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06 11:27:44
Name 팬더곰
Subject [질문] 1996년도 쯤 초등학교 다니신분
안녕하세요

성인이 된 이후 부터 궁금했는데 갑자기 질문합니다.

제가 초등학교 4학년쯤(1996년)? 3학년쯤(1995년)?

학교에서 급식실을 설치한다고

전교생을 상대로 기본 10만원, 더 내고 싶으면 더 내라

라고 해서 전교생 돈을 걷은적이 있는데

지금생각해보면 말이 안되는거 같은데..

이런경험해보신분 계신가요

1997년 초등학교 5학년부터 급식했던걸로 기억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현직백수
18/07/06 11:28
수정 아이콘
더내고싶으면 더내라?????????????????????????
18/07/06 11:29
수정 아이콘
비슷한 때 학교생활 하셨네요.
저도 5학년땐가 처음 급식실이 생겼는데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애초에 말도 안되죠...
어째 그건 누군가의 주머니로 쓱 들어갔을 듯한 느낌이
18/07/06 11:30
수정 아이콘
중학교까지 도시락이었고 고등학교 1학년 때 급식실이 생겼습니다. 돈걷기 같은 건 없었어요.
ThisisZero
18/07/06 11:32
수정 아이콘
가물가물하긴 한데 저는 초등학교 입학할 때 부터 급식비를 냈었던 것 같아요 (90년대 중반)
저 입학 전까지는 도시락이었는데 저 입학할 때부터 급식제를 도입하면서 전학년 급식비를 걷었는데
정작 급식은 초등학교 3학년때부터 먹을 수 있었죠.
1,2학년은 오전만 수업하고 하교하니 우유 말고 먹을 일이 없죠. 우유값 따로 냈던건 함정이지만.

그러다가 초등학교 2학년쯤 되서 교장선생님이 바뀌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그 때 받은 급식비 횡령하다 걸려서 잡혀가서 교장 바뀐거였다네요 크크.
교장 바뀐 뒤에 급식비를 냈는지는 기억이 안납니다. 물론 3학년 올라가서 급식먹을 나이 될때는 매달 냈구요.
야한남자
18/07/06 11:39
수정 아이콘
저와 같은 시기에 다니셨네요. 98년에 imf인해서 6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수학여행을 못가서 속상했었는데...
저희학교도 5학년부터 급식을 실시했었는데, 돈을 걷는 건 없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데, 말도 안되는 이야기입니다.
18/07/06 11:42
수정 아이콘
저랑 나이가 비슷하신거 같은데 말도 안되는 일이네요.. 헐..
CoMbI COLa
18/07/06 11:46
수정 아이콘
공립이냐 사립이냐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 저는 공립이라 급식실 만든다고 돈 걷은 적은 없습니다. 급식비로 매 달 돈 내는건 있었지만요.
팬더곰
18/07/06 11:54
수정 아이콘
저도공립이었습니다
도토루
18/07/06 11:46
수정 아이콘
시골이라 그런가 ㅠ
99년도쯤에 급식 먹었습니다 (초, 중 도시락)
18/07/06 11:58
수정 아이콘
새롭게 급식실 설치하면서 식판 구매할거라고 첫 달에 몇 천원 더 걷은 게 기억납니다 10만원까지는 아니고요

근데 지금 생각해보니 기분나쁘네요. 그걸 교육청 예산으로 사는거지 왜 우리가 그걸 샀지....?
김호레이
18/07/06 12:31
수정 아이콘
공립인지 구립인지 모르겠습니다만...냈습니다..

구체적인 금액은 이야기 하지 않고 낼 만큼 내라 였는데...그 당시 최저가 3만원이었던걸로...

제가 반장이었는데...반장 부반장은 최소 5만원은 내라고 통보 받았었고...

그 당시 아는형이 같은학교 학생회장이었는데...학교에서 백만원 요구 했다고 들었습니다.
RedDragon
18/07/06 12:43
수정 아이콘
1990년대 시기는 뭐 교장, 교감, 선생들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촌지 걷던 시절이라.. 100%죠 저건...
저는 5학년 담임이 그렇게 노골적으로 촌지를 요구했다고 하더라구요. (부모님썰)
Man in Love
18/07/06 12:50
수정 아이콘
저희도 그시기에 그랬던거 같아요
까우까우으르렁
18/07/06 13:37
수정 아이콘
전 국민학교 시절인데요. 이거 보고 든 생각이 북한이 금강산댐 건설하여 서울을 물에 잠기게 할 계획이니 우리는 평화의 댐을 지어서 그것을 막아야 한다. 건설을 해야 하니 반강제로 인당 500원~1000원 가량 걷어간 기억이 있네요. (그때 물가로 자장면1그릇이 500~700원이 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때 돈은 대체 어디로 간건지 궁금하네요
간바레
18/07/06 13:54
수정 아이콘
아.. 아버님
신공표
18/07/06 14:16
수정 아이콘
급식인 지 아닌지는 모르겠는데, 그 즈음 아주 큰 금액은 아니지만 뭐한다고 얼마정도 걷어가고 그런 건 있었던 거 같습니다.
18/07/06 15: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정확히 기억합니다.
1995년경에 제가 초등학교 6학년이었는데,(제가 1990년에 입학)
그 때 김영삼 공약이 초등학교 , 아니 그 때는 국민학교였죠. 급식의무화였습니다.
그래서 부랴부랴 급식실 설치해야 하는데 돈이 없죠. 그래서 학교에서 돈을 걷었습니다.
선생님이 할당된 돈을 걷어야 해서 학생들에게 공포분위기 조성하고, 저는 부반장이라 10만원 냈습니다.
그리고 졸업 바로해서 1996년 2월경에 급식은 2주 먹어보고 졸업했습니다 (...)
어린 맘에도 굉장히 불유쾌한 경험이었고, 큰돈내고(당시 저돈 큰돈이었습니다) 2주인가 급식 먹는데
그마저도 급식비를 또걷네 짜증나네. 싶었고, 어차피 졸업할 건데 그냥 버텨볼걸, 내가 부반장된게 선생이나 학교가 잘해줘서 그런게 아니라
내가 공부잘하고 인기 좋아서 된건데 왜 내가 돈을 내야 하나 이런 반감을 갖게 되고, 제 인격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 사건입니다.
18/07/06 16:03
수정 아이콘
1995>

► 1.16 학부모 교육용 교재 발간, 주 5일제 수업 올 해부터 시범 실시

► 1.17 교과서 검정제 전환 - 국어․국사만 국정 교과서 유지, 과목당 8종 제한 폐지

► 1.18 교육부-교개위, 유치원 공교육화, 국교 월반 허용 검토

► 2. 4 1996년부터 고교 영어교육 대폭 강화 발표

► 2.24 1997학년도부터 국교 4-6학년 영어교육 실시 추진 발표

► 3. 6 국교 ‘책가방 없는 날’, ‘점심 급식제’ 실시 결정, 「광주 민주화 운동」 국교 교과서에 첫 수록


김영삼 + 급식으로 검색하면 당시 대통령의 지시사항임이 드러납니다.
팬더곰
18/07/06 16: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0년 넘게 사기 당한거 아닌가 걱정했는데. 그런건 아닌가보네요
18/07/06 16:46
수정 아이콘
95년 입학이고 입학할때 이미 급식이었는데
급식실이 따로없고 급식차를 교실에 가져와서 배식했습니다
軽巡神通
18/07/06 18:40
수정 아이콘
96년 입학생이었는데
이미 급식실이 잘 돌아가고 있어서 그런거 없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085 [질문] 천안에 독립기념관이 건설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9] 안경3083 18/07/07 3083
122084 [질문] 혹시 지금 파이썬 투게이트 질럿 해주실분있나요? [8] 제드2255 18/07/07 2255
122083 [질문] 결혼식 사회 팁 좀 주세요. [11] 한량기질5403 18/07/06 5403
122082 [질문] 허리에 담이왔을때 해결법 부탁드립니다. [5] 삭제됨4690 18/07/06 4690
122081 [질문] 제어판으로 삭제가 안되는 프로그램 삭제 방법 [3] 삭제됨2331 18/07/06 2331
122080 [질문] [하드웨어] 노트북 성능저하(?) 문제입니다. 포맷까지 깔끔하게 했는데 왜 그렇게 느린걸까요? [7] 삭제됨2314 18/07/06 2314
122079 [질문] 단기 다이어트는 역시 단식을 좀 해야겠죠? [14] 이부키3349 18/07/06 3349
122078 [질문] 집앞 편의점 벤치에 배달대행오토바이들 소음이 너무 심합니다 [5] 슈로더3619 18/07/06 3619
122077 [질문] 이게 뭔지 아시는분? [4] Right2684 18/07/06 2684
122076 [질문] 물건을 예약 배송할 방법이 있을까요? delaffe1506 18/07/06 1506
122075 [질문] 슬램덩크 대사 질문 [18] 설탕가루인형4052 18/07/06 4052
122074 [질문] 종로, 을지로입구, 명동 일대 괜찮은 이자카야 있나요? [7] 잉차잉차2989 18/07/06 2989
122073 [질문] 하스 복귀 문의드려요 [9] 그림속동화2587 18/07/06 2587
122072 [질문] 구급차 사이렌소리가 잘 들리시나요?? [13] 걸스데이민아2907 18/07/06 2907
122071 [질문] 동영상 편집 툴 좀 소개해주세요 ! [10] PEPE2235 18/07/06 2235
122070 [질문] 윈도우 미친듯한 데이터 누수 현상 대처방법....ㅠ [16] 돈키호테3426 18/07/06 3426
122069 [질문] 세티즌 중고거래 질문드립니다! [4] SooKyumStork2652 18/07/06 2652
122068 [질문] 비알레띠 모카포트도 인덕션에 작동되나요? [6] 여자친구6586 18/07/06 6586
122067 [질문] 여자친구 선물용 목걸이 좀 골라주세요ㅠㅜ(링크 有) [9] 사이시옷4844 18/07/06 4844
122066 [질문] 이어폰 단선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軽巡神通1803 18/07/06 1803
122065 [질문] 고가의 이어폰을 사려고 합니다. [15] 나스이즈라잌2715 18/07/06 2715
122064 [질문] 1996년도 쯤 초등학교 다니신분 [21] 팬더곰3950 18/07/06 3950
122063 [질문] 여단장+참모 3명의 판단만으로 수도권 외곽 부대의 수도진격이 가능할까요? [6] 노스윈드3283 18/07/06 32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