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13 15:53:22
Name 성큼걸이
Subject [질문] 신용카드가 체크카드보다 어떤 점에서 낫나요? (수정됨)
사회 초년생입니다

대학생때까지는 체크카드로 근근히 살다가

직장생활 시작하고 다른 직장인들이 신용카드 쓰길래 당연히 그렇게 하는건줄 알고

핸드폰 사는김에 연회비 저렴하고 통신비 깎아주는 신용카드 만들어 썼습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연말정산이란걸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모의로 계산해봤는데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차이가 크더군요

신용카드는 쓴 금액의 15%, 체크카드는 30% 보상이라

체크카드 쓰는게 연말정산에서 훨씬 이득이더라구요

신용카드의 포인트 적립이나 혜택 같은걸 훨씬 상회할 정도로요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체크카드를 놔두고 신용카드를 쓰는 어드밴티지가 뭘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정비
17/11/13 15:58
수정 아이콘
카드사용액의 연말정산 적용액은 급여가 적으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나 별차이 없습니다.
총급여의 25% 이상 금액부터 적용이 되고, 한도금액도 정해져 있으며... 어차피 낸 돈을 돌려받는게 연말정산이라
급여가 적으면, 정산 되는 세금도 굉장히 적거든요.
프링글스할라피뇨
17/11/13 15:58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의 기본은 '지금' 없는 돈을 카드사가 대납해주는데 있죠. 흐흐.
17/11/13 15:59
수정 아이콘
이번달의 나와 그다음 달의 나와 다다음달의 내가 합치면 못살것이 없다?
배두나
17/11/13 16:00
수정 아이콘
저 같은 경우에는 약 100만원 정도는 신용카드 캐쉬로 남겨줍니다.
혹시 언제 100만원이 필요할지 모르니까 신용카드로 결제해서 현금을 들고 있죠 (...)

그 외에도 주유 혜택도 좋고 마일리지도 있고.. 음.. 포인트로 현물도 구매할 수 있고.. 뭐 자세히는 모르지만
제 경우에는 첫 이유가 가장 큽니다.
라플비
17/11/13 16:03
수정 아이콘
그리고 당장 컴퓨터 70~80만원을 사면 내야 할 다른 공과금이나 생활비가 팍 줄어들고 없어지는데 신용카드를 통한 할부, 특히 무이자로 할부를 하면 매달 돈은 일정 이상 빠져나가지만 이달의 생활이 안정적이게 되죠.
물론 이것도 절제를 해야 하지만 저도 느껴본바, 확실히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는 것 자체는 제 기준으로 플러스입니다.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마이너스가 되는 것이고...

게다가 혜택은 말 그대로 체크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꽤 큰 편입니다. 특히 주유를 많이 하는 사람들의 주유 혜택이라든가, 쇼핑을 많이 하는 사람들의 쇼핑 혜택이라든가.
17/11/13 16:05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와 체카의 차이는
1. 연회비
2. 혜택

연말정산에서 이득이 되기위해서는 연 수입이 4천비슷해야될거에요. 보통 직장인들은 기본 공제정도로 끝납니다.
그리고 신카, 체카 혜택은 거의 마지막 단계라서 거의 차이 없구요.

일단 신카가 이론적으로는 무조건적으로 좋습니다. 같은 금액을 써도 돌아오는 혜택이 훨씬 많습니다.
다만 자신의 사용습관등을 고려하고,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찾아야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체카처럼 나가는 금액이 바로 체감되는것과는 달리 신카는 나가는 금액을 계속 체크하지 않는한 망각하는 경우가
왕왕 생깁니다. 그러면 평소 지출보다도 크게 나가는 경우도 생기고 하죠.
17/11/13 16:09
수정 아이콘
저도 산적A 님의 의견과 같습니다.

확실한 건 신용카드를 쓰다보면 통장에서 빠져나가는 돈이 바로바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평소 지출이 커지는 건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신카 짤라버린 1인..ㅠ
피식인
17/11/13 16:09
수정 아이콘
1) 소득공제의 체크카드 30% 혜택은 해당 혜택이 가능한 한계 사용 금액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계 금액보다 충분히 많은 소비를 한다면 해당
금액 만큼은 체크카드로 소비를 하고, 해당 금액 이후는 신용카드를 사용해 신용 카드 혜택을 볼 수 있겠죠.
2) 신용카드의 장점은 말그대로 '신용'에 있죠. 일단 쓰고 나중에 돈을 채워 넣으니까 통장에 돈이 없어도 우선 소비가 가능하죠.
3) 2번의 연장선상인데 할부가 가능합니다. 체크카드는 안되죠.
4) 사소한 문제지만 오후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에 각 은행별로 정산 시간이 5~10분 정도 있습니다. 해당 시간(은행마다 다름)에 체크카드는 먹통이 됩니다.
17/11/13 16:11
수정 아이콘
한 달 치 월급을 땡겨쓸 수 있습니다......,



는 진담 반 농담 반이고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신용카드쓰면 거의 한 달에 몇 만원씩도 절약가능합니다.

게다가 신카 주기적이로 쓰고 잘 갚으면 개인 신용도에도 좋은 영향을 줘서 차후 금융거래 할 때 유리합니다.
피식인
17/11/13 16:15
수정 아이콘
이것도 맞는거 같아요. 신용도는 돈을 안빌리는 사람보다 돈을 빌리고 잘 갚는 사람이 더 높다고 하더라구요. 신용카드가 내가 사고 싶은 물건은 카드회사 돈으로 사고, 카드회사에 돈을 갚는 개념이죠.
모모이 하루코
17/11/13 16:11
수정 아이콘
제가 가장 느낀 큰 혜택은
후불교통카드였습니다... 귀찮게 교통카드 충전할 일이 없음
요즘은 체크도 후불교통 달려서 나오는데 예전에는 그게 잘 안됐어요...
17/11/14 06:25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저는 2004~5년쯤부터 거의 항상 체크카드로 후불교통카드 찍고 다녔는데…
덮어쓰기
17/11/13 16:24
수정 아이콘
혜택이 넘사벽입니다.
소득공제 사실 받기도 힘들고 체감도 별로 안큽니다.
소득이 크고 소비가 적다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공제되는 구간까지 안쓰고 아끼는게 훨씬 이득입니다.

다만 자제력은 필수입니다.
평소 체크카드로도 충당금(?)정도 남기며 잘 쓰던 친구는 신용카드도 알맞게 잘쓰는데, 있는거 다 쓰던 친구는 미래의 나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며 소비를..
17/11/13 16:25
수정 아이콘
월급을 미리 탕진하기에 좋음?...
양념반자르반
17/11/13 16:33
수정 아이콘
딱 소비를 잘 할 자신이 있다면 신카가 훨씬 좋다고 봅니다.
하지만 전 잘 할 자신이 없습니다(?)
Harry Hole
17/11/13 16:58
수정 아이콘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 또 그다음달의 내가 힘을 합치면 못살것이 없습니다?
박현준
17/11/13 17:44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 나 자신을 믿는다는거죠. 미래의 내가 용서해 주길 바라며 마음껏 쓸 수 있죠.
17/11/13 18:11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가 피킹률이 체크카드보다 좋죠. 직업만 안정적이면 전 신용카드 사용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7/11/13 18:55
수정 아이콘
연봉에 비해 씀씀이가 작기때문에
교통비 통신비가 할인되는 신용카드가 더 이득입니다.
일년에 20만원 정도 혜택받는것 같습니다.
17/11/13 19:12
수정 아이콘
소비가 극대화...; 그리고 기타 포인트들? 할인 등등.. 체크카드는 그냥 캐쉬지급외에는 기능이 없죠
17/11/13 21:26
수정 아이콘
1월부터 12월까지 12명의 내가 힘을 모아서 한명이선 불가능한 장난감을 12개월 무이자로 살수가 있습니다
아르카
17/11/13 21:50
수정 아이콘
무이자 할부가 엄청 크죠.
17/11/13 22:37
수정 아이콘
할인혜택
낭만원숭이
17/11/14 01:46
수정 아이콘
회사를 못그만둬요
cadenza79
17/11/14 12:56
수정 아이콘
외상이면 소도 잡아먹습니다.
예전에 동네 수퍼에서 외상장부 쓰던 게 전국 단위로 바뀐 게 신용카드입니다.
그러니 신용카드에 혜택도 더 많이 주는거죠.
체크카드 쓰시는 분들은 대부분 외상을 극도로 싫어하는 분들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810 [질문]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습니다. [9] Part.34759 17/11/13 4759
111809 [질문] 신용카드가 체크카드보다 어떤 점에서 낫나요? [25] 성큼걸이3851 17/11/13 3851
111808 [질문] 영양제 추천해주세요 [1] 잠원동김군2200 17/11/13 2200
111807 [질문] 지스타 개막일 당일치기 가려고 합니다.. [4] 트와이스 나연2152 17/11/13 2152
111806 [질문] 아이폰 캘린더 동기화 질문입니다. 기다1807 17/11/13 1807
111805 [질문] 크레마루나 다운 덜 되게 하는 방법 없나요? 탄야2523 17/11/13 2523
111804 [질문] 싸움이 났는데 치료비를 다 물어줘야 하나요 [15] char3902 17/11/13 3902
111803 [질문] 중고 신입 이직 고민 입니다. [10] 사신군3247 17/11/13 3247
111802 [질문] 사무실용 난로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En Taro2271 17/11/13 2271
111801 [질문] 주식 vs 학교 선택 [30] 다크나이트15664 17/11/13 5664
111800 [질문] oled계열은 폰을 써도 될지 걱정이네요. [8] 우리는 하나의 빛3029 17/11/13 3029
111799 [질문] 1000일 기념 선물 or 계획 조언 부탁 드립니다. [6] 삭제됨3069 17/11/13 3069
111798 [질문] PP카드 발급되는 신용카드 추천해주세요! [9] 김솔로_35년산4787 17/11/13 4787
111797 [질문] 곱슬머리가 직모로 변신?? 할수도 있나요?? [10] 7845 17/11/13 7845
111796 [질문] 리메이크&샘플링 한 좋은곡 추천부탁드립니다. 토폴로지2194 17/11/13 2194
111795 [질문] GTX 1070 TI를 구매할까 말까 고민입니다. [10] 파란샤프4369 17/11/13 4369
111794 [질문] 강남역 주변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굴리2517 17/11/13 2517
111793 [질문] 남자 넷이서 2박3일 국내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어디가 좋을까요? [11] 光海5268 17/11/13 5268
111791 [질문] 입 닫고 생활하고 싶습니다. [6] 코인괜히시작3094 17/11/13 3094
111789 [질문] 영업직 혹은 영업해보신분들 어떤가요? 스트레스 받나요? [19] 빛날배 9255 17/11/13 9255
111788 [질문] [lol]자야 궁극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6] 폰독수리3010 17/11/13 3010
111787 [질문] 가상화폐에 관한 좋은 도서나 글 있을까요? [2] Total1714 17/11/13 1714
111786 [질문] 결혼과 종교 [30] 피정4227 17/11/13 42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