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04 19:27:27
Name 로고프스키
Subject [질문] 한국의 동아시아 대중매체 경쟁력이 의아합니다. (수정됨)
현재 한국이 국내 시장 및 자본 규모에 비해 동아시아에서 대중 매체로 끼치는 영향력이 꽤나 크다고 생각하는데요

예를 들어서 영화는 일본 스스로가 인정할 정도로 한국이 훨씬 우위에 있고 중국도 최근 자본을 많이 들이고 있지만 그런 것에 비해 국내용으로 소모되거나 해외로 진출하는 네임드 영화가 거의 안 나오고 있죠.

음악은 방탄부터 시작해서 트와이스 및 기타 아이돌 등등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동남아, 미국이나 남미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고 중국이나 일본 유망주들이 오히려 한국 연습생으로 와서 데뷔할 정도로 잘 나가고 있습니다.

스포츠도 마찬가지로 국내 시장 크기에 비해 전 분야에서 나름 고르게 활약하는 느낌...

그외 드라마나 e스포츠 등등

어떻게 이런 상황이 나올 수 있는지 의아합니다.

기본적으로 자본이 많이 투입되고 시장이 크면 훨씬 양질의 물건들이 많이 나와야 되는 것이 상식인데

상대적으로 시장도 작고 자본도 적게 투입되는데 한국이 어떻게 훨씬 규모가 큰 일본 중국을 상대로 예체능 우위에 있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미나
18/07/04 19:35
수정 아이콘
일본은 내수가 너무 좋다보니 갈라파고스화 되어버렸고 중국은 너무 늦게 출발한데다 통제국가라는 한계가 있죠.
맨날 pgr에서 교육 얘기하면 나오는 말이 그거잖아요. 개천에서 용나게 할 생각말고 개천을 살기 좋게 만들자. 그게 지금 일본의 대중매체죠.
18/07/04 19:57
수정 아이콘
자본따라 움직이는게 대중문화 컨텐츠라고 한다면 중국이나 일본은 최대한 그들의 시장에 특화되어서 세계에 보편적으로 어필하기가 힘들게 되었다고 봐도 되겠죠. (중국은 컨텐츠의 질을 퇴색시키는 규제가 극심하고 일본은 시장이 돈을 쓰는 '특정'계층 덕에 기형적으로 변질)
우리나라는 자본보단 무한경쟁이란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하는것 같아요. 너무 독하게 해서 문제가 되긴 하지만 살아남는 경우엔 크게 흥하는 적자생존의 원칙 같이
그리고 한국 내의 자본이 적다보니 해외로 활로를 찾는 과정에서 중국과 일본보다 어필할 부분이(라기보단 거부감이 적어서?) 많았기 때문인듯도 하구요.
18/07/04 20:02
수정 아이콘
얼마 전 한국에 갔을 때, 그쪽 프로듀서와 대화하면서 한국의 시스템에 대해 들었습니다. 한국에선 흥행 수입의 40~50%를 극장측이 갖고, 남은 60%를 영화 제작위원회(투자자)와 제작회사(감독 등 제작진)이 6대4 비율로 나눠 갖는다고 하더군요.

즉 영화수입이 10억 엔이라고 한다면, 그중 2억4천만 엔이, 가장 땀을 흘린 제작진 손에 넘어간다는 겁니다. 그리고 그 자금은 다음 작품을 준비하는데 쓰이게 되죠. 하지만 일본에선 수입의 50%를 극장이 갖고, 남은 50% 중 10이 배급사, 40이 제작위원회로 넘어갑니다. 많은 경우, 감독에겐 배분되지 않습니다.

http://extmovie.maxmovie.com/xe/index.php?document_srl=15845079&utm_content=buffer75c28&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com&utm_campaign=buffer&mid=movietalk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인터뷰 중 일부분인데요
일본영화등 영상매체의 경우에는 수익분배자체가 제작자에게 매우 불리한 환경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인재들이 다른곳으로 가버린다고...
로고프스키
18/07/04 20:45
수정 아이콘
어쩌다 배분 구조가 저렇게 괴악스럽게 된건지 의아하네요.
던져진
18/07/04 20:10
수정 아이콘
중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한국의 컨테츠 제작 예산 규모가 가장 클 수 있습니다.

일본은 온갖 숫가랏 얹기가 만연 해 있어서 실질적으로 제작으로 들어가는 역량이 훌씬 떨어질 수 있고요

중국은 확실이 포텐셜이 있지만 아직 경력이 부족한 느낌이죠.
18/07/04 23:16
수정 아이콘
시장이 작은 건 맞는데 자본이 적게 투입되는 건 아니죠. 우리나라 연기자들 출연료도 쎈 편이고요. 우리나라 문화컨텐츠가 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건 그만큼 투자가 있었고 그만큼 인력을 갈아 넣고 종사자들이 열정을 쏟고 발전한 결과물입니다. 그냥 갑자기 뚝하고 나타난 건 아니죠. 거기다 국민들이 영화를 좋아하는 게 투자한만큼 발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고요.

가요계도 예전 보아 관련 다큐보면 이수만이 이런 말한 적 있습니다. 밖으로 안 나가면 다 망한다고요. 그래서 절박하게 준비했다고요. 그게 다 지급 결과물이지요.

그리고 우리나라가 상업적인 문화가 발전하긴 했지만 돈 안 되는 분야는 또 엄청 뛰어나다 할 정도는 아니여서요. 성공을 바라보고 치열하게 살고 경쟁하는 분위기가 문화계 전반에도 나타난 게 아닌가 싶네요.
천호동35세백영호
18/07/05 01:09
수정 아이콘
내수시장만으로 수요충족이 안되는 상황이라 해외쪽으로 눈을 돌리게 된 것이 영향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014 [질문] 오피스텔 주차타워는 어떤가요?? [8] iliket8319 18/07/05 8319
122013 [질문] 홍콩달러 환전(마카오 파타카도 가능) 후 공항 수령에 관해서 [8] 오클랜드에이스2881 18/07/05 2881
122011 [질문] 프듀48에 ioi 완전체가 나왔었나요..? [4] 아기상어2226 18/07/05 2226
122010 [질문] 롤을 하는데 핑이 갑자기 확 올라갔다가 내려옵니다 [12] 정어리고래4423 18/07/05 4423
122009 [질문] 추석 제주도 비행기 티켓구할수있는방법이있나요? [5] 무새2664 18/07/04 2664
122008 [질문] 표현의 자유 관련 일화 질문 [2] mcmc1496 18/07/04 1496
122007 [질문] 담이 자꾸 걸리는데 뭘 해봐야할까요? [9] 진인환2496 18/07/04 2496
122006 [질문] 아이폰 재부팅비밀번호 잊어서 사진과 연락처등이 날아갔습니다. Demi1396 18/07/04 1396
122005 [질문] 배그 낙하산 웨이브 질문입니다 [7] 첸 스톰스타우트3161 18/07/04 3161
122004 [질문] 조카 100일 선물 추천부탁드려요! [9] En Taro2873 18/07/04 2873
122003 [질문] 유통기한 하루 남은 계란 [12] Hikaru4597 18/07/04 4597
122002 [질문] 중국어 1:1 과외 시세 질문입니다. [7] 호연4019 18/07/04 4019
122000 [질문] 병사들의 건강보험..? [4] 지숙2276 18/07/04 2276
121998 [질문] 한국의 동아시아 대중매체 경쟁력이 의아합니다. [7] 로고프스키3053 18/07/04 3053
121997 [질문] 오늘 자유게시판의 "문재인 대통령 신격화 관련"글 어디갔나요? [13] 틀림과 다름3359 18/07/04 3359
121996 [질문] 진짜 설빙처럼 눈꽃으로 나오는 가정용 빙수기계가 있을까요? [2] 포프의대모험2823 18/07/04 2823
121995 [질문] 명청 관리등용 질문 이리떼1428 18/07/04 1428
121994 [질문] 미드 웨스트월드 어디서보세요? [4] 슈가붐4208 18/07/04 4208
121993 [질문] 디자인용 컴퓨터 견적좀 봐주세요 [5] Typhoon2033 18/07/04 2033
121992 [질문] 서울 아주 얇은 느낌의 돈가스를 파는 곳이 있는지요?? [12] SlaSh.3153 18/07/04 3153
121991 [질문] 소개팅 관련입니다. 저는 수원이구요 상대방은 명동이에요. [22] 삭제됨3184 18/07/04 3184
121990 [질문] 스마트폰 짐벌 질문드립니다. [7] 행복한 날들2110 18/07/04 2110
121989 [질문] 리얼포스 키보드 쓰시는 분들께 질문 [8] 루치에3947 18/07/04 39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