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25 22:39
전기공학과라 하셔서 회로 쪽과는 거리가 멀지 않을까..요..?
회로설계란 크게 아날로그, 디지털 회로 설계가 있고(아날로그란 amp, random number generator 등 디지털이란 clock을 이용해 동기화 혹은 비동기화 하여 구동하는 소자 및 회로 등) 보통 tape-out을 한다고 하는데 설계하는 칩을 내는걸 목표로 소자배치로 회로도를 제작하거나 실제 소자를 도면에 그리는 lay-out 등의 많은 단계와 노력과 힘과 노가다(?) 정신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저는 대학원때 회로설계를 하고 싶었지만 사정으로 인해 옆에서 하는걸 구경(?)만 했습니다만.. 사실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회로지식(MOSFET 등을 이용한 간단(?)한 회로)은 물론 반도체 특성도 꽤 알아야 하고 조심스럽게 말씀드리는 개인적인 의견운 전기공학이랑은 큰 연관이 없는거 같습니다..
18/04/25 23:12
제가 전기공학과 출신인데요.
강전을 다루는 한전이나 전력 전자 계통을 가실 게 아니면 전자공학과와 크게 다를게 없습니다.(특히 학사 레벨에서는) 회로 설계는 하드웨어 설계 + 각각의 칩을 구동시키는 소프트웨어 설계로 볼 수 있는데요. 예전에는 여러가지 기능을 각자의 칩이 나눠서 구현했다면 최근에는 여러 기능을 한칩이 구현하는 게 대세여서 하드웨어 설계 자체는 예전에 비해 크게 메리트가 없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소프트웨어 설계도 할 줄 알아야 하는데요. FPGA를 할 거냐 또는 ASIC을 할 거야 등등에 따라서 사용 언어도 달라지게 됩니다. 대략 C 언어 계열이나 HDL 계열을 공부하시면 됩니다. 이런 쪽 일을 하던 사람 입장으로서 솔직히 이런 하드웨어 기반의 업무은 별로 권하고 싶지 않구요. 빅데이타나 자율 주행과 같은 훨씬 트렌드한 기술을 배우실 것을 권장합니다. 아니면 차라리 쉽게 기술이 바뀌지 않는 송배전 쪽을 공부하셔서 한전 계통을 가시던가요.
18/04/26 01:53
저는 하드웨어가 되려 유망하다고 봅니다.
다들 하드웨어업무를 꺼려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찾는 곳이 많습니다. 특히 아날로그 회로 설계 가능하고 EMC 잡을 수있는 엔지니어는 좀체 보기 힘들죠. 전기과 이시면 전력전자 공부하셨을테니 모터 제어기 회로 설계쪽으로 가셔도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