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2 12:13:39
Name 펩시콜라
Link #1 http://www.ygosu.com/community/st/1077939
Subject [질문] 게임 관련 인터넷방송시, 상대의 동의 없이 이를 방송으로 내보내는건 문제 없는걸까요?
얼마 전 이성은씨 유투브 관련해서 사건이 있었고, 피지알에 그에 관련되어 고소에 대한 글이 올라왔었죠.
링크는 옆 커뮤니티에, 해당 사건의 당사자분이 도움을 주고싶다고 글을 올렸었네요.

이 일련의 사건을 보면서 떠오르는 의문은 제목처럼 '게임플레이를 상대방의 동의 없이 방송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입니다.

게임관련은 아니지만 과거에 인터넷방송인이 길에서 마구 카메라를 들이 밀었다가 제제를 받은 사건도 있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해당 사건은 "얼굴"이고, 게임관련 방송의 경우 "아이디"가 노출된다는것이 다른 점이죠.
"아이디"는 누군가를 특정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보는 것이 법원의 일반적인 견해라고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구글링 등이 문제가 된 경우가 많은데 아이디도 보호의 대상이 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피해자 특정성과 관련없이 두가지 문제점이 생각나는데,

첫번째는 게임 아이디가 현실의 나를 찾을 순 없을 수 있지만, 게임 플레이상에서는 아이디 그 자체가 해당 플레이어의 이름이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스타BJ와 매칭을 붙은 일반 게이머들에게 귓말테러가 가는 경우도 있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일단 아이디가 노출되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그 아이디로 게임하는걸 귀찮게 할 수 있죠. 위의 예를 든 귓말테러가 가장 쉬운 예구요.
스타야 아이디 다시 파면 그만일지 모르지만, LOL 등의 게임은 아이디를 새로 만드는것도 어렵다고 알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방송에 노출된 사람이 과연 해당 방송인의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어도 좋은가입니다.  물론 좋은게 좋은거라고 나는 그냥 게임하고, 상대방은 게임방송하면서 돈벌고 하면 문제 없을 수도 있겠죠. 그런데 이번 사건의 계기가 된 일처럼 방송인이 컨텐츠를 만들기 위해서 이상한 플레이를 하고, 거기에 당해주면서 상대방의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질게에 간단하게 적으려고 했는데, 제 생각을 적다보니 글이 좀 길어졌네요.
글을 잘 적지는 못했지만, 저는 상대의 동의 없이 멀티플레이를 방송으로 송출하는게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12 12:24
수정 아이콘
하면 안되는게 원칙적으론 맞다고 봅니다. 아이디 가리는게 어려운 것도 아니구요.
다만 그렇게 하기 어려운 특정 상황에서는 허용하되, 그 대상이 되는 사람이 컨텐츠를 삭제해달라고 하면 삭제해야된다고 봅니다.
파쿠만사
17/10/12 12: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만약에 이걸 못하게 한다면 인터넷방송에서 온라인게임방송은 아예못하게 되는것이니 거의 불가능 하지않을가 생각됩니다. 롤도 게임내 아이디 가리는 기능이 있다지만 전적사이트나 로딩화면이나 게임내 채팅창에도 노출이 되니 막는게 불가능하다고 생각되고요.. 만약이것까지 문제로 삼는다면 게임방송은 비온라인게임으로만 해야하는데.. 아무래도 그러기 힘들겠죠 어쩔수 없이 방송하는 사람이나 시청자가 배려해주는 방법뿐이 없지않을가 생각됩니다.

아 위 이야기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방송에 대해서 말씀드린거고 이성은 관련건처럼 VOD나 다시보기등에서는 해당본인이 요청하거나 하면 아이디를 가리거나 삭제해주는건 맞다고 생각됩니다.
펩시콜라
17/10/12 12:33
수정 아이콘
하지만 이미 관련해서 문제가 발생했고, 당사자는 아니지만 고소가 나오고, 당사자분도 이 소식을 듣고 다시 참여하기 시작하는등, 서로 배려로 넘어가기는 일이 많이 커진거 같습니다.
17/10/12 12:41
수정 아이콘
음, 이전에 활발히 논의될 때도 궁금했던 건데, 상황을 꼭 극단적으로 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스트리머와 같이 플레이한 사람이 실질적인 피해를 입었고, 영상을 내려달라 요청하는 상황은 내려주는 게 맞겠지만 스트리머와 같이 게임한 모두가 내려달라고 하지는 않으니까요. 원칙적으로 안되는 게 맞으면 온라인 게임은 아예 방송 못하겠네? 가 아니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쩔 수 없다'로 넘길 것이냐 원칙을 따를 것이냐의 문제가 아닐까 싶은데... 유명인, BJ와 게임한 게 영광일 수도 있겠죠. 그런데 압도적인 실력차로 신나게 털면서 스트리밍으로 못한다고 까대고, 채팅창에서 까대는 것만도 모자라 유투브 업로드까지 해서 귓말 테러까지 오는 경우에도 그 유저가 '원칙적으로' 이해하고 배려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로딩화면이나 게임내 채팅창은 일부 BJ가 방송 중 미니맵가리듯이 노출을 막을려면 못 막을 것도 아니고.. 전적 사이트에서 찾아 보면 똑같지 않냐고 해도, TV 방송 미동의 시 얼굴은 모자이크해도 누구 집인지 옷차림이 어떤지 모자이크되지 않은 영역 등으로 누군지 찾을려면 못 찾을 것도 아닌데 그렇게 안하잖아요. TV 방송 뿐만이 아니라 뉴스 기사로도 그냥 A씨라 해도 신상 털려면 못 터는 것도 아니고요. (난이도 차이는 있지만... 누가 그렇게까지 하냐의 문제..)

결국 정도의 문제 같습니다만, 원칙적으로는 안되는 게 맞다고 보고 이해하고 배려하되 거꾸로, 방송하는 사람이나 시청자도 미동의 상태로 출연하는 다른 일반인을 이해하고 배려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내려달라면 내려주거나요.
파쿠만사
17/10/12 12:51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약간 오해가 생기게 글을쓴거같네요 위에 배려 부분은 상대방 유저에 대한 부분은 아니고 방송을 진행하는 방송자와 그방송을 보고있는 시청자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쓴글이었습니다. 혼란을 드렸다면 죄송합니다.
위에 써주신것처럼 실시간방송에도 노출되지않게 하는 방법에대해선 저도 생각은 해보았는데 현실적으로 개인방송하는 사람이 그런부분까지 신경쓰면서 하긴 어려운면도 없진않죠 방송국 처럼 여러사람이 만드는 방송이 아니다보니 이런거 저런거 하다보면 방송하기가 너무 어려워지다보니.. 시청자가 많고 유명한 스트리머라면 당연히 생각해야할문제지만 현실적인 문제들도 많아서 그걸 방송하는 사람에게만 요구하긴 힘들지않나 생각됩니다.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은 게임개발사에서 옵션장치를 만들어 노출안되게 해주는게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초의인간
17/10/12 15:5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것처럼 게임개발사가 나서 준다면 정말 좋겠지만, 아이디만 가려 주는 서드 파티 프로그램 같은 것도 개발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당장은 생방송은 어쩔 수 없더라도 유튜브 같은 곳에 업로드하는 파일만이라도 모자이크 처리 같은 걸 할 수도 있고요. 게임 스트리밍 방송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척된 지 벌써 십 년쯤 되었고 매출 규모도 적지 않은데, 플랫폼도 그렇고 스트리머분들도 그렇고 그런 부분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점은 참 아쉽네요.
그리고 개인방송 사업자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이야 어느 정도 이해하지만, 장사 하려면 어디까지나 장사 하려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 주지 않는 방법을 찾는 게 기본적인 상도덕이 아닐까요. 이미 현실이 이러니 일반인들이 감내해야 한다는 것은 설득력이 약한 것 같아요.
염력 천만
17/10/12 12:31
수정 아이콘
먼저 생각해 볼만한건 게임회사에서 기술적으로 지원해줘야 할 것 같아요. 스트리머를 위해서 플레이어들의 닉네임을 완전히 가려주는 기능을 삽입한다면 좀더 현실적으로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안같고요
그런데 아이디를 가려주고 뭐고 나는 내 게임 플레이 자체가 다른사람 돈벌이로 사용되는걸 용납할수 없다(예를 들어 나를 양학하고 그걸 낄낄대는 스트리머와 시청자들) - 이건 참 어려운 문제가 되겠죠.
17/10/12 12:32
수정 아이콘
안 되는게 원칙적으로는 맞지만 모두에게 동의를 다 구하기고 영상들을 제작하기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암묵적으로 넘어간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컨텐츠를 보고 당사자가 불쾌해서 삭제 요청을 하면 지워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하고요.
윤하만
17/10/12 12:34
수정 아이콘
게임회사쪽에서 지원해주는게 더 편하고 빠른 길 같습니다. 옵션에 타인의 아이디 숨김/해제 기능만 넣어둬도 모두가 윈윈.. 채팅으로 스스로 존재감 드러내는 건 막아줄 필요가 없어보이구요..
엔조 골로미
17/10/12 12:40
수정 아이콘
게임회사에서 그런 기능을 지원해준다면 bj들에게 일정부분 수익을 분배받아야하는거 아닌가 싶네요 없어도 별상관없는걸 완전 개인 방송용으로 해주는거니까요
염력 천만
17/10/12 12:59
수정 아이콘
게임 스트리밍이 게임의 인기와 생명력에도 영향을 주기때문에 스트리머에게 일방적으로 이득이다라고만은 볼수 없습니다
게섯거라
17/10/12 13:08
수정 아이콘
아이디가 나왔다는 이유만으로는 어렵습니다. 아이디 또한 게임사의 재산권에 속하기 때문에 (아이템등과 비슷한 맥락) 아이디가 내거다라고 주장할 수 없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게임사가 불건전 아이디라고 아이디를 멋대로 바꾸는 행위등도 항의할수 있는데 그럼 엄청 귀찮아지죠. 하지만 스트리머가 그 아이디를 가지고 이러니 저러니 비하하거나 욕을 하면 그건 고소가 가능하죠.
1perlson
17/10/12 13:32
수정 아이콘
극단적으로 가면 온라인 대전을 콘텐츠로 하는 모든 방송은 불가가 되지 않을까요? 불편해서 불편하다보니 불편합니다.로 되는 모든 일이 그렇듯 중간 지점은 없다고 봅니다. 이게 해결이 되려면 완벽하게 익명인 게임이 되어야 하는데 롤로 따지면 전적조회가 불가능하게 되야 하는 것이니까요. 피해 입히는 사람들이 그냥 아이디가 보여서 그딴짓을 하겠습니까? 찾아서 피해를 입힐 정도니까 일이 커지겠죠.

악의적인 저격 포함해서 이것도 극단적으로 흐를 수 있는 문제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17/10/12 13:42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게임 스트리머도 대전상황을 컨텐츠화해서 먹고사는 업종인지라 그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저걸 막는다면 닼솔같은 콘솔패키지 게임만 스트리밍이 가능해지겠죠.

제 개인적인 감상은 방송상의 상대에게 욕설을 한 개청자 하나의 스노우볼링이 흑운장의 도의적으론 부스럼 만드는 아쉬운 대처 + 남의 일에 말 보태기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는 삼박자가 아주 아름답게 버무려져서 나온 사태가 아닐듯 합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7/10/12 14: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괜히 마리텔에서 다음팟 채팅창의 아이디를 모자이크처리하는게 아니죠... 원칙적으로는 공급자(스트리머)가 수익창출을 위해 하는 것이라면 사전공지, 방송 동의, 게임내에서 아이디 안뜨게 하는 세팅, 사후 모자이크 등의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키리하
17/10/12 14:48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에 빛돌님이 임의로 모아서 순간 했던 시청자큐에 어쩌다 참여한 적이 있는데요.
제가 리산드라해서 열심히 했었는데 옆에 방송을 켜두고 했었거든요. (빛돌님은 피즈 개인화면)
근데 그 판에 잘풀려서 나름 열심히 한 덕인지 시청자 분들이 "리산만 사람이네" 라는 말을 해주시던데
반대로 생각해보면 내가 못했다면 사람 아니라는 소리를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사람들한테 받았을거라는 생각을 해보니..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만 방송한다는 이유로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되는 거라서 사전 동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은 합니다.
특히 같은편 씹어대고 팀탓하고 이런 방송하시는 분들보면 특히 더 필요하겠네 라는 생각도 들구요.
최초의인간
17/10/12 15:51
수정 아이콘
아이디 등 온라인상에서만이라도 특정될 수 있는 정보라도 타인의 개인정보를 포함해 방송한다면 양해를 당연히 구해야겠죠. 나름대로 신뢰할 수 있는 공중파 뉴스 카메라만 들이대도 신경쓰일 수 있는 게 사람인데, 인터넷 방송이면 뭐 말 다했죠.
그리고 흔히 하는 멀티플레이 게임의 경우 상대방 아이디만 가리면 충분할 텐데, 그게 그렇게 기술적으로 힘든지도 모르겠고요.
설사 기술적으로 당장 쉽게 동원가능한 수단이 없다고 해도, 그리고 상업적 스트리밍 방송이 사실상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이 부분은 장사하려는 사람들이 알아서 개선해 나가야 하는 문제지, 해결책이 나올 때까지 같이 게임하는 일반인들이 감내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260 [질문] tv 구매 질문(추천요청) [1] The.Scv1590 17/10/12 1590
110259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스포티비) 문의드립니다. [5] StarLoL사랑1720 17/10/12 1720
110258 [질문] 인터넷에서의 네티즌 문화. [12] StarLoL사랑2592 17/10/12 2592
110257 [질문] 서울에 3달 정도 짧게 머물려는데 어디서 지내는 게 나을까요? [6] 삭제됨2715 17/10/12 2715
110256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OGN) 문의드립니다. [6] LG twins1872 17/10/12 1872
110255 [질문] 차알못이 질문드립니다. (QM3) [7] 소녀시대2756 17/10/12 2756
110254 [질문] 초 고화질 블박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도시의미학3339 17/10/12 3339
110253 [질문] 게임 한판하고 나면 팔,어깨가 너무 아픕니다 [11] ...And justice2941 17/10/12 2941
110252 [질문] 구청에서 내부 공문이 법령을 우선하나요? [5] 고분자2621 17/10/12 2621
110251 [질문] 게임 관련 인터넷방송시, 상대의 동의 없이 이를 방송으로 내보내는건 문제 없는걸까요? [17] 펩시콜라5868 17/10/12 5868
110250 [질문] [월세집] 집주인 행패??에 대처 할수 있는 방법은?? [5] 삭제됨2866 17/10/12 2866
110249 [질문] 아일랜드와 카탈루냐의 차이점이 어떤건가요? [9] 뽀유2545 17/10/12 2545
110248 [질문] 소규모 빵집 유지가 되나요? [11] 나른한오후3486 17/10/12 3486
110247 [질문] 블랙박스 설치 관련 질문입니다! [7] 수지2507 17/10/12 2507
110246 [질문] 롤드컵 질문입니다. [2] StarLoL사랑1683 17/10/12 1683
110244 [질문] 직장 내 사원의 부고가 생길 경우에 대해 [1] 나이스데이2267 17/10/12 2267
110243 [질문] 모음 없이 어떻게 발음이 되나요? [19] 성동구3298 17/10/12 3298
110241 [질문] 연예인 같은데 누군가요? [9] 레너블3416 17/10/12 3416
110240 [질문] 부산 먹거리 / 쇼핑 / 병원 질문 드립니다! [5] 삭제됨1621 17/10/12 1621
110239 [질문] 글을 찾습니다. (20대 남성/여성 거주지역 통계) 이수현이해인1665 17/10/12 1665
110238 [질문] 피파시리즈가 지금처럼 카드뽑기 게임이 된게 언제부터인가요? [6] Skyfall3560 17/10/12 3560
110237 [질문] 고양이 중성화] 윤신근 동물병원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9] ThisisZero6207 17/10/12 6207
110236 [질문] 스팀 지갑에 있는 잔액들은 환불이 안 되는 건가요? [2] 해피새우7934 17/10/12 79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