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09 15:05
저도 스터디를 같이 해본적은 없어서 스터디에대한 조언은 못드리겠지만 개인적으로 책사는게 아까운건 좀 아닌거같아요..
물론 학생이면 부담되는가격일수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배우신다고 할때 책에 돈아끼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어차피 그정도 가격의 한권사면 분량도 크고 최소 한달에서 몇달은 볼탠데요.
18/07/09 15:55
아 저는 회사에서 사장님이 전공서적도 사주시고 해서 사실 책이 부담되지 않는데 다른 친구들이 부담스러워 할거같아서 그랬는데 여러 의견 들어보니 이쪽계통으로 돈벌려면 다들 구매하라고 해야겟내요.
18/07/09 15:58
흠 사실 이부분이 가장 어렵내요. 기초부터 다시갈지 요즘 새로나오는것들 익혀야할지 이론할지 코딩할지
그래서 다른 스터디는 어떤걸 하나 궁금했내요.
18/07/09 15:11
스터디 말고 독학이 더 낫지 않을까요? 그룹스터디를 해본적이 없어서 뭐라 말하긴 그렇지만 시간낭비일 것 같은데...
취업하신 초짜 웹 개발자시면 사수급 있으실텐데 궁금한거 물어보시면서 공부하시면 충분할 것 같은데...하시는거 열심히 하시고 엑스퍼트가 되시는게 훨씬 나은거 아닐까요?
18/07/09 15:21
만 10년 프로덕트 매니저가 한 말씀 드리면
프로그래밍 공부는 남이 시켜주는게 아닙니다 트랜드나 신기술 동향이라면 모를까... 그리고 이 분야에서 책 사는게 아까우시면 장래의 연봉이 20%이상은 깍인다고 장담하죠
18/07/09 15:25
20%면 엄청 후하게 쳐주시는거 같습니다.
제 사수였던 분은 전공책 값 아끼는 놈 치고 제대로 된 놈들 없다고 욕까지 하셨는데...
18/07/09 15:54
전 전공자이고 관심이 많아서 이책저책 매달 사서 보는데 다른친구들도 그러지 않을것 같아서 그랬는데 월급이 없는것도 아니고 책은 다같이 사는 방향이 맞겠군요.
18/07/09 15:26
지금 글 쓴 분이 숙련도가 어느정도 반열에 올랐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전 개발자는 아니고 퍼블리싱 실무자이긴 한데 그래서 이건 프로그래밍도 같은 맥락일 것 같아 말씀드리면 입문부터 시작해서 초급딱지 떼는 정도 되려면 책이나 스터디는 한계 있습니다 학원 가서 선생님한테 코치 받아가면서 해야되요. 실제로 코딩을 해보고 막혔을 때 바로바로 물어보고 그걸 바로바로 효과적으로 답해줄 사람이 필요하거든요 그래야 짧은 기간 안에 실력 팍팍 늡니다. 초급 딱지 뗀 이후로는 제일 중요한 건 스스로 코딩 많이 해보는 것이죠.. 각종 난관에 부딪치면 직접 해결하고요 그 정도 단계 왔다면 책 보고 독학 하거나 스터디하면 효과를 볼 것 같습니다 스터디 솔직히 저는 안 해봤지만 스터디 이전에 더 중요한 건 자기가 스스로 코딩을 많이 해봐야 되는 것이니 스터디 자리에 모이기 전에 각자들 멤버들끼리 공통 과제 같은 거를 내는 것은 어떨까요? 그래서 서로 그 과제를 해낸 뒤에 스터디 자리에서 작업 도중 애로사항 같은 것들을 공유하면서 해결할 방법들을 논의하고 더 효과적으로 코드 짜는 방법 같은 것을 피드백 하고 서로 나누는거죠~ 스터디 자리에서 제로베이스 코딩 하면 스터디 시간 무의미 해질 것 같아요
18/07/09 16:17
흠 사실 저는 전공자인데 다른친구들이 비전공자인 상태로 교육받은거라 결과는 내는데 부족한걸 느낀다고 해서 시작하려 한건데
학원을 가는게 좋은방법일수도 있겠내요.
18/07/09 15:35
아주 간단한 기능을 가진 프로젝트를 함께 만들어보세요~ 형상관리툴 쓰면서. 주기적으로 코드리뷰하면서, 내가 만드는 부분은 이런곳인데, 왜 이렇게 짰는데, 여기 이 부분에서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좋겠지만 일단 돌아가는게 중요하니 막 만들어봤다~ 이러면서 이야기하고 더 좋은 방법 같이 고민하고 하다보면 점차 나아질거에요. 그리고 맘에 없는 책 살필요 없습니다!! 요즘은 정말 웹에 뭐든 다 있기 때문에 찾아보면 좋은거 많이 나와요. 더 심화과정이 알고싶다~ 이건 왜 이런걸까~ 하는게 궁금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책을 찾게 될거에요.
18/07/09 15:41
개인적인 경험으론... 독학 추천드립니다.
일단 뭘 만들지 목표를 잡고 만들어가면서, 막히면 구글 검색해 보시고요. 사용하는 언어 레퍼런스용 서적 하나 정도는 꼭 사세요. 웹에도 정보가 많지만, 체계적으로 공부하기엔 책만한게 없습니다.
18/07/09 15:47
스터디라는게 내가 누구한테 배우며 묻어가겠다는게 아닌 이상에야 내가 아는걸 알려주겠다 라는 즐거운 마음으로 들어가도 쉽지가 않은거죠..
책을 사는게 아까울수는 있습니다. 책보다 정리잘된 자료들 사이트들도 많구요. 하지만 보는 구조로는 책만한 교육자료가 또 없습니다. 투자없는 성장은 없습니다.
18/07/09 15:59
아주 중요한 명언이 있죠.
Teach yourself. 보통 스터디는 챕터 별로 준비해서 합니다만... 자기 챕터 밖에 준비 안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초보시니 일단 자기 챕터라도 공부 잘 하고 준비 하셔서 하시구요. 열심히 해야 늡니다.
18/07/09 16:18
스터디 몇번해봤지만 결론적으론 하지마세요.
아무리 뛰어난 리더가 와서 해도 유지하기 힘듭니다. 꼭 해야된다면, 서로 노트북가져와서 각자 공부할거 하는게 제일 낫습니다. 그리고 스터디룸비 2달치 미리받고 탈주시에 환불안해준다고 하시구요.
18/07/09 16:25
의무적으로 모든 멤버가 반드시 참석해야 하고 정확하게 기한이 정해져있는 스터디가 아니라면 하지마세요. 스터디의 대부분은 실패로 끝납니다.
그리고 참가자의 역량이 어느정도 되어야 효율이 나오고, 초보자들끼리 모여서 하는 스터디는 90% 이상 실패합니다. 요즘 책도 좋고 동영상도 좋습니다. 독학 하세요.
18/07/09 16:51
음... 저는 다른 분들이랑 의견이 다른데요, 책으로 공부하시는 건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필요한 언어/라이브러리의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튜토리얼과 예제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기계과 졸업하고 어쩌다보니 프로그래머로 먹고 살고 있는데요, 처음에 컴공 전공 친구한테 책 추천을 부탁하면,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튜토리얼 보라는 대답이 돌아왔었습니다. 어쩌라고... 라고 생각했었는데, 저도 코드밥을 먹으며 경험해보니 결국은 공식 튜토리얼이 제일 좋더군요. 더구나 갈수록 버전업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서, 최신 내용을 100% 담고 있는 책이 제 때 나오는 경우는 드물어요;;; 그리고, 스터디를 하신다면 프로젝트 오일러(https://projecteuler.net/archives)를 추천합니다. 맨날 쓰는 프레임워크는 일 하다보면 금방 숙달되실 건데요, 전산 전공이 아니면 알고리즘 쪽이 약한 경우가 많더군요. 미리 정해진 문제를 각자 풀어보고 모여서 해법을 공유하면 좋을 겁니다. 혼자 하셔도 좋고요. 문제를 한글로 번역한 사이트(http://euler.synap.co.kr/)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18/07/09 17:12
솔직히 저라면 프로그래밍을 위해서 하는거라면 그냥 스터디 안 하고 독학합니다. 차라리 그냥 스터디 말고 사교모임이라고 칭하고 서로 최근 회사에서 사용하는 트렌드 기술이나 테크토크를 하기 위해 만나는게 더 이득이라 생각합니다. 스터디를 목적으로 만나봤자 얼마 안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