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9/25 19:15
제 주관이 담긴... 회화적 언어 구사 가능은
그 나라가서 억울한 일이 생겼는데 해당 국가 언어로 컴플레인 / 혹은 말싸움 할 수 있을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17/09/25 19:36
이성을 유혹할 수 있을 정도라고 들었는데 그거야 얼굴 잘 생기면 못해도 할 수 있는 일이고...
밥먹을때 옆테이블에서 무슨 얘기하는지 알아 들을 정도면 그 언어 구사한다고 생각해요.
17/09/25 21:22
기준을 어떻게 잡냐에 따라 다르죠.
롤 실력도 다이아 몇티어 이하로는 다 똑같다는 사람도 있고, 브실골플 명확히 다 차이난다고 하는 사람도 있구요. 롤은 뭐 티어 간 실력차이가 유의미하게 나는 게 팩트긴 합니다만.
17/09/25 21:45
기준이야 제멋대로라서... 저도 윗분 말대로 바디랭귀지 도움 없이 일상회화 가능한 레벨이면 OK로 보네요. 더 높은수준의 비즈니스적 대화까지 기준에 넣으면 솔직히 같은 한국인끼리도 이런 이야기는 안통할때가 비일비재하니까요.
17/09/25 22:21
B2는 너무 높다 싶습니다. B2면 그래도 아카데믹한 레벨도 부족하지만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로 기억하고 있는데
스피킹 점수 높은 B1 정도면 그래도 구사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17/09/26 09:35
전화로 전기 가스 신청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서
도움 없이 혼자 살 수 있을 정도 되면 외국어 한다고 하지 않을까요 사전없이 소설 읽고 문화 컨텐츠 영화 코메디까지 자막없이 이해할 수 있을 정도가 되려면 영어로 따지면 1년 어학연수로는 특출난 사람 아니면 영어를 구사한다고 하기 힘들지 않을까요?
|