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15 12:48
향후 커리어는 어차피 지금에서는 판단 불가능한 부분에 가깝구요.
저라면 일단 장기간 일하겠다는 생각이 있으시면 근무여건, 3~5년 사이에 이직을 해서 가치를 높이고 싶다 하면 초봉 높은 곳이라는 일반적인 얘기밖에는 못해드리겠네요;;; 회사 위치는 가까우면 좋죠;;;;
17/11/15 13:06
이직을 할 때 연봉협상의 근거가 되는 부분은 " 내가 지금 얼마를 받고 있는가 " 입니다.
연봉상승이라는게 기적적으로 막 20% 올려주고 그런게 아니다 보니 초봉이 절대적으로 중요하긴 합니다. ( 전문직 제외 )
17/11/15 13:19
커리어는 판단 불가능이구요, 저라면 (초봉 차이 많이 안난다는 가정하에) 위치를 봅니다
재경쪽은 야근이 꽤 있을수도 있는데 위치가 가까우면 그나마 덜 피곤해요. 제 기준으로는 집에서 20분 이내인 회사는 1시간 거리에 있는 회사대비 초봉이 (세전) 500~700 낮아도 더 좋은거 같아요 흐흐 뭐 그외에는 잡플래닛 이런거 보면서 대충 회사 문화를 파악하면 되겠군요.
17/11/15 13:22
잡플레닛기준으로 초봉은 높은 곳이랑 낮은곳이랑 1300정도 차이 나더라고요. 근데 또 높은 곳은 위치가 멀고 잡플레닛보면 경력직을 우선해서 공채가 힘이없는 특이한 구조라고.. 오히려 어느회사 출신인가로 라인이 생긴다고 하더라고요.
나머지 두군데는 둘다 시청 을지로라 경기도민 입장에선 거기서 거기인것 같네요.크크
17/11/15 13:43
현재 물류기업 재경팀 재직잡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재경부서에 있어서 커리어는 중요치 않다고 봅니다.
본인이 전산회계쪽을 얼마나 잘다루느냐 (sap든 오라클이든,더존이든) 세법이나, 회계지식 혹은 자격증을 얼마나 더 획득하고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저같은 경우는 상장 회사다 보니 분기별로 회계감사가 있는데 감사 기간중 1~2주간은 뭐 거의 풀야근이고, 4년에 한번정도 세무조사 도 나오는데 그 기간중에는 거의 한달여를 야근하다보니 집가까운게 회사 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중 하나라는걸 몸소 깨닳았습니다. 업무강도 부분은 아무래도 재경팀 규모가 있다보면 업무 분할이 잘되어 낮을 수도 있으니 (저희팀은 12명입니다) 그것도 잘 참고 하시면 좋겠네요.
17/11/15 13:52
저번에 중견기업 면접볼때 회계부서 업무강도 들은적 잇냐고 하셔서 연말에만 바쁜걸로 알고있다고 하니까 옆에 계신 대리님정도 돼보이시는 분이 살짝 웃으시더라고요 크크
연봉 제일 많이 주는 곳이 공교롭게 또 제일 멀어서 참.. 더 고민하게 되는것 같아요. 괜찮으시다면 쪽지보내도 될까요??
17/11/15 13:48
커리어 부분은.. 개인적인 판단입니다만,
1. 동종업계의 회계처리가 유니크한지 아닌지 여부(건설업계의 진행률매출 인식, 제조업계의 원가회계) 2. 회사가 상장법인인지, 비상장외감법인인지 여부 3. 들어가기는 회사의 향후 세무조정이 자율인지, 세무밥인에 일괄 맡기는지 여부 4. 내가 맡을 법인의 직무범위 여부(결산? 공시? 세무? 단순출납 및 전표처리? 부가세?) -> 이 부분은 일하는 시점이 아니면 판단 불가하니.. 4번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개를 보겠습니다. 급여측면은 언급하지 않으셨으니 패스하겠습니다. 저는 건설업 회계팀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