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03 21:08:53
Name 정공법
Subject [질문] 초보자가 도전하기 쉬운 음식은 뭐가있을까요?
내일 뭐좀 해먹고싶은데

요리하기쉬운 음식 뭐가있을까요?
생각해본게 닭도리탕나 제육볶음인데

이것들 하기어럽나요?

아니면 쉽고 초보가해도 맛있는 음식 추전부탁드립니다
국종류는 생략할께요 ㅜㅜ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skt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03 21:12
수정 아이콘
김치찌개, 부대찌개가 젤 낫죠. 김치 자체가 이런종류에서는 최고죠
정공법
17/11/03 21: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 부대찌개 좋네요
구구단
17/11/03 21:13
수정 아이콘
김치볶음밥, 카레가 정말 쉽고 맛있죠.
사나없이사나마나
17/11/03 21:1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보쌈이 재료만 갖춰지면 정말 쉬웠습니다. 그냥 다 넣고 오래 끓이기만 하면 끝.
제육볶음이나 닭도리탕도 정말 간단하죠. 양념장은 인터넷에 올라와있는 레시피대로 만들던가 아니면 요새는 파는 것도 잘 나와서 그냥 그거 하나 사서 버무려서 볶거나 끓이기만 하면 되죠. 찜닭도 마찬가지고요.
스타나라
17/11/03 21:18
수정 아이콘
초보자가 하기 쉬운 음식은 간을 맞추기 쉬운 음식입니다.

보통 김치가 들어간 요리가 초보자가 하기 쉬워요.

김치찌개를 끓일 때 고기 300g넣고, 김치 많이, 고추장 3숟가락 정도 넉넉히 넣고 물 넣고 끓이면 끗. 가장 쉽습니다.

보통 요리를 못한다면, 요리를 태워먹거나 간을 못맞추는 경우인데, 김치찌개는 다른 준비물 없이 고기, 김치, 고추장이면 끝이거든요. 좀 싱거우면 김치국물 넣거나 고추장을 더 넣으면 되고요.
정공법
17/11/03 21:22
수정 아이콘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딱볶이는 한국인 패시브아닌가요 ㅜㅜ?
화잇밀크러버
17/11/03 21:25
수정 아이콘
사실 불고기도 쉽습니다. 고기 양파 파 고추장 넣고 볶기만 하면 되거든요.
17/11/03 21:26
수정 아이콘
요새 검색하시면 레시피가 정말 많아서 잘 따라만 하시면 실패는 안 하실겁니다.
Meridian
17/11/03 21:28
수정 아이콘
집밥 백선생 레시피 검색해보시면 정말 쉽습니다. 계량이 다 종이컵이라 감 찾기 좋아요
정유미
17/11/03 21:32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 백선생 레시피로 나오는 건 다 쉽습니다. 계량이 정확해서.. 파스타도 꽤 쉽습니다.
강미나
17/11/03 21:42
수정 아이콘
물을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적게 넣으세요. 초보가 요리를 못하는 이유 중 가장 큰 게 물을 많이 넣기 때문입니다.
피카츄백만볼트
17/11/03 21:44
수정 아이콘
경험상 왠만한 요리는 인터넷 레시피 따라하면 실패 안합니다. 레시피를 안따라하고 감으로 하는 순간 패망하기 딱 좋습니다.
17/11/03 21:46
수정 아이콘
그리고 가스렌지를 최대로 틀지 않고 중불로 요리하시면 일단 태워먹지 않습니다.
복타르
17/11/03 21:48
수정 아이콘
마리텔 백종원 요리들 대부분이 초보분들을 위한 요리들입니다.
개발괴발
17/11/03 21:59
수정 아이콘
시키는 대로 잘 하는 분이 요리를 잘 합니다.
어줍잖게 요리는 손맛이지!!! 하는 분이 요리를 못 합니다.
17롤드컵롱주우승
17/11/03 22:02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군대에서 드셧던 메뉴들이 대부분 쉽습니다 크크
가격,영양,난이도 만족하는게 계란요리가 좀많구요
정지연
17/11/03 22:19
수정 아이콘
백종원이 알려주는 요리는 거의 대부분 쉽습니다..
러블리즈서지수
17/11/03 22:48
수정 아이콘
수제비도 쉽구요 스페인식 오믈렛인 또르띠아 파타타 같은 것도 뭐 금방 따라할 정도
17/11/03 23:02
수정 아이콘
가장 만들기 쉬운 음식이 라면이라 했을 때 스파게티나 카레가 라면에 가깝습니다. 여기서 좀 더 나아가면 찌개류인데요. 멸치다시만 우리면 대충 맛납니다. 김치찌개, 된장찌개, 부대찌개 같은 거요. 부대찌개 경우는 멸치다시 대신 시판 곰탕 육수 넣으면 되고요. 제육볶음이나 불고기 볶음밥은 불조절 힘들어서 개인적으론 비추입니다.
GregoryHouse
17/11/03 23:11
수정 아이콘
재료손질이 간단한 + 손질된 재료를 구할수 있는 음식도 추천합니다
요새는 닭볶음탕용 제육볶음용 손질이 미리 되어있어서 편하긴 한데 의외로 부재료(닭볶음탕에 감자 당근 등) 손질이 질 안되면 맛이 요상해질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엔 조림, 볶음 보단 찌개 국류가 간맞추고 하는게 더 쉽습니드
치토스
17/11/03 23:23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미역국 끓여 봤는데 엄청 쉬웠습니다.
참고로 저는 요리 초짜구요
My Poor Brain
17/11/03 23:32
수정 아이콘
삼치 고등어 전자렌지 1분 돌리고 프라이팬으로 색만 내면 됩니다.
에베레스트
17/11/03 23:33
수정 아이콘
닭도리탕 추천합니다. 제가 처음으로 도전해본 요리같은 요리가 닭도리탕이었는데 해보고 무척 만족스러웠습니다. 내가 요리를 할 수 있구나하는 자신감을 갖기에 좋은 요리라 생각합니다. 국이나 찌개같은 것들이 더 쉽긴 한데 얘네들은 밥반찬이라 그것만으로 요리를 했다라는 느낌이 잘 안드는데 닭도리탕은 해놓고 나면 꽤 뿌듯합니다. 그리고 고추장과 설탕이 기본양념인데 얘네 둘 조합은 소금이나 간장같은 것들에 비해 실패할 확률이 적은 편입니다.
고양이맛다시다
17/11/04 00: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리하기 쉽다 = 재료손질 + 조리과정 + 뒷처리 가 모두 쉬워야 하고.. 또한 만족도가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매일 쉽게 먹는 김치찌개나 된장찌개는 요리하긴 쉬워도 왠지 모르게 매일 먹어서인지 만족도가 낮아지죠.

제가 가장 최근에 해본 쉬운 요리는 홍합탕이었는데요, 홍합을 씻어서 넣고 소금 마늘 고추만 넣고 끓이면 됩니다.
그런데.. 홍합탕은 술안주에 1회용으로 적합하므로.. 대신에 바지락탕도 좋습니다.
뭐 이것저것 들어가겠지만 기본은 소금, 마늘, 고추입니다.

매운 요리를 먹고 싶으시다면 그냥 백종원 레시피 검색하셔서 설탕 조금만 줄이고 요리하시면 좋습니다.
R.Oswalt
17/11/04 02:46
수정 아이콘
자취할 때 보쌈, 돼지고기 청경채볶음 자주 해 먹었습니다. 구이로 먹을 삼겹, 목살 쓸 필요 없이 뒷다리로 후려쳐도 맛있습니다.
보쌈은 소주 좀 부어놨다가 냄비에 물이랑 된장만 넣어도 됩니다. 월계수잎이니 그딴 거 없어도 돼요. 돼지 간장불고기도 그냥 간장이랑 설탕으로만 양념해도 그럭저럭 나옵니다. 시판 양념 쓰면 편하기도 하구요.
자게에 전자렌지로 수육 만드는 게시글도 있어요. 검색하시면 나올 겁니다.
17/11/04 04: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가장 쉬운건 카레요.
그리고 본문에 적으신 닭도리탕도 쉬운편이구요.


추가로 밀푀유나베도 좋아요.

손이 많이가서 귀찮기는 하지만 초보자가 어렵지않게 할 수 있으면서 퀄리티도 어느정도 보장되고, 누군가에게 내놓기에도 제법 그럴듯한 요리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여자친구
17/11/04 09:33
수정 아이콘
파스타요
네오크로우
17/11/04 15:28
수정 아이콘
먹고 싶고 좋아하는 거 (재료 구하기 쉬운 한식류) 도전하는 게 가장 쉽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336 [질문] 초보자가 도전하기 쉬운 음식은 뭐가있을까요? [28] 정공법4769 17/11/03 4769
111335 [질문] 땅에 머리를 박았는데 그 뒤로 눈에 뭔가 보입니다. [4] 물리쟁이2904 17/11/03 2904
111334 [질문] 버스차로(정류장) 위반 무조건 벌금인가요 ㅠㅠ? [8] 리나시타2463 17/11/03 2463
111333 [질문] 온라인 마이티 치실 분 계십니까? [11] vanillabean4417 17/11/03 4417
111332 [질문] 스1 리마스터 구입 후 컴퓨터 포맷을 했는데 어디서 게임을 다운받는거죠? [2] Santorini2436 17/11/03 2436
111331 [질문] PGR에서 본 영상인데 남자 2분안에 울리기? 비슷한 제목... [2] lefteye1841 17/11/03 1841
111330 [질문] 업무중 얼굴 건조하시면 로션 바르시나요? [2] DAUM1999 17/11/03 1999
111329 [질문] 건강 식품이 효과가 있나요? [9] 유정연꺼2758 17/11/03 2758
111328 [질문] 취준생 면접 준비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헛발질3063 17/11/03 3063
111327 [질문] 회사 선택 고민입니다. [28] 긍까3677 17/11/03 3677
111325 [질문] 주차 문콕문제로 조언 부탁드립니다. [15] 언니네 이발관2681 17/11/03 2681
111324 [질문] 조이로드 타이어 괜찮나요? opxdwwnoaqewu5605 17/11/03 5605
111323 [질문] 낚시 초보자 출조지 강화도 vs 시화방조제 [5] 원스2216 17/11/03 2216
111322 [질문] 차 선택질문(아반떼 신차 vs lf소나타 중고) [35] 덮어쓰기10071 17/11/03 10071
111321 [질문] 33살의 인생고민입니다.(나이 들어서 이게 무슨 .. 흑흑) [14] 삭제됨4941 17/11/03 4941
111320 [질문] 조립한 새 컴퓨터에서 담배냄새가 나는데요. [13] 뜨또7059 17/11/03 7059
111319 [질문] 위키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 초보자가 참고할 만한 것이 있을까요? 목화씨내놔1468 17/11/03 1468
111318 [질문] 중고 맥북 관련 두번째 질문 드리겠습니다. [6] Lighthouse1893 17/11/03 1893
111317 [질문] 과민성대장증후군이신 분 계신가요? [20] Mindow3988 17/11/03 3988
111316 [질문] [맞선] 호텔에서 만나면 부담스럽지 않을까요? [11] 사진6409 17/11/03 6409
111315 [질문] [이사]냉장고,세탁기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5] WHIPLASH2015 17/11/03 2015
111314 [질문] 갤럭시탭S3 vs 갤럭시북12.0 어떤게 나은 선택일까요? [6] 개념은?3519 17/11/03 3519
111313 [질문] 전열기구 추천좀 해주세요 [2] 톰슨가젤연탄구이1526 17/11/03 15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