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20 02:58
일반적으론 크게 기본분석/기술분석 이라고해서 전자는 재무제표나 사업보고서 등을 훑어보면서 접근하는 방식이고
후자는 말씀처럼 차트보면서 거래하는 방식인데, 정답은 없습니다. 기본분석 하는 분들은 기술적분석하는 사람들 보고 정파 무림인이 사파 마괴들 보듯 생각하고, 마치 익스트림스포츠 즐기는 사람 취급하고요. 반대는 또 다른 이유로 그렇고요. 물론, 둘다 하시는 분들도 있고 섞어서 보는 분들도 있고 그렇죠 수익률 3프로도 종목이 여러 개가 되면 안정성은 커지지만, A에서 잘벌고 B에서 까먹고 하는 식이라 막상해보시면 쉽지않을 수도 있습니다. 진짜인 지 모르지만 95%는 손해 4%는 약간 수익 이란 말도 있으니까요. 연3%만 노리시면 배당 높은 종목들 위주로 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수 있으나, 이 역시 배당은 잘 받는데 주가가 떨어지면 손실인 경우도 많아서요 기본적 분석 책들은 스테디셀러 급 기본책들은 거진 대동소이하고요. 그런 거 사서 우선 읽으시고 기본적 분석 공부하고싶으시면, 재무제표나 사업보고서 관련 읽는 법에 관한 책 중 좋은 거 읽으심 될 듯 합니다. 강의 같은 것들도 있고요
18/05/20 03:28
1. (시간이 매우 부족한 경우) 인덱스 펀드 추천드립니다
2. (저녁이 있는 삶은 즐길 수 있는 경우) 증권사에서 발행사는 보고서 챙겨 보세요. 각 증권사에서 이런저런 보고서들을 많이 올리는데, 본인이 관심있는 산업분야 집중적으로 읽어보시면 해당 산업에 대해 보는 눈이 조금 생깁니다. 개인적으로는 캔들차트니 이런거는 꾸준한 수익률인 그닥 도움이 안된다고 봅니다. 단타보다는 가치투자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가치투자의 방법론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저는 주로 증권사 보고서 참고하고 있고요.
18/05/20 16:13
1. 목표가 전체자산의 3%이상인가요? 아니면 주식자금의 3%이상인가요?
후자라면 굳이 주식보다는 예적금 및 안정적인 상품 몇개 끼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전자라면 반은 예적금 (이율 약 2.7~8 이상) 나머지 반은 30% P2P 70%는 고배당채권형 펀드에 넣으세요. 2. 가치투자를 한다고 해서 모두가 성공하는게 아니며, 그 성공까지의 시기는 힘이 들때가 많다고 합니다. 인덱스 펀드 역시 마찬가지죠. 추천드리는건 여러가지 전략들을 혼용한 자산분배인데 이것도 어느정도 공부가 필요하고...
18/05/20 18:13
주식관련해서 초등학생 수준이라면 일단 주식투자무작정따라하기란 책이 있습니다. 계좌만드는것부터 시작한 기초중의 기초입니다.
완전 초짜가 보기에는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난이도 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