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25 14:59:11
Name 런트-o-v
Subject [질문] 수입차 입문 관련 여러분들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pgr21 눈팅만 15년정도 한것 같은데 글은 처음 써보네요 반갑습니다.

25살 아반떼 첫차 새차로 샀고 4년정도 타다가 지금 sm5 타고 있으며,
요즘 bmw5시리즈나 아우디a6 등 독일3사 중형급 차에 꽂힌 차에 관심 많은 사람입니다.

현재 제 상황을 말씀드리자면
나이 30초반 결혼4년차 현재 아이 한명(16개월, 곧 둘째 가질예정)
자가 소유(지방에 있는 신도시 30평대 새아파트이며 최소 20년안에 이사 계획 없음)
연봉 세전5천중반(매년 조금씩 올라감) 외벌이
대출 아파트담보대출 이제 거의다 갚았고 따로 모아놓은 돈은 별로 없음
외벌이다 보니 돈이 팍팍 모이는건 아니지만 당분간 큰돈 나갈일은 없습니다.

저나 와이프나 평소 씀씀이가 적은편이라 외벌이임에도 불구하고 1달에 평균 50-100 이상은 남습니다.

현재 13년식 sm5(95000키로) 타고 있고 아기 하나 태우고 다닐만 합니다. 둘째 태어나도 사실 크게 부족할 것 같진 않습니다.

제가 다른건 욕심이 없는데 언젠가부터 젊을때 외제차 한번 꼭 타보고 싶은 욕심이 생겨서요.

하루에 1시간 이상은 엔x, 보x드림 등 계속 기웃 거리네요.

제 가족 친척 친한친구 아무도 외제차를 타는 사람이 없어서 가늠이 잘 안되기도 하고..

그나마 제 친구 중에서는 조금 잘 풀린 편이라 너정도면 한번 도전해볼만 하지 않냐 라는 추상적인 답변뿐이네요.

물론 어찌보면 차도 소모품이고 허세일수도 있지만, 비싼 취미 생활 하나 생겼다 치고 젊을때 한번 질러보고 싶기도 합니다.

당장은 아니라도 향후 2-3년 내에 사고 싶고, 사게 되면 연식 짧은 2-3년이내 4만키로이내 신차급 중고도 생각 중입니다. 물론 중고로 사면 마통 일시불로 가능하구요.

막연히 외제차는 재벌, 갑부만 탄다는 인식이 있었는데 요즘은 아닌것 같기도 하고

이정도만 해도 한번 타볼만 할지, 아니면 아이들이 크면 돈이 더 나가니 모험을 하지 말아야 할지ㅠ

이왕이면 경험자분들의 여러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빈지노의곶감
20/05/16 19:52
수정 아이콘
과연 코인사셨을지...
런트-o-v
17/12/25 15:22
수정 아이콘
요약하자면
1. 기혼 자녀있음
2. 집 있음
3. 대출없음
4. 외벌이

이 상황입니다.
완성형폭풍저그
17/12/25 15:23
수정 아이콘
모은 돈 없이 한달 저축 100만원이면 좀 어렵지 않을까요.
계획을 5~10년 미루시면 어떨까요??
런트-o-v
17/12/25 16:56
수정 아이콘
당장 산다는 건 아니고, 나중에 살 건데 막연히 제 수준으로 살면 생활이 어떨지 궁금한 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보석상
17/12/25 15:39
수정 아이콘
제 기준 카푸어입니다
뭐 각자의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존중합니다
런트-o-v
17/12/25 16:5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잘 새겨 들었습니다.
17/12/25 15:40
수정 아이콘
매달 여윳돈이 100만 원이면 너무 빠듯해 보입니다. 520d 같은 거 사더라도 아마 5천 대 중반 넘어갈 텐데 자동차 할부금만 몇 년 갚으시겠는데요?
앞으로 몇 년 계획을 차에 올인한다는 건데...물론 개인 선택이겠지만 저라면 살짝 보류할 거 같습니다.
런트-o-v
17/12/25 16:59
수정 아이콘
본문에 있듯이 당장 살건 아니고 3년 후에 사면 최소 3천이상은 모아놓을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비싼차 사면 당분간 차에 어느정도 올인이 되겠죠. ㅠ
감사합니다.
여자친구
17/12/25 15:42
수정 아이콘
제네시스기준으로 24개월할부하니 한달에 약 240정도 나가더라구요. 수입차도 그정도 가격대고
보통 연봉수준대의 외제차를 고르게되니 2천이상의 목돈이없으시면 좀 더 내공을 모았다가 맘에드는 브랜드 새 차로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잠깐타고 팔아버리실거아니시면 보증기한 밖이면 유지비도 휙 올라가서 새차 사서 타시다가 팔거나 쭉 타시거나하는게 나을것같아요.
런트-o-v
17/12/25 17:01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17/12/25 16:07
수정 아이콘
눈에 들어오는 수입차는 차값만 최소 5천이상이 깨지고, 유지비도 지금보다 2~3배이상은 각오해야할겁니다.
한달 100만원씩 꼬박꼬박 저금해도 5년치 이상을 그대로 쏟아부어야 가능하다는거죠.
결국 현재처럼 월 100 정도 남아선 살림이 빠듯해질거라고 봅니다...
런트-o-v
17/12/25 17:02
수정 아이콘
유지비는 보증 때문이 생각보다 나갈일 없다고 하더라고요.
의견 감사합니다.
wish buRn
17/12/25 16:57
수정 아이콘
차량가격 =연봉*0.5라고 생각해서..
극히 주관적으론 비추네요.
런트-o-v
17/12/25 17:0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 하였으나 제 주변을 보면 집대출은 기본으로 껴있고, 외제차도 할부로 거리낌 없이 지르는걸 보면서 저도 생각이 바뀌었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런트-o-v
17/12/25 17:18
수정 아이콘
글쓴이입니다.
일단 집이 있고 대출이 없어서 생활비 외에 나갈돈이 없음에도 생각보다 부정적 의견이 많네요.ㅠ
외제차 타려면 건물도 몇개 소유하고 연봉 1억이상은 되어야 하는 것일까요~~~
남극소년
17/12/25 17:22
수정 아이콘
결국 자기만족이니까 답은 없다고 봅니다. 본인 마음가는대로 하시면 되는데 상당한 부담은 될꺼라고 생각하시면 될듯.
블랙핑크지수
17/12/26 02:08
수정 아이콘
아니요 그냥 선입금할금액 2~3천 사이만 맞추면 타는데 아무지장없을거같습니다

천만원으론 좀 불안해보여요
아스날
17/12/25 17:25
수정 아이콘
제 기준에서는 과소비인것같습니다.
그랜져, k7정도가 적당한것같긴한데요..
그래도 외제차 타고싶으시면 새차로 3년정도만 타고 파시는게..
싸구려신사
17/12/25 17:25
수정 아이콘
이런저런 주변얘기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원하는거면 그냥 사시면 되죠.
이더리움 사세요
17/12/25 17:51
수정 아이콘
인생 한번 밖에 안 삽니다
젊어서 적당히 안 지르면 죽기 직전 눈 감을 때 생각날꺼예요
흘레바람
17/12/25 17:52
수정 아이콘
애기가 커가면서 돈이 더 많이 들거고 둘째 생기면 더 드는 것 정도 고려하시고
지르시면 될듯합니다. 근데 외제차도 완전눈에 들어오는건 힘드실거고 타협을 조금 하셔야 할것같아요 흐흐
배고픈유학생
17/12/25 18:10
수정 아이콘
처자식 딸려 있음 자기만족을 포기해야 되는게 현실이니 ㅜㅜ
17/12/25 18:31
수정 아이콘
본인 자금안에서 대충 해결이 되니까 지르는데 문제는 없는데,
들어가는 비용때문에 포기해야하는 효용과 외제차로 얻는 효용의 비율이 별로 일겁니다.
외제차로 얻는 만족감은 여유자금이 주는 안정감을 절대 못넘어섭니다.
젤리베어
17/12/25 18:50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하시네요. 저도 요즘 외제차 사려고 두리번거리고 있습니다.흐흐
2~3년내에 사실 생각이시면 한달에 몇십씩 모아서 현금 좀 모아서 사시면 되겠네요.
사실 수도권처럼 집값이 많이 나가는것도 아니고 지금 아파트 대출도 거의 다 갚으셨으면 외제차 하나쯤 괜찮을듯 합니다.
어차피 인생은 자기 만족인데 외제차 타고 그만큼 만족 얻으면 되죠.
17/12/25 18:52
수정 아이콘
이미 아이가 있는 상황이면 차라리 아이들이 어느 정도 자라서 말로 컨트롤 가능할 때 사는것도 좋을 것 같은데요. 일곱여덟살까지는 뒷자리 시트가 더러워지고 앞자리 뒤 시트를 발로 차서 지저분하게 하는건 기본이라..
평행선
17/12/25 18:56
수정 아이콘
어지간한 소비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그건 집도 없으면서 수입 믿고 지를 때 얘기고,
집이 있으시고 정말 향후 20년 동안 이사 계획이 없으시다면 (이게 좀... 힘들 것 같긴 한데요; 나중에 더 큰 집을 향한 욕구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서요)
지르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런트-o-v
17/12/25 20:03
수정 아이콘
글쓴이입니다.

드림카는 맘속으로만 영원히 가지고 있을지, 후회하더라도 지르고 후회할지,

당장 살것도 아닌데 막연한 궁금증으로 뻘글 올려보았습니다.

답글 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연말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보석상
17/12/25 20:10
수정 아이콘
코인에 천만원 박고
대박 BM5
쪽박 SM5
17/12/25 22:15
수정 아이콘
전 천오백 코인에 넣어놓고 10배되면 외제차살려구요..
맥핑키
17/12/26 08:18
수정 아이콘
드림카가 5시리즈 급의 중형세단 라인이라면 지르세요.
디젤 지르면 뒷감당 안되니 가솔린으로 지르면 문제 없습니다.
유지비는 향후 2년 정도는 현재보다 적을테고, 2년 동안 만족스럽게 탄 뒤에 유지 가능할지는 그 때 생각하고 판매나 잔존을 결정하시면 됩니다. 가솔린을 사는 이유가 이것 때문이고요.
첫차도 아니고 세단으로 이상한 튜닝 하실것도 아니고 순정으로 얌전하게 타시면 충분히 유지 가능합니다. 여차하면 팔아버리면 되요
상한우유
17/12/26 14:58
수정 아이콘
중고로 사세요. 요새차들 고장 쉽게 안나요. 소나타 새차 살 돈이면 3년 지난 e 세그먼트급 왠만한거 다 삽니다.
17/12/26 16:01
수정 아이콘
외제차라고 유지비가 엄청 더 나가진 않습니다. 연식과 차량 상태가 중요한거고요. 오히려 잔고장은 적은 편이지만
사고가 나면 부품값이 후덜덜한 개념이라서요.

드림카가 5시리즈면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느낌은 3과 5는 옵션차이 정도라 3까지만 눈맞추시면 좀 더 여유 생기실겁니다.

프로모션 기간 잘 맞추시면 할인폭이 워낙 커서 중고랑 신차랑 차이가 많이 안납니다.
거기다 보증기간을 고려하면.. 개인적으론 신차 추천하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783 비밀글입니다 삭제됨4901 17/12/25 4901
113782 [질문] 스타 리플레이 화면조정 질문드립니다 Almighty3063 17/12/25 3063
113781 [질문] 블레이드 앤 소울 관련 질문입니다 [3] 자판기냉커피1725 17/12/25 1725
113780 [질문] 티브이 관련 질문입니다. 미도리1397 17/12/25 1397
113779 [질문] 스타1 3:3 최고의 조합은.. [14] 게닛츠3234 17/12/25 3234
113778 [질문] [조립컴퓨터] 이륙허가 부탁드립니다. [6] Le_Ciel2845 17/12/25 2845
113777 [질문] [카메라] 카메라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목욕탕은사계절1900 17/12/25 1900
113776 [질문] 수입차 입문 관련 여러분들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32] 런트-o-v5308 17/12/25 5308
113775 [질문] 탄저균 백신이 치료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건가요? [6] occla2620 17/12/25 2620
113774 [질문] 지금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하고 있는 크리스마스 마켓 주차 많이 힘들까요?? [1] 원스1835 17/12/25 1835
113773 [질문] 대한민국에서 1:1 싸움 최강이다 vs 그건 아니다 . [47] 게닛츠7105 17/12/25 7105
113772 [질문] 사자성어가 도저히 안 떠오릅니다. [6] 삭제됨1722 17/12/25 1722
113771 [질문] 라스트제다이 vs 저스티스리그 올해 최악의 영화는? [21] 뽀유3066 17/12/25 3066
113770 [질문] 요즘 태블릿 고민인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1] darknight2288 17/12/25 2288
113769 [질문] 자신이 생각하는 역대 개그맨 순위 [20] paramita3942 17/12/25 3942
113768 [질문] 좋은 문학 작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연어초밥4338 17/12/25 4338
113767 [질문] 스팀음성 설정-마이크 인식불가 질문드립니다. 파쿠만사10185 17/12/25 10185
113766 [질문] [물고기] 어항 사이즈 고민입니다. [3] 이명헌2098 17/12/25 2098
113765 [질문] 군대에서 공부하려고 PMP 샀는데 내년부터 강의 제공이 안되네요 [3] 삼동이3456 17/12/25 3456
113764 [질문] 라식 후 충혈이 너무 심합니다 [2] -Aka4458 17/12/25 4458
113763 [질문] 핸드폰에 해킹앱이 깔린 것 같습니다 [6] kpmmh7503 17/12/25 7503
113762 [질문] 걸그룹 수록곡orr발라드 명곡 추천이나 공유부탁드립니다 [16] 초코파이2826 17/12/25 2826
113761 [질문] 회사 송년회 회식 자리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게임 같은 거 있을까요 [7] 트와이스정연6390 17/12/25 63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