18/07/13 11:52
IT쪽은 소위 허울없는 것이라 할지라도 나름 소프트웨어 경력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관없지만, 소프트웨어 경력자 등록시 등록안된 경력의 이전 회사 도장 찍어서 해당 경력을 등록하게되어 있습니다. 허울뿐이라지만 이때 책잡힐지도 모르죠.
18/07/13 14:18
건강 보험만 뽑아봐도 이전 회사에서 몇년동안 보험료가 납입되었는지 나오기 때문에 속일 수 없습니다.
아예 보험을 가입하지 않는 업체라면 모르겠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